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당일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중장)이 증언했다. 또 곽 전 사령관은 계엄선포 이틀 전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으로부터 국회 외에 더불어민주당사 지역을 확보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10일 오후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내용을 공개하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10일 오후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내용을 공개하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현안질의에서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과 두 번째 통화 내용에 대해 말할 수 없다고 하지 않았냐’는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 질의에 대해 당시 대통령이 직접 비화폰으로 “(국회 계엄해제) 의결정족수(150명)가 아직 다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며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곽 전 사령관은 이 같은 윤 대통령과의 통화가 '00시 30분부터 00시 40분 때까지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곽 전 사령관은 “그 지시사항을 듣고 현장 지휘관들과 ‘공포탄을 쏴서 들어가야 하나’ ‘전기를 끊어서 (의결을) 못하게 해야 하나’는 부분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현장 지휘관이 ‘그건 안 된다. 제한된다’고 얘기를 했고, 저도 그 부분이 옳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은 “지시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들어가면 나중에 작전 병력이 범법자가 되는 문제와 강제로 깨고 들어가면 너무 많은 인원이 다치기 때문에 옳지 않다고 판단해 현 위치에서 ‘더 이상 진입하지 마라’고 중지시켰다”며 “이후 01시 01분에 비상계엄령이 해제되는 상황을 보고, 01시 09분으로 국회뿐 아니라 각 지역에 전개했던 특전사 모든 부대들에 대한 임무를 중시시켰다”고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은 “이 내용은 대통령에게 보고하지 않았고, 철수할 때 전임 국방부 장관에게 현 상황을 설명드리고 철수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저녁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밤 서울 국회의사당에서 계엄군이 국회 본청으로 진입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저녁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밤 서울 국회의사당에서 계엄군이 국회 본청으로 진입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또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이전인 12월 1일 계엄에 대한 내용을 사전에 인지했다고 밝혔으며 민주당사도 작전 지역에 해당했다고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은 “제가 받은 임무가 국회, 선거관리위원회 3곳, 민주당사, 여론조사 꽃 총 6곳에 대한 임무를 받은 시점이 12월 1일 정도 됐다”며 “그때 6개 지역을 확보하라는 임무를 김용현 전 장관으로부터 비화폰으로 받았다”고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은 ‘문 부수고 들어가서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를 누구와 협의했냐는 질문에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과 논의했다고 답했다. 

김현태 단장은 ‘당시 곽 사령관이 어떤 지시를 내렸나’는 질문에 “저한테는 ‘(국회에 의원이) 150명 넘으면 안 된다. 들어갈 수 있겠냐’ 이런 식으로만 이야기를 했다”면서 “저는 그게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로 인식했다. 당시 ‘더이상 무리수를 두는 건 위험하다’ 이렇게 이야기했고 사령관이 ‘알겠다. 그럼 하지 마라’라고 얘기했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