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국민의힘이 삼성 등 대기업을 겨냥해 MBC에 대한 광고 불매 운동을 촉구했다. 광고를 중단시켜 언론을 압박한 대표적 사례로 박정희 군사독재정권 '동아일보 광고탄압 사태'가 있다. MBC, 한국기자협회, 더불어민주당 등 정치권에서 "언론탄압을 중단하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17일 열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에서 김상훈 비대위원(국회의원)은 "MBC는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악의적·의도적 비난으로 뉴스를 채워왔다"며 "그럼에도 MBC 각종 프로그램은 유력 대기업 광고로 도배되고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대기업이 초대형 광고주로서 MBC 물주를 자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 MBC 상암동 사옥 (사진=연합뉴스, MBC)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 MBC 상암동 사옥 (사진=연합뉴스, MBC)

김 비대위원은 "모 대기업은 수십년간 MBC 메인뉴스에 광고를 몰아주고 주요 프로그램 광고비를 대고 있다"며 "더욱이 작년에 MBC 메인뉴스 앵커가 해당 기업 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2005년에도 앵커가 같은 기업 임원으로 발탁됐다"고 말했다. 삼성을 지칭한 발언이다.

김 비대위원은 "MBC를 편파·왜곡방송으로 규정해 광고기업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 서명한 사람이 33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면서 "이분들은 사회적 기업이자 국민 기업인 삼성 등이 MBC에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즉각 중단해야 하고, 이는 선택이 아닌 의무라고 역설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MBC는 입장문을 내어 "광고 불매 운동은 언론탄압의 쌍둥이 거울이다. 자유민주주의와 자유 시장 경제의 근간을 뒤흔드는 광고 불매 운동 발언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MBC는 "헌법을 수호하는 의무를 지닌 국회의원에게서 자유 시장 질서를 송두리째 부정하는 광고 불매 운동 언급이 나왔다는 데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며 "더욱이 이 국회의원은 특정 기업 이름을 구체적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기업들을 협박하고 있다. 권력이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는 보도를 한다고 노골적으로 광고주들을 협박하고 위협하는 행위는 견제받지 않는 권력을 꿈꾼다는 자기 고백이자 징표"라고 비판했다. 

MBC는 국민의힘 전신인 한나라당이 2008년 광고 불매 운동을 반대했고, 당시 김경한 법무부 장관이 광고 중단 압박 행위를 '기업의 영업활동을 방해하는 범죄'라고 규정했다고 강조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이하 언론노조 MBC본부)는 성명을 내어 "유신 시대, 군사독재 시절에나 있었음 직한 일들이 2022년 대한민국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는 어처구니없는 현실"이라며 "MBC를 향한 국민의힘 의원들의 몰상식한 발언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MBC 기자들의 전용기 탑승 배제 이후 더욱 강도가 세지고 빈도 역시 잦아지고 있다. 꼴뚜기가 뛰니 망둥이들이 날뛰는 격"이라고 했다. 

MBC본부는 "MBC를 향한 비이성적 광기는 결국 윤석열 대통령의 비뚤어진 언론관 때문"이라며 "윤 대통령의 욕설 보도 이후 MBC는 보도 경위에 대한 대통령실의 추궁과 국민의힘 등이 제기한 수십 건의 고소, 고발을 맞닥뜨려야 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경고한다. MBC에 대한 광기 어린 겁박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1974년 10월 24일 자유언론실천선언을 하고 있는 동아일보사 언론인들 (사진=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1974년 10월 24일 자유언론실천선언을 하고 있는 동아일보사 언론인들 (사진=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한국기자협회는 성명을 내어 "1974년 박정희 군사독재정권 시절 동아일보와 동아방송이 정권의 압력으로 기업 광고가 실리지 못한 사실이 있는데 마치 역사의 시계가 48년 전으로 되돌아간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면서 "이번 사태는 단지 MBC에 대한 광고탄압만이 아니다. 정권의 눈밖에 나면 어느 언론사든 가만두지 않겠다는 시그널이나 마찬가지"라고 규탄했다. 

기자협회는 "정부와 여당이 집요하게 MBC를 압박하는 이유는 자명하다. 윤석열 세력에 비판적인 MBC 사장 교체기가 다가오기 때문"이라며 "국민의힘은 역사의 교훈을 되새기고 언론자유를 침해하는 여하한 시도나 행위를 당장 멈춰야 한다. 김 비대위원은 자신의 발언에 대해 사과하고 당장 비대위원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언론자유특위는 성명에서 "집권여당 지도부가 당 공식회의에서 언론이 마음에 안 든다고 서슴없이 광고 탄압을 요구하는 것은 독재의 DNA가 남아 있기 때문인가"라며 "군사독재정권 시절 중앙정보부가 나서 광고주들을 압박해 비판언론을 꺾으려 했다면, 지금은 국민의힘 지도부가 중앙정보부의 역할을 자처하고 나선 꼴"이라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