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정부 언론장악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공영방송 정치적 독립’ 등 7대 미디어 정책 협약을 체결한다.
14일 언론노조는 보도자료를 내어 오는 15일 이재명 후보 선대위와 첫 정책협약식을 개최할 예정이며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당 후보 측과 정책협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언론노조 중앙집행위원회가 의결한 ‘대선 7대 미디어 정책 과제’가 이번 대선 미디어 정책 협약의 중심을 이룬다.
언론노조의 ‘대선 7대 미디어 정책 과제’는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 보장을 위한 신속한 법안 처리 ▲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 ▲신문 편집의 독립성 확보와 정부 광고 집행 정상화 ▲실효성 있는 지역신문·방송 진흥 방안 마련 ▲미디어 노동시장 비정규직 처우개선 ▲통합 미디어 기구 설치를 통한 미디어 진흥·규제 체제 정비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의 사회적 책무 강화 등이다.
![전국언론노동조합 로고 [언론노조 제공=연합뉴스]](https://cdn.mediaus.co.kr/news/photo/202505/313031_221684_227.jpeg)
언론노조는 공영방송 정치적 독립 보장을 위해 우선 방송3법 개정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언론노조는 “공영방송의 내적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편성규약 상 임명동의제를 비롯한 공정방송 조항을 의무화하고 위반 시의 제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방송통신위원회는 ▲TV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개정 ▲공영방송 이사진·경영진 교체 ▲YTN 사영화 등을 강행했다. 서울시의회가 지원조례를 폐지하면서 TBS는 폐국 위기에 내몰렸고 류희림 체제의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선거방송심의위원회는 윤석열 정부 비판 보도에 중징계를 남발했다.
언론노조는 “윤석열 정부 시기 이루어진 KBS, MBC, YTN, TBS 관련 이사 해임, 민영화, 출자출연기관 해지 등에 대한 국회 특위를 구성해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 처벌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와 함께 언론노조는 사주 등의 신문 편집권 침해를 막기 위해 편집위원회와 독자위원회 설치를 의무화하고, 편집·제작 운영 계획서 제출을 신문사업자 등록사항에 포함시켜 사적 이익을 목적으로 한 언론사 인수를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언론노조는 “윤석열 정권이 파기한 정부광고 인쇄매체 지표를 복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역 신문·지역 방송 진흥 방안으로 지역신문발전기금 현실화, 지역방송발전기금 신설, 지역신문 전용 미디어 바우처 제도 도입 등을 제안했다.

또 언론노조는 “2017년 방통위 등 5개 정부부처가 공동으로 제시한 ‘방송프로그램 외주제작시장 불공정 관행 개선 종합 대책’ 이행 실적을 평가하고, 2020년 방통위가 지상파 사업자 재허가 조건으로 부여한 비정규직 실태조사 및 처우개선 방안을 재도입해 미디어 노동시장의 사회 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출판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을 개선할 특별위원회를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 산하에 설치하고 표준계약서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언론노조는 “통합 미디어 기구 구성을 통해 공영방송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공적 재원 조성 운용 방안, 민영 방송을 포함한 지상파 방송사의 공적 책무, 정부기관 산하 방송사의 독립성 제도를 수립해야 한다”면서 “통합 미디어 기구 설치는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모두의 공통 공약이었다”고 강조했다.
언론노조는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포털)에 사회적 책무를 부여하는 내용으로 신문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언론노조는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의 자율규제 활성화를 위한 기구의 법적 지위를 확보하면서, 구성과 심의에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언론노조는 포털사업자의 투명성 보고서 발간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추천키워드
관련기사
- 이재명 10대 공약에 '공영방송 독립'…국힘 'MBC 민영화' 공회전
- 다시 머리 맞대는 방송4법 "국회 추천 이사, 3분의1 이하로"
- 방송4법 어디까지 왔나…민주당, 대선 전 법사위 통과 목표
- 국힘 방송정책특위 위원에 '서부지법 폭동' 변호인
- 언론노조 "잿더미 위에서 언론 다시 세우고 민주주의 복원할 것"
- 민주당, 미디어 정부조직 개편 논의 닻 올렸다
- "내란 종식의 시작은 언론장악 진상규명·처벌"
- 언론노조 “방송3법·신문법 개정 통해 언론자유 쟁취 나설 것”
- “윤석열 정권 언론탄압-언론자유 훼손 책임 묻겠습니다”
- "이재명 대표 당부에 방송·콘텐츠특위 성과 확신합니다"
- 공영방송의 독립성·자율성 보장을 위한 입법 방안 제언
- 민주당 방송·콘텐츠특위, 지역·중소방송 정책협약 체결
- 언론3학회, 미디어 공공성·산업 해치는 정치권력에 "손떼라"
- 민주당 미디어특위, '통합 독임제 부처+공공방송영상위' 밑그림
- 정부광고 수수료, 새 정부의 지역방송 재정난 타개책 될까
- "산업진흥·노동보호·시민참여의 미디어 통합 거버넌스로"
- 민주당, '정치권 몫 공영방송 이사 50%' 명문화하나
- 공영방송서 손 못 떼는 방송3법 단일안의 출처는
- 공영방송 정치 독립성 보장, 2014년 독일 사례는
- 대통령 후보들의 언론 공약
-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입법, 왜 '정치권 몫'은 늘었을까
- 학계가 말하는 이재명 공약 '공영방송 재원 구조개편' 방안은
- 민주당 과방위, '정치권 50% 육박' 방송3법 대선 이후로
- 이재명 대통령의 언론관, '조작보도 제재'-'국민과 직접소통'
- "여대야소 속 이재명 정부 출범…지금이 언론개혁의 적기"
- 민주당 과방위의 방송3법 속도전 문제 없나
- EBS구성원, ‘귀닫은’ 과방위 민주당에 '공영방송 독립성' 호소
- 신동호 막아낸 EBS노조가 과방위 방송3법 비판하는 이유
- 과방위, 10일 '방송3법' 처리 위한 전체회의 개최
- 과방위 민주당, 돌연 '방송3법 국힘 협의'로 선회
- 출범하는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미디어 거버넌스 향배는
- "이재명 정부 공약, 방송3법 빠르게 추진하라"
- 최민희, 국정기획위 사회2분과장 사퇴…"방송3법 집중"
- 순연된 방송3법 키는 민주당 새 원내지도부에게
- "이명박 정부에서 시작된 방송장악 이제는 끝내야"
- 국정기획위 미디어 전문위원에 채영길, 신동주, 박동주
- "방송3법, 당내 이견으로 중단될 이유 없어…공약 이행하라"
- 방송협회, "정부광고 대행 독점 개선" 공약 이행 건의
- "정부광고, 암묵적 '보도 거래' 수단 …명확한 집행 규정 만들어야"
- 지역민방노조 "언론재단 정부광고 독점 대행 구조 해체해야"
- '윤석열 방송장악' 피해자들, 이 대통령에게 "소송 멈춰달라"
- 최민희 "언론재단·김효재는 개혁 대상"
- 지역방송협의회 "국정 5개년 계획 유감...대선 공약 이행하라"
- 최민희 "정부광고 대행 '미디어진흥재단' 신설 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