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회가 추천한 헌법재판관 3인 중 2인만 임명했다. 최 권한대행은 야당이 추천한 마은혁 헌법재판관 내정자에 대해 ‘여야 합의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류했다.
최 권한대행은 예상대로 내란 일반·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최 권한대행은 31일 오후 열린 국무회의에서 “여야 간 합의에 접근한 것으로 확인된 정계선, 조한창 후보에 대해서는 오늘 즉시 임명하되, 나머지 한 분은 여야의 합의가 확인되는 대로 임명하겠다”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마은혁 내정자가 여야 합의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헌법재판관 3인에 대한 임명 절차는 지난달 추경호 원내대표 시절 여야 합의로 시작됐다.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마은혁·정계선 후보를, 국민의힘은 조한창 후보를 추천했으며 인사청문회 일정까지 합의했다.
최 권한대행은 내란 일반·김건희 특검법에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야당이 특검 추천권을 갖는 것은 위헌이라는 주장을 이어갔다. 국민의힘은 이 같은 주장을 내세워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 권한대행에게 거부권 행사를 요구했다.

그러나 국정농단·드루킹 특검은 야당이 추천했다.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 씨는 야당이 특검을 추천한 특검법이 위헌이라며 헌법소원을 제기했으나 헌재는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합헌’ 결정을 내렸다. 윤석열 대통령이 당시 국정농단 특검 수사팀장으로 참여했다.
한편 지난 12일 국회 본회의에서 내란 특검과 김건희 특검법은 각각 찬성 195표로 통과됐다. 당시 국민의힘 김예지, 김용태, 김재섭, 안철수, 한지아 의원이 내란 특검법에 찬성표를 던졌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최상목 권한대행 "국정 안정에 최선"…헌법재판관 임명은?
- 악마의 계산 그만두고 헌법재판관만이라도 임명하라
- 중앙일보 '최상목, 한덕수 탄핵 전 헌법재판관 임명 건의'
- 국민의힘, '내란사태' 27일 만에 공식사과…한편에선 야당 탓
- '내란 피의자' 한덕수 탄핵소추안 가결
- '환율 1400원 뉴노멀' 운운하던 최상목의 한덕수 비호
- 내란은 아직도 진행 중인가
- 조선일보로 반박되는 한덕수 탄핵하면 외환위기 설레발
- 민주당, 한덕수 탄핵소추안 '내란 공범' 적시
- 내란·김건희 특검법 거부권 행사 거드는 위헌 프레임
- 정부 여당은 아직도 윤석열 손안에 있는가
- 헌법재판소 “권한대행의 재판관 임명 가능” 매조지
- 헌재 8인 체제, '윤석열 탄핵 심판' 속도낼까
- 새해 맞은 국힘에 '좀비' '민정당 유전자' '대선 포기' 꼬리표
- 민주당, '윤석열 체포 직무 유기' 최상목 고발
- 민주당 "국힘, 내란 특검 당론 거부…왕 섬기는 봉건주의자"
- '내란·김건희' 쌍특검법 재표결서 부결
- 야6당, '대법원장 추천' 내란특검법 재발의
- 최상목, ‘서부지법 폭동’ 8시간 지나서야 공식 입장
- 윤석열 파면 촉구 시민의견서 캠페인 시작
- 권성동, 불복용 헌법재판관 좌표찍기 "이재명 연수원 동기"
- 이틀째 헌재 좌표찍는 권성동… '탄핵불복' 여론 밑밥?
- 최상목, '내란특검' 거부…대행 한 달만에 7번 거부권 행사
- 경향신문 "최상목, 헌재 결정 따르지 않으면 '국헌 문란'"
- 헌법재판소 흔드는 최상목과 여당의 언론플레이
- 차성안 교수, '최상목 직무유기 10만 고발운동' 준비 중
- '이진숙·최상목' 고리로 헌재 흔드는 조선일보
- 국민의힘, 마은혁 청문위원 선임 통보…이래도 여야 합의 없었나
- 헌재, 전원일치로 "최상목, 마은혁 불임명은 위헌"
- "최상목의 부작위, 최초의 직무유기죄 처벌 사례될 것"
- 헌법 뭉개는 최상목, '10일 내' 조기대선 공고는 따를까?
- 헌법학자들 "헌재 결정 무시하는 한덕수 직무유기 고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