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합동참모본부 전 계엄과장이 국회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내란 국조특위) 출석에 앞서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실이 ‘미리 만나자’고 연락해 “압박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야당은 “이런 게 회유 공작”이라고 따졌고, 임 의원은 “정상적인 절차”라고 말했다. 임 의원은 야당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을 회유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내란 국조특위 4차 청문회에서 “어제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실에서 청문회 전에 증인(권영환 전 합참 계엄과장)을 좀 만나자고 제의했다”면서 “한겨레신문에 그 사람이 주장했던 거나 수사기록에 꼬치꼬치 물으면서 (회유를) 하려고 시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오늘 청문회장 나오기 ‘한 30분 전에 와서 보자’고 제의했는데, 본인(권 전 과장)은 거절했다고 한다. 왜 증인을 하루 전에 만나려고 하냐, 이런 것이 회유다. 압박하려는 것이고, 공작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권영환 전 합참 계엄과장은 “(임 의원실에서)연락을 받았고, 일단 (만나서)하는 건 할 수 없다(고 했다) 정상적인 절차대로 하길 원한다고 말했다”면서 “(임 의원실에서) 30분 전에 미리 보자고 했는데 오늘 미리 오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권 과장은 “압박감을 느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겨레는 19일 [단독] 기사 <합참 계엄과장도 놀란 포고령 “전공의 처단, 연습서도 본 적 없어”>에서 권 과장이 검찰 조사에서 “계엄을 선포하려면 대통령 서명이 들어간 공고문이 있어야 하는데, 서명이 들어간 공고문을 보지 못했다”고 진술했다고 보도했다. 합참 계엄과는 비상계엄 관련 업무를 총괄한다.

그러자 임 의원은 “김 의원이 제가 마치 계엄과장을 회유한 것처럼 호소하고 있는데, 우리 보좌진이 정상적인 절차에 의해 대면 설명 요구를 한 것”이라며 “대면 설명 요구서를 국방부를 통해 전달했고, 본인이 먼저 전화해서 언론에 보도된 내용을 질문한 것이 전부”라고 말했다. 임 의원은 “제가 한 것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임 의원은 그간 ‘곽 전 사령관이 민주당에게 회유당했다’는 주장을 펼쳐 왔다.
임 의원은 지난 4일 내란 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서 “저한테 제보한 사람에 의하면 사령관이 회유당했다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의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했다’는 증언이 민주당의 회유에 의해 나왔다는 것이다.
한편 권 과장은 “언론에 나온 그대로 (대통령) 서명이 들어간 대통령의 계엄 선포문인 공고문과 그리고 이미 포고령 1호 발령됐다고 하는데 당시에 합참 계엄 과장으로서 지원 임무를 간 저는 그 서명이 들어간 계엄 포고령 1호도 보지 못했다는 것이 팩트”라고 말했다. 권 과장은 “계엄이 거의 끝나가는 즈음에 다른 곳에서 서명이 되어 있지 않은 (계엄 포고령)복사본을 본 적만 있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국회 탄핵소추단 "윤석열 파면 한시가 급해…나라 구해야"
- 150명 의미 몰랐다는 707단장, 정작 “본회의장 막는 게 우선” 지시
- '호수 위의 달 그림자' 사라지고 '윤석열의 체포 닦달'만 남아
- 박정훈 대령 구제신청 기각한 인권위, 내란종사자 긴급구제 논의
- 윤석열 측 변호인, 곽종근에 "대통령 지시를 씹냐"
- 707단장 "국회 전기 차단 지시 받았다"
- '계몽령'? 헌재·국민 조롱하는 '내란 수괴·종사' 피의자들
- "'의원' 아닌 '요원' 빼내라? '바이든 날리면'식 기만전술"
- 내란 국조특위, "선별적 출석" 윤석열 등 동행명령장 발부
- "'부정선거' 전도사 윤석열 실제 목격…참담"
- 12·3 비상계엄 당시 특전사 탄약 18만발 불출
- 검찰 수사 결과, 윤석열 발포 지시 확인…"총을 쏴서라도"
- '문 부수고 끄집어 내라' 윤석열 3번째 전화는 "100% 증거인멸 시도"
- "윤석열 A4 1장 계엄군 장악 지시사항에 'MBC' 있었다"
- "문 부수고 국회의원 끄집어내 지시…민주당사도 작전 대상"
- 특전사령관 "윤 대통령, 707특임대 이동상황 전화로 물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