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MBC가 윤석열 대통령의 '가짜뉴스' '악의적 행태' 발언을 '언론자유를 위축시킬 수 있는 위협적 발언'이라고 맞받았다.  

MBC는 18일 <윤석열 대통령의 ‘가짜 뉴스’, ‘악의적 행태’ 발언에 대한 입장>을 내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언론의 보도와 검증, 비평 활동에 대해 행정부 수반이자 국가 원수가 명확한 근거 없이 '가짜 뉴스'로 규정하고 '악의적 행태'라고 말한 것은 헌법 가치인 언론의 자유를 위축시킬 수 있는 위협적 발언"이라며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MBC는 "국가 원수인 대통령의 발언은 공적 영역에 속한다. 국내 정치 무대는 물론 국제 외교 무대의 발언도 모두 공적 영역에 속하며, 따라서 언론의 자유로운 취재 대상"이라며 "사실관계는 물론 이에 대한 해석, 의견, 논평, 비평, 비판 역시 언론 자유의 영역으로 폭넓게 보장한다는 것이 우리 헌법의 정신이며, 사법부의 일관된 판결"이라고 강조했다. 

MBC는 "대통령의 비속어 발언 논란 역시 공적 영역에서 활발하게 검증되고 비평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며 "MBC는 앞으로도 공적 영역에 대한 자유로운 취재와 검증, 비평을 통해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공영방송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 문답에서 'MBC 취재진 전용기 탑승 배제는 선택적 언론관 아니냐'는 질문에 "우리 국가 안보의 핵심축인 동맹관계를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로 이간질하려고 아주 악의적인 행태를 보였기 때문"이라며 "대통령 헌법수호 책임의 일환으로서 부득이한 조치였다"고 말했다. 

이에 대통령실을 출입하는 MBC 기자가 "뭘 악의적으로 했다는거냐. 뭘 왜곡했느냐"고 물었지만 윤 대통령은 답하지 않고 청사 안으로 들어갔다. 이기정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은 MBC 기자를 향해 "가시는 분 뒤에 대고 그렇게 말하면 어떡하냐"고 제지하자, MBC 기자가 "질문도 못 하느냐"고 맞받으면서 언쟁이 이어졌다. 

MBC 기자는 윤 대통령 비속어 발언에 대해 "공개석상에서 영상이 있는데 뭐가 악의적이라는 것인가"라고 다시 이 비서관에게 물었다. 이 비서관은 "아직도 그러네"라고 말했고, MBC 기자는 "아직도 그러네라니, 군사정권이냐"고 항의했다. 

이후 대통령실은 이재명 부대변인 명의의 서면브리핑을 통해 "무엇이 악의적이냐는 MBC 기자 질문에 답하겠다"며 'MBC가 악의적인 10가지 이유'를 나열했다. 브리핑 내용을 요약하면 MBC가 음성전문가도 확인하기 어려운 윤 대통령의 발언을 보도해 국익을 훼손했음에도 경위를 파악하거나 사과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통령실은 각 이유에 번호를 매겨 설명하면서 문장마다 '이게 악의적이다'라는 문구를 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월 21일(현지시각)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재정공약회의에 참석한 모습 (사진=MBC 보도화면 갈무리)​ 

윤 대통령은 지난 9월 21일 미국 뉴욕 글로벌펀드 재정회의에 참석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48초 환담'을 가진 뒤 회의장을 나오는 길에 "국회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은 쪽팔려서 어떡하나"라고 말했다. 해당 발언이 영상기자단 풀(pool·대표)취재 카메라에 잡혀 상당수 언론사에 공유·보도됐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당시 보도 13시간만에 기자들 앞에 나서 ▲'바이든'이 아니라 '날리면' ▲'국회'는 미국 의회가 아닌 한국 야당이라고 주장했다. 논란 직후만 해도 대통령실 입장은 "사적 발언을 외교적 성과로 연결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김 수석 해명 이후 대통령이 국정운영 파트너인 한국 야당을 '이XX들'로 지칭한 것이냐는 논란이 더해졌다. 이후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이XX' 발언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입장을 바꿨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