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수신료 분리고지’를 주장해 온 언론단체가 윤석열 정부의 수신료 분리 징수 압박에 대해 "공영방송을 해체하기 위한 것“이라며 ”수신료를 빌미로 KBS에 대한 어떠한 시도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언론소비자주권행동(이하 언소주)은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KBS 수신료 분리고지를 주장해 왔다"면서 "이는 현행 전기요금에 일괄 부과되고 있는 수신료는 준조세의 성격으로 위법한 강제성과 KBS가 공영방송으로 그 역할과 책임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언소주는 ”하지만 현 정권의 수신료 개편 방안 논의는 수신료를 빌미로 공영방송을 해체하기 위한 사전 탐문“이라고 지적했다.

언소주는 수신료 분리징수에 앞서 공영방송 재원 확충 방안이 우선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언소주는 “공영방송 운영에 관한 재원 마련 없이 수신료 분리고지로 공영방송을 장악하려는 시도는 당장 중단해야하고, 국회와 정부는 수신료 분리고지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채널 선택권이 있는 소비자로서 TV 수신료를 주요 재원으로 운용되는 공영방송의 주인은 국민이기에 KBS는 국민의 방송, 공영방송으로써 그 역할을 다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언소주는 ▲MBC 취재진 대통령 전용기 배제 ▲YTN 사영화 ▲KT 통일방송 송출 중단 등을 윤석열 정부의 언론 장악 행위로 규정하며 “언론의 공정한 보도를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언소주는 “공영방송을 왜곡하는 일은 국민의 알 권리와 국가 이익에 반하는 행동”이라며 “이제는 국내를 넘어 세계인의 조롱거리로 전락한 현실이기에 우리는 언론 정상화를 엄중히 요구한다. 윤석열 정권의 권력 유지를 위한 언론 길들이기와 장악을 위한 행태를 중단하지 않으면 국민은 절대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언소주는 “최근 방통위원장 구속 영장 기각과 야당 몫으로 추천된 방송통신위원 관련된 거부 언론플레이 등 이런 일련의 사건들은 언론 장악을 위한 대표적 작업”이라며 “그동안 공정한 언론을 위한 방통위의 역할 수행에 미흡한 부분 또한 존재하지만 정권의 입장에 따라 방통위의 독립적 운영을 흔들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또한 언소주는 언론인이 자성해야 한다고 했다. 언소주는 “언론은 진보·보수 가치의 개념이 아니다”라며 “우리 사회의 갈등과 대립 증오의 중심에 언론의 역할은 없었는지, 정권에 따라 저널리즘의 가치를 훼손하지는 않았는지, 현 정권의 언론에 대한 무도한 행태에 언론인 스스로 얼마나 자유스러운지 돌아볼 때”라고 당부했다.
언소주는 “건강한 국내 언론 문화와 체재 확립을 위하여 시청자들과 방송사 간의 건강한 상호신뢰 관계를 수립하고, 방송 언론의 공정성이 확립될 때까지 모든 방법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언소주는 지난 2월 정기총회에서 양승조 전 충남도지사와 박수현 전 청와대 소통수석을 상임고문으로 선임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KBS 멱살잡이' 비판 나오는 수신료 분리징수
- "수신료 분리징수가 여론이라면 지지율 30% 대통령은...."
- KBS, '수신료 분리징수 토론'에 "중요한 사실관계 누락"
- 대통령실, '정치적 꼼수' 수신료 분리 징수 가닥
- 정부·여당이 보내온 수신료 분리징수 해법
- 정부·여당은 경영진 교체되면 수신료 분리징수할 필요없다?
- "대통령실 '수신료 분리 징수' 의견수렴, 중복투표 가능"
- '수신료 분리 징수' 경영진 사퇴론에 "권력에 스스로 엎드리는 것"
- 수신료 분리 징수를 KBS 압박 카드로 읽는 이유
- 대통령실 '수신료 분리 징수' 칼끝, 결국 KBS 경영진 사퇴 가리켜
- "MBC·TBS·YTN 이어 이젠 KBS 차례인가"
- '수신료 분리 징수' 의견 수렴에 "땡윤뉴스 꿈꾸는 모양"
- 'TV수신료 분리징수' 의견 수렴, 정순신 보도 나비효과일까
- 최민희 "방통위원, 정파적 추천 되더라도 독립적으로 임해야"
- 윤 대통령, '최민희 방통위원' 임명 거부 수순
- "윤석열 정권, 공영방송 장악 무리수는 계속될 것"
- "방통위원장 구속영장 기각 사유, 표현 부드럽지만 검찰 질책한 것"
- 한상혁 방통위원장 구속영장 기각…'정치 수사' 논란 불가피
- "수신료 분리징수되면 KBS가 감당한 공익사업 위축"
- 방통위, '수신료 징수 제도개선' 정책연구 추진
- 언론정보학회·KBS, '수신료 분리징수 긴급 특별 세미나' 개최
- 윤 대통령, 최민희는 묶어두고 자기 몫은 알뜰히 행사
- "이참에 공영방송 공적재원 제도화 논의를"
- 이상인 방통위원 "수신료 인상, 그때는 맞고 지금은 다르다"
- KBS "수신료 분리징수는 공영방송 근간 훼손"
- "수신료 분리징수, 공영방송 장악의도 드러낸 것"
- 보수언론, '수신료 폐지'까지 거론
- 민주당 "공영방송 죽이기 중단하라"
- 김의철 KBS 사장 "수신료 분리징수 철회되면 물러나겠다"
- KBS "수신료 분리징수에 대한 현실적 대안 없다"
- 대통령실 "수신료 분리징수와 KBS 사장 사퇴는 별개"
-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에 "용산 출장소인가"
- 대통령실 권고 1주일만에 마련된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 정책연구와 딴판인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
- 사회 원로 "윤 대통령, 정녕 박정희 전두환 길 가려는 것인가"
- 수신료 분리징수, 행정부 소관 아니다
- KBS시청자위 "수신료 분리징수, 심각한 시청자 권익 침해"
- 17개 방송사 노동자 "수신료 분리징수, 방송장악 정점"
-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이르면 7월 말 공포될 듯
- KBS, 수신료 분리징수 강행에 "법적 대응 검토"
- 언론노조, 방통위 김효재·이상인 공수처 고발
- KBS 이사 7인, 수신료 분리징수 중단 촉구 "공영방송 사라질 위기"
- 수신료 분리징수 '10일짜리' 입법예고…"속도의 폭력"
- '수신료 분리징수 입법예고'에 쏟아지는 반대 의견
-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졸속 심사
- "민주당, 김효재 방통위원장 직대 '탄핵' 추진하라"
- 언론노조 KBS본부 "김종민 이사는 당장 사퇴가 정답이다"
- KBS,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개정 정지 가처분 신청한다
-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졸속' 심사자료 철벽 방어
- 언론시민사회 "야당, '위법적 직무집행' 김효재 탄핵하라"
- KBS, 방송법 시행령 개정 공포시 즉각 헌법소원 방침
- '속도의 폭력' 수신료 분리징수에 가세한 법제처
- KBS 지역국 통합 안된다더니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
- 지상파4사 시사·교양 작가 일동 "공영방송은 설 자리를 잃게 되는가"
- "수신료 안 내면 어떻게 됩니까" 방통위 Q&A에 답 있다
- 총선 앞두고 TV수신료 체납 독촉장 양산하는 방통위
- 언론학자들 "수신료 분리징수 토론에 자괴감·참담함 느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