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구성원들이 여권 이사들의 ‘조직개편안’ 강행 처리에 “낙하산 사장 거수기임을 숨기지 않았다”고 규탄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쟁의대책위원회는 26일 성명을 내어 “끝내 조직개악안이 이사회를 통과했다”며 “조직개악을 찬성한 이사 대부분은 새로 취임한 이사들이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KBS를 배워야 할 이사들이 KBS의 미래를 망칠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KBS구성원들이 25일 본관 안에서 '조직개편 철회'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언론노조 KBS본부 쟁의대책위)
KBS구성원들이 25일 본관 안에서 '조직개편 철회'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언론노조 KBS본부 쟁의대책위)

25일 KBS 이사회는 야권 이사 4인의 반발 속에 KBS 경영진이 상정을 요구한 조직개편안을 처리했다. 야권 이사 4인은 표결 전 퇴장했다. 이번에 통과된 조직개편안은 ▲시사프로그램 제작 보도국 이관 ▲기술본부 대규모 축소 등을 골자로 한다. 또 여권 KBS 이사들은 ‘시민평가단’ 운용을 배제한 ‘27대 사장 임명 절차’ 의결을 강행 처리했다.

경영진은 지난 12기 이사회에서 '조직개편'을 추진했으나 다수 이사들과 구성원들의 반대로 철회했다. 그러나 경영진은 13기 KBS 이사회 출범 일주일 만인 지난 11일 조직개편안을 재상정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조직개악안은 제대로 된 구성원의 의견수렴도 거치지 않았고 어떠한 철학도 보이지 않는 단순한 통폐합에 KBS의 제작역량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수없이 말했다”면서 “임기가 두 달 남은 사장이 추진하는 조직개악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 내용도 형식도 모두 글러먹은 조직개악을 새내기 이사들은 승인했다. 낙하산 사장 거수기임을 숨기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여권)이사들은 후임 사장 선임과정을 시작해 놓고서 현임 사장의 조직개악 승인이라는 난장판을 벌인 것”이라며 “조직개악 시점이 11월 4일이라고 한다. 이사회 의결대로라면 10월 23일 후임 사장 후보자가 선출될 텐데, 11월 4일 조직개편에 따른 인사라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KBS 이사회는 26일부터 후임 사장 후보자를 공모하고 다음 달 23일 면접심사와 이사회 표결을 통해 최종 후보자 1명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임명제청한다는 계획이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서기석 이사장을 포함한 여권 이사를 향해 “조직개악을 연임의 구실로 삼은 낙하산 사장에게 놀아난 이사들이 어떻게 투명하고 공정하게 후임 사장을 선임할 수 있는가, 임기 두 달짜리 사장의 조직개악안을 승인한 것부터가 투명이나 공정을 포기했다는 증거”라고 잘라 말했다.

박민 KBS 사장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에서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박민 KBS 사장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에서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이제는 심판의 시간”이라며 “공영방송 KBS 사수를 위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반드시 압도적인 가결을 이끌어내 낙하산 박민 사장과 경영진 심판에 나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KBS본부 쟁의대책위와 KBS노동조합은 현재 ‘단체협약 쟁취와 무능경영 심판, 공영방송 KBS사수를 위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실시하고 있다. 투표 종료일은 다음 달 7일이다. 

전날 야권 추천 KBS 이사들도 이사회 직후 입장문을 내어 “KBS의 미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중대 사안이지만, 합리적이고 충분한 대화와 토론 없이 표결이 강행됐다. ‘다수가 밀어붙이면 그만’이라는 오만과 독선이 KBS를 짓누르고 있다”면서 “박민 사장과 여권 이사들은 KBS를 도대체 어디까지 망가뜨리려 하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