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당일 “의결정족수가 다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증언이 나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에서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윤 대통령에게 당시 국회 상황을 알려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중장)은 계엄 당시 국회 현장 상황을 언론 생중계를 통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윤 대통령이 곽 전 사령관과의 통화에서 무엇을 근거로 ‘의결정족수가 안 채워졌다’고 판단한 것 같냐는 질문에 “(비상 계엄 당시) 저희 (국회 본회의장)안에 있는 인원들도 130명 됐을 때인데, 카운트하기 어려웠다”며 “다 앉아 있는 게 아니라, 불안하고 초조하니까, 추경호 원내대표가 그때 (윤 대통령에게) 한번 통화했다고 하잖나. 비상계엄 때 국민의힘에서 추 원내대표나 그런 분들이 윤 대통령에게 알려주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최고위원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최고위원 (사진=연합뉴스)

김 의원은 “대통령이 의결정족수를 파악하기가 군에서는 제한됐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전날 곽 전 사령관 등에게 ‘그때 내부에 몇 명인지 알 수 있었냐’ ‘CCTV를 볼 수 있었냐’ 물었는데 ‘전혀 못 봤다’고 했다”며 “특전사가 아니면 내부에서 알려줬을 텐데, 그때 국민의힘 의원 18명이 와 있었고, 계속 전화하고 있었잖나. (윤 대통령에게) 의결정족수가 나갈 수 있는 루트는 국민의힘 쪽 아니겠나라고 의심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서 곽 전 사령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당일 비화폰으로 "(국회 계엄해제) 의결정족수(150명)가 아직 다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며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곽 전 사령관은 해당 통화가 ‘4일 00시 30분~ 00시 40분쯤 이뤄졌다’고 전했다. 

또 곽 전 사령관은 이날 ‘계엄 당시 부대원이 국회 본회의장 안에 들어가 있었나’라는 질문에 “거기에는 1명도 안 들어가 있었다”고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은 “당시 저는 전투통제실에 있었고, 전투통제실 왼쪽 화면에서 국회의사당 안에 의원들이 앉아 있는 모습을 YTN 보도로 봤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비상계엄 당시 자당 의원들에게 긴급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수정해 혼선을 일으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추 원내대표는 국회가 아닌 국민의힘 당사로 의총 장소를 최종 공지했다. 추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뒤 전화를 걸어와 ‘비상계엄 사실을 미리 알리지 못해 미안하다’고 했다고 말한 바 있다.

또 추 원내대표는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을 앞두고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전화해 ‘본회의 표결을 30분 정도 늦춰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원내대표는 당시 국민의힘 당사가 아닌 국회에 자리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4일 밤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비상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4일 밤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비상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 의원은 전날 국방위에서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이 비상계엄 당시 부가공작원(HID) 30여 명이 투입됐다고 밝혔다면서 “그 인원들은 다음 날 선관위로 가라는 임무를 받았다고 하는데, 유추컨대 비상계엄 해제 불발을 지속하기 위한 명분을 찾기 위해 아마 소요를 일으키기 위해 운용됐을 확률이 있다. 본인들이 역으로 테러를 일으켜서”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그 부대는 북파공작원으로 작전을 할 때 북한 군인 복장을 입는 인원이 있다”면서 “그렇게 해서 테러하고 어딘가 도망가 버리면 ‘북한에서 간첩이 남침했다’고 소요를 조장하고, 대의명분을 나중에 만들어내는 요원으로 활용을 했지 않나 싶다. 왜 선관위에 가라는 임무를 줬는지는 모르겠지만 거기에 테러를 하든 그런 여지가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드론작전사령부 화재 사고가 평양 무인기 관련 증거인멸 아닌가하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제보 받기로, 일요일(8일) 컨테이너에 불이 났는데 ‘환풍기에 있는 전기 장치에서 불이 위로 올라갔다’고 하더라, 그동안 불이 난 적이 없었다"며 "이 시점에 평양에 간 무인기 이런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불을 낸 것)아니냐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그리고 드론사령부가 북한에 가는 무인기를 띄웠다는 것”이라며 “연천하고 김포 일대에서 띄웠고, 한 대는 국내에 추락했다고 한다. 드론사령관한테 따져 물으니 계속 확인해 줄 수 없다고만 얘기하는데, 그런 것을 보면 드론사령부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지시로 그렇게 하는 거 아닌가 추정되지 않나”라고 말했다.

전날 국방위에서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은 드론작전사령부 창고에 화재가 났다면서 “감전으로 인한 화재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평양에 보낸 무인기는 누구의 지시냐’는 질문에 김 사령관은 “확인해 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