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대통령실이 추진하고 있는 '수신료 분리징수' 국민참여 토론의 목적은 KBS 경영진 교체에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소수노조인 KBS노동조합이 5일 발표한 성명을 근거로 들며 "윤석열 정부의 언론탄압 타깃이 이제는 KBS로 이동한 것 같다"고 말했다. 

소수노조인 KBS노동조합이 5일 발표한 성명에 "현 경영진이 교체되면 굳이 수신료 분리 징수를 할 필요는 없다"는 문구가 발언 형식으로 처리됐다. KBS노조는 '이게 저들이 달라는 명분이고, 우리가 저들에게 줄 수 있는 필요조건이 된다'며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언론노조 KBS본부)에 경영진 퇴진 운동을 함께하자고 제안했다. 

KBS노동조합 4월 5일자 성명 갈무리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 페이스북)
KBS노동조합 4월 5일자 성명 갈무리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 페이스북)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은 7일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통상적으로 큰따옴표를 표시할 때는 이 성명을 쓴 사람들의 주의, 주장이 아니라 누군가의 발언을 그대로 옮겨 담은 것"이라며 "즉 대통령실이 수신료 분리징수를 국민께 물은 이유는 정책적 필요성 때문이 아니라 현 KBS 경영진을 교체하고 잘라내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고 의원은 "KBS노동조합은 허위사실을 작성한 것이 아니라면 언론의 독립성을 저해하는 발언을 한 이 자가 누구인지 밝혀라. 그리고 현 정부에서 보내온 해법이라고 언급돼 있는 것을 보면 대통령실 관계자일 가능성 또한 있다"면서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은 누가 KBS노동조합과 거래성 발언을 한 것인지 지금 즉시 조사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고 의원은 "수신료는 단순한 시청료가 아니다. 공영방송이 권력과 자본의 눈치를 보지 않고 공적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공영방송의 재원"이라며 "방송법에 입법적 근거가 있고 헌법재판소도 수신료가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자율성의 토대임을 판결로 인정했다. 또 대법원은 수신료와 전기요금 통합 고지가 공익에 기여한다고 판단한 바도 있다"고 강조했다. 

KBS노동조합은 상황을 종합해 만든 문구라는 입장이다. 허성권 KBS노동조합 위원장은 미디어스에 "(인용구는)여러 가지 상황과 입장을 종합한 논리"라며 "전체 맥락 중 일부를 아전인수격으로 악의적 해석을 했다"고 말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 홈페이지 '국민참여 토론'은 여론 조작이 가능한 시스템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 사람이 한 계정으로 토론 댓글을 계속해서 남길 수 있고, 여러 계정을 만들어 찬반투표를 할 수 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6일 성명에서 '국민참여 토론' 시스템의 공정성이 무너진 가운데 극우유튜버들을 중심으로 대통령실 국민참여 토론 찬반 투표 독려가 진행 중이라고 비판했다. KBS본부는 "수신료 분리 징수 국민제안이 시작된 지 20일이 지나도 찬성이 1만 표 수준에 머무르자 이들의 투표 독려는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며 대표적 사례로 100만여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배승희 변호사' 채널을 거론했다. 

배 변호사 채널에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이 출연해 투표를 독려하기도 했다. 장 최고위원은 지난달 29일 방송에서 "법원과 방송국이 민노총 손아귀에 넘어가잖아요. 죽었다 넘어가도 선거 못 이겨요"라며 찬성 투표를 독려했다고 한다. 언론노조 KBS본부 분석 결과, 지난달 28일 1만 1천여표 수준이었던 찬성표는 지난 3일 4만여표로 급증했다. 

유튜브 채널 '배승희 변호사' 방송에 출연한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이 같은 결과를 두고 일부 언론은 수신료 분리징수에 국민 96%가 동의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5일 기사<“KBS 수신료, 전기료와 따로 걷자” 설문서 96.1% 응답>에서 "우리나라 국민 96% 이상이 전기세와 함께 강제 징수하는 KBS 수신료 제도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같은 날 문화일보 자회사 디지털타임스는 <국민 96% “KBS 수신료, 전기료와 따로 걷자”…통합징수 반대 여론>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현재까지 '국민토론 참여' 코너에서 다뤄진 토론은 '도서정가제'와 'TV수신료 징수방식 개선' 두 개뿐이다. 이 중 '도서정가제'는 종료됐고, 'TV수신료'는 오는 9일 종료된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9일 '도서정가제 국민참여토론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를 관계기관(문화체육관광부)에 전달해 추가 검토가 이루어지도록 권고했다고 공지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