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논쟁적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진숙 후보자는 논란을 우려한 듯 이내 발언을 취소했다.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열린 방통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나. 강제적인가 자발적인가"라고 질의했다. 이진숙 후보자는 "논쟁적 사안이기 때문에 답변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26일 오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26일 오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민희 위원장은 "이걸 답변 못하나. 이게 논쟁적인가"라며 "누구와 누가 논쟁하고 있나"라고 물었다. 이진숙 후보자는 "답변하지 않겠다. 논쟁적인 사안이라는 것은 취소한다"고 했다. 

이어 이진숙 후보자는 "개인적인 사건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겠다"고 했다. 최민희 위원장은 "이게 개인적인 사건인가"라고 다시 물었다. 이진숙 후보자는 "개별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겠다"고 했다.

최민희 위원장이 "역사관을 묻고 있다. 뉴라이트인가"라고 묻자 이진숙 후보자는 "뉴라이트 아니다"라고 했다. 최민희 위원장은 "대한민국 국민이지 않나. 국민 90% 가까운 분들이 일본군 위안부는 강제적이었다고 판단한다"며 "나머지 10%에 해당하나. 이것을 답 못하는 사람은 방통위원장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진숙 후보자는 "제가 답변하지 않는다고 해서 10%에 속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고 했다. 

7월 26일 MBC 〈뉴스데스크〉 보도화면 갈무리
7월 26일 MBC 〈뉴스데스크〉 보도화면 갈무리

이진숙 후보자는 지난 4월 SNS에 올린 글에서 "일본은 현재 한국과 자유주의 동맹국"이라고 한 바 있다. 최민희 위원장은 "일본이 한국과 동맹국이 맞나"라고 물었다. 이진숙 후보자는 "자유주의를 공유하는 나라라는 뜻이었다. 법적용어가 아니다"라고 했다. 

최민희 위원장은 "자유주의 가치를 공유한다고 하면 되는데 왜 하필 동맹국이라고 썼나. 이걸 보고 누가 그렇게 생각하겠나"라며 "누가 이걸 법적용어라고 말하나. 우리는 상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일본과 한국은 동맹국일 수 없다"고 했다.

최민희 위원장은 "'한일동맹'이 문제인 것은 동맹국이 되는 순간 자위대의 한국 진출이 가능하기 때문인데, 자위대의 한국 진출에 찬성하나"라고 물었다. 이진숙 후보자는 "답변하지 않겠다"고 했다. 최민희 위원장은 "이걸 답변 못하나. 일본군이 한국에 들어오는 문제"라며 "어처구니가 없다. 이 자리에서 이걸 답변 못할 사람은 거의 없다"고 했다. 이진숙 후보자는 "제가 최민희 위원장과 같은 생각을 갖고 있더라도 답변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진숙 후보자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한 입장도 밝히지 않았다. 최민희 위원장이 "일본이 한반도를 식민지화 해 근대화시켰다는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에 동의하나"라고 묻자 이진숙 후보자는 "개별 사안은 답변드리지 않겠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