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인턴기자] 국민의힘 내에서 ‘탄핵 찬성’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오는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탄핵에 반대했던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탄핵 찬성’으로 선회했다.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 역시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12일 오전 SNS에 “이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결단해야 한다”며 “(대통령은)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만으로도 탄핵소추를 통해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결자해지해야 할 대통령은 침묵하고 있고, 당은 사분오열이다. 당은 이런 국가적 사안 앞에서 하나여야 한다”고 했다. 오 시장은 지난 6일 자신의 SNS에 “탄핵만이 능사가 아니다”라며 “국정 안정을 위해 책임총리제로 전환하고 비상 관리 내각을 꾸려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12일 오전 SNS에 “나라가 결딴날 상황인데 안일한 생각으로 우왕좌왕하는 국민의힘이 참 한심하다”며 “국민의힘 전 의원은 탄핵 표결에 참여해 육참골단(肉斬骨斷)의 심정으로 탄핵 절차를 밟자”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윤 대통령을 향해 “(비상계엄 사태 수습을)당에 미루지 말고 결자해지 차원에서 하루라도 빨리 국민들에게 사죄하고 계엄을 선포한 이유와 입장을 소상하게 밝혀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 지사의 글이 올라온 뒤 윤석열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지난 6일 오 시장과 김 지사 등이 포함된 국민의힘 시도지사 협의회는 대통령 탄핵은 피해야 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협의회는 ‘대통령 탄핵만은 피해야 한다’며 ‘윤석열 대통령은 책임 총리가 이끄는 비상 거국 내각을 구성하고 2선으로 물러나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진종오 국민의힘 최고위원도 14일 진행될 탄핵안 표결에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밝혔다. 진 의원은 12일 오전 SNS에 “국민의 응원을 받은 여당의 청년대표로서 저는 국민에 반하는 부역자의 길을 선택하지 않겠다”며 “지도부의 한 사람으로서 질서 있는 퇴진을 바랐었다”고 말했다.
진 의원은 지난 7일 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 당시 투표하지 않았다. 진 의원이 14일 탄핵안에 찬성투표 할 경우 탄핵에 찬성하는 국민의힘 의원은 최소 6명으로 늘어난다. 앞서 안철수·김예지·김상욱·조경태·김재섭 의원이 탄핵안 찬성투표 의사를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국힘 김재섭 "윤석열 대통령 탄핵하고자 한다"
- 국민의힘 조배숙 "내란죄 적용 신중해야"…야당 "내란 동조"
- '법 기술자' 윤석열, 전두환 논리로 탄핵 법리싸움 선언
- 한동훈 “윤석열 대통령 탄핵 외 다른 방법 없다”
- 국힘 '친윤', 권성동 내세워 당권 다툼…조선일보 안 보나
- 윤상현 "계엄, 고도의 통치행위"…국힘서도 "문자폭탄 부르네"
- 국힘, ‘계엄 트라우마’ 앞에 ‘탄핵 트라우마’ 들이대
- 김상욱 "윤 대통령 탄핵 찬성 여당의원 10명 전후"
- "문 부수고 국회의원 끄집어내 지시…민주당사도 작전 대상"
- 국힘 이만희, '내란수괴 동조' 쪽지 붙인 고등학생 신고
- 조경태까지 “14일까지 즉각 사임 안하면 탄핵 표결 참여”
- 김상욱 "탄핵 적극 찬성..여당도 동참해야"
- 김근식 "윤석열 가장 질서있는 퇴진은 '탄핵'뿐"
- 친윤, 한동훈 축출 쿠데타 나서나
- 국민의힘, 더 버틸 방법 없다
- 권성동 "현재 당론은 탄핵 부결…바꾸려면 2/3 동의 필요"
- 한지아 “대통령 거취는 국민이 정해”…국민의힘 7번째 ‘탄핵' 찬성
- 국힘, '내란-김건희 특검 부결' 당론…'윤석열 탄핵 부결' 입장 유지
- 윤석열 담화가 불당긴 국민의힘 '탄핵 찬성' 최소 8표
- 언론계 원로들 “2차 내란 선동하는 윤석열 당장 체포하라”
- 권성동 "탄핵 표결 참여하자"
- 조경태 "'국민의 짐’ 안돼…예상보다 많은 탄핵 찬성표 기대"
- 국민의힘 탄핵 표결 선회…친윤, 한동훈 축출·당권잡기?
- 언론에서 "영남 자민련" 소리 나오는 이유
- 국힘 탈당 김상욱 "민주 보수의 길 걷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