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12.3 내란사태’와 관련해 검찰 수사가 윤석열 대통령이 아닌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중심으로 진행됐다는 취지로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시 곽 전 사령관에게 두 차례 전화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서 조국 조국혁신당 의원은 곽 전 사령관에게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특수본)의 수사 담당 검사가 내란 음모, 내란 실행 등과 관련해 이것이 윤석열이 아니라 김용현 중심으로 진행된 것처럼 질문했냐”고 물었고 “그렇다”는 답변을 받았다.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조국 조국혁신당 의원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에게 질의를 하고 있다. (사진=국회방송 갈무리)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조국 조국혁신당 의원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에게 질의를 하고 있다. (사진=국회방송 갈무리)

조 의원은 “이 점이 매우 중요하다”며 “검사가 윤석열이 아니고 김용현 중심으로 질문하면서, 김용현이 (계엄의) 중심이고 윤석열은 부차적인 것처럼 질문한 것 맞나”고 재차 물었다. 곽 전 사령관은 “맞다”고 답했다. 

이어 조 의원은 “검찰의 (박세현)특수수사본부장이 한 대표와 함께 현대고, 서울대 2년 후배라는 것을 알고 말씀드렸고, 박 본부장 아버지와 한동훈의 장인 사이가 막역한 사이라는 얘기를 이미 밝힌 바 있다”면서 “계엄은 누가 지휘하게 돼 있나, 계엄법 6조에 대통령이 직접 지휘하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그런데 김용현 (전)장관이 언론과 검찰에 자신이 대통령으로부터 지휘 권한을 위임받았다고 진술했다”며 “이것은(내란을) 자기 중심으로 했다는 것이다. 김용현 중심으로 하고, 윤석열을 부차적으로 배치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지금 검찰 특수본 수사가 이상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다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해 분명히 밝혀져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내란 당시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구금시설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증언도 나왔다.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준장)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구금시설 관련 지시와 체포 관련 지시를 여 사령관으로부터 직접 받았다”고 말했다.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김대우 방첩사령부 수사단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TV 방송화면 갈무리)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김대우 방첩사령부 수사단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TV 방송화면 갈무리)

김 단장은 “처음 지시받기로는 수도방위사령부에 있는 B-1 벙커 안에 구금할 수 있는 시설이 있는지 확인하라는 것”이라면서 “여 전 사령관이 밑에 있는 2실장을 통해 직접 수방사에 가서 B-1 벙커를 확인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앞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윤 대통령으로부터 방첩사와 협조해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체포를 지시한 정치인은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김민석 의원, 정청래 의원, 방송인 김어준 씨,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이다. 

한편, 이날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두 차례 전화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윤 대통령과 통화한 것에 대해 당시 상황이 그걸로 끝이었다고 했는데 대통령으로부터 또 전화를 받았죠"라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뜸을 들이다가 ”예“라고 말했다. 

박 의원인 “두 번째 전화받은 내용이 무엇이냐”라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말씀드리기 제한된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당시 707특수임무단 등을 국회에 출동 지시한 인물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