[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시청자위원회가 TV 수신료 분리징수에 대해 “공영방송 존재와 근간을 와해시켜 심각한 시청자 권익 침해로 이어진다”며 철회를 촉구했다.
시청자위는 13일 입장문을 내어 “수신료 통합징수 방식은 공영방송이 권력과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고 공정성과 공익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오랜 기간 사회적 합의를 거쳐 마련된 것”이라면서 “시청자 국민 전체의 이익을 대변하는 공영미디어가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효율적인 수신료 징수방식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시청자위는 수신료 분리징수는 징수율 급감과 징수 비용 급증으로 이어져 KBS가 공공성과 공익성을 실현하는 데 장애요인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KBS 수입의 약 45%를 차지하는 수신료 수입은 지난해 6,934억 원으로 수신료 분리징수가 추진될 경우 1000억 원대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시청자위는 ▲재난미디어센터 운영 ▲교육적·사회 공익적 프로그램 제작 ▲난시청 해소 사업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 대상 방송 ▲재외동포 대상 채널 및 국제방송 ▲전통문화 예술관련 콘텐츠 제작 등 수익성은 적지만 공익성이 큰 사업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청자위는 “공익성이 큰 사업들이 TV 수신료 분리징수와 그로 인한 엄청난 재원 급감으로 쇠락한다면 결국 시청자의 권익 침해로 이어질 것이 자명하다”고 말했다.
또 시청자위는 “TV 수신료 분리징수 방식을 강행한다면 그로 인한 막대한 수입 결손을 보전하기 위해 공영방송의 기본 철학과 취지를 벗어나 무분별한 상업적 이윤 추구 경쟁에 내몰릴 게 불보듯 뻔하다”며 “그렇게 된다면 KBS는 공영미디어 본연의 책무와는 멀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고 그로 인해 파생되는 피해는 고스란히 시청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청자위는 “이는 공영방송의 위상과 공적 책임 이행 보장방안과는 전혀 다른 방향의 결과를 가져올 게 분명하며, 건강하고 건전한 공영방송을 바라는 시청자들의 기대에도 어긋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청자위는 “국민 시청자 전체의 권익 보호 차원에서 ‘TV 수신료 분리징수 방안’ 시도를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한다”며 “지금은 오히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미래의 공영방송이 그 고유한 서비스인 공익성과 공영성을 구현하고 사회적 책무를 더욱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심도 있는 생산적 논의를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수신료 분리징수, 행정부 소관 아니다
- 사회 원로 "윤 대통령, 정녕 박정희 전두환 길 가려는 것인가"
- 대통령실 권고 1주일만에 마련된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 정책연구와 딴판인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
-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에 "용산 출장소인가"
- 수신료 조사,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렸다?
- 대통령실 "수신료 분리징수와 KBS 사장 사퇴는 별개"
- KBS "수신료 분리징수에 대한 현실적 대안 없다"
- 김의철 KBS 사장 "수신료 분리징수 철회되면 물러나겠다"
- 민주당 "공영방송 죽이기 중단하라"
- "수신료 분리징수, 공영방송 장악의도 드러낸 것"
- KBS "수신료 분리징수는 공영방송 근간 훼손"
- "이참에 공영방송 공적재원 제도화 논의를"
- 방통위, '수신료 징수 제도개선' 정책연구 추진
- "수신료 분리징수되면 KBS가 감당한 공익사업 위축"
- '수신료 분리고지' 시민단체 "우선은 공영방송 재원 확충"
- 'KBS 멱살잡이' 비판 나오는 수신료 분리징수
- "수신료 분리징수가 여론이라면 지지율 30% 대통령은...."
- KBS, '수신료 분리징수 토론'에 "중요한 사실관계 누락"
- 대통령실, '정치적 꼼수' 수신료 분리 징수 가닥
- 'KBS법' 공청회 진술인 "수신료 분리징수는 비효율"
- 수신료 분리 징수를 KBS 압박 카드로 읽는 이유
- "MBC·TBS·YTN 이어 이젠 KBS 차례인가"
- '수신료 분리 징수' 의견 수렴에 "땡윤뉴스 꿈꾸는 모양"
- 'TV수신료 분리징수' 의견 수렴, 정순신 보도 나비효과일까
- 17개 방송사 노동자 "수신료 분리징수, 방송장악 정점"
-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이르면 7월 말 공포될 듯
- KBS, 수신료 분리징수 강행에 "법적 대응 검토"
- 여권 성향 KBS이사 "방송사 하나 없어지는 것"
- 언론노조, 방통위 김효재·이상인 공수처 고발
- KBS 이사 7인, 수신료 분리징수 중단 촉구 "공영방송 사라질 위기"
- 수신료 분리징수 '10일짜리' 입법예고…"속도의 폭력"
- '수신료 분리징수 입법예고'에 쏟아지는 반대 의견
-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졸속 심사
- "민주당, 김효재 방통위원장 직대 '탄핵' 추진하라"
- 언론노조 KBS본부 "김종민 이사는 당장 사퇴가 정답이다"
- KBS "여당 대표가 공영방송 신뢰도 폄훼…유감"
- KBS,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개정 정지 가처분 신청한다
-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졸속' 심사자료 철벽 방어
- 언론시민사회 "야당, '위법적 직무집행' 김효재 탄핵하라"
- KBS, 방송법 시행령 개정 공포시 즉각 헌법소원 방침
- "수신료 분리징수는 극우 세력에 의한 미디어 공론장 파괴"
- BBC 등 세계 8대 공영방송 사장 "수신료 분리징수 우려"
- 조선일보 입맛대로 쓴 '수신료 월 8만원 헬스장 사장의 분노'
- KBS PD 과반 "김의철 사장 사퇴해야"
- '속도의 폭력' 수신료 분리징수에 가세한 법제처
- 수신료 분리징수 '속도의 폭력'이 거둔 성적표는?
- KBS 지역국 통합 안된다더니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
- KBS 기자협회 "'수신료의 가치' 실현했는지 자성하겠다"
- KBS,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절차' 헌법소원 제기
- 지상파4사 시사·교양 작가 일동 "공영방송은 설 자리를 잃게 되는가"
- 총선 앞두고 TV수신료 체납 독촉장 양산하는 방통위
- KBS 구성원 "수신료 고지·징수하는 한전도 혼란 우려"
- 한전 "TV수신료 분리징수 시 손해 발생"
- "TV수신료 분리징수 불이익, 방통위원 책임 물을 수 있다"
- KBS, '수신료 분리징수' 비상경영 체제 돌입
- 대법관 후보자,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에 "위임입법금지 원칙 중요"
- 김의철 KBS 사장 "혼란 자명한 수신료 분리징수…헌재 판단 구한다"
- KBS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방송·영업의 자유 침해"
- 뜻밖의 반면교사
- KBS시청자위원 추천단체 물갈이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