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박민 사장 등 KBS 경영진이 사내 구성원들에게 “과거의 각종 불법, 탈법 행위와 반언론적 행태, 정관과 사규 위반 행위에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는 “경영진은 현 상황에 대한 책임을 느끼기보다 희생양 찾기에 바쁘다"면서 "세월호 다큐 불방으로 시민들의 질타를 받고, <역사저널 그날>의 파행을 야기한 자들이 누구인지부터 규명하라”고 맞섰다.
![박민 KBS 사장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cdn.mediaus.co.kr/news/photo/202406/308960_212872_4632.jpg)
KBS 경영진은 5일 '사원 여러분께 드리는 글'에서 "‘관리사무소가 수신료 징수의 주체가 되는 내용’의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해 수신료 분리고지 시스템 구축이 마무리 단계"라고 자평했다. 이어 “이제는 도약을 위한 새로운 도전에 나설 때"라며 "조직개편과 직급체계 및 승진제도 개선, 임금협상은 왜곡된 KBS의 조직 및 인력 체계의 정상화인 동시에 미래와 도약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KBS 경영진은 ‘수신료 분리고지 시행령 개정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거론하며 “헌법소원과 관련된 핵심적인 법리 공방은 현 경영진이 출범하기 이전인 지난해 10월 사실상 마무리됐다. 현 경영진은 13개 면에 달하는 보정서와 증거자료를 제출하는 등 최선을 다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KBS 경영진은 “그럼에도 헌재의 합헌 결정이 현 경영진의 책임인 것처럼 주장하면서 KBS 미래구상 추진에 발목을 잡으려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공정 방송 훼손·방만 경영의 근본 원인이 된 과거의 각종 불법, 탈법 행위와 반언론적 행태, 정관과 사규 위반 행위 등에 대해 필요할 경우 철저하게 진상을 파악해 상응하는 법적, 정치적, 역사적, 도덕적 책임을 묻을 것”이라고 했다. 헌재 결정이 나온 지난달 31일 박민 사장과 지역 총국장들이 제주도에서 술판을 벌였다고 비판한 언론노조 KBS본부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날 언론노조 KBS본부는 성명을 내어 “헌재 판결이 난 당일에도 꿈쩍 않던 경영진이 무단협 이틀 만에 입장을 냈지만, 자화자찬과 공영방송을 지키려는 구성원들에 대한 겁박으로 가득하다”고 비판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현 위기는 정부가 추진한 수신료 분리고지에서 시작됐고, 이는 공영방송을 길들이려는 정권의 야욕에서 비롯됐다”면서 “헌재 판결과 관련해 KBS 경영진이 맞는지 아연실색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KBS 경영진이라면 당연히 통합고지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최우선이어야 했다"면서 "‘낙하산 박민’ 사장은 탄원서를 썼나, 이전 집행부가 요청했던 공개변론을 위한 노력을 했나, 분리고지로 수입이 줄어들 위험을 얼마나 충실히 설명했나”라고 따져물었다.
이어 “만약 지난해 10월 법리공방이 마무리 됐다는 걸 알면서도 가만히 있었다면 명백한 직무유기”라며 “그 직무유기가 헌재에 13쪽짜리 자료를 냈다고 면피되지 않는다. 이미 질 재판이라 생각하고 제주도에서 만찬을 벌인 것에 면죄부가 되지 않는다”고 강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불법, 탈법 행위 등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는 경영진에 대해 “바깥에서 수신료 분리고지와 2TV 분리를 주장하고, 회사 주변에 조화를 둘러치도록 선동하고, 회사 로비를 유튜버 놀이터로 만든 자들부터 책임을 물어라”며 “구성원 동의 없이 ‘불공정 보도 사례’를 방송하고, 세월호 다큐 불방으로 시민들의 질타를 받고, <역사저널 그날>의 파행을 야기한 자들이 누구인지부터 규명하라”고 요구했다.
언론노조 KBKS본부는 “지금 경영진은 현 상황에 대한 책임을 느끼기보다 책임을 미루고 희생양을 찾기에 바쁜 모양”이라며 “적어도 제대로 된 경영진이라면 구성원들을 겁박하는 입장을 낼 것이 아니라 현재 상황에 대한 냉철한 인식을 근거로 앞으로 비전을 명확히 제시하고 설득력있게 동참을 요구했어야 한다. 지금 KBS 경영진의 수준이 KBS의 주소인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단독] 공영방송 KBS, 기자·PD 광고 영업 캠페인 중
- KBS "7월부터 분리된 수신료 고지서 발송 예정"
- KBS이사회, '다음달 시행' 수신료 분리징수 보고도 못받아…왜?
- '6천 가구' 아파트 관리사무소 수신료 징수 업무 거부
- KBS가 그리는 '장밋빛' 7월 1일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
- '수신료 통합징수' 방송법 발의…"가뭄에 단비"
- 과방위 달군 김장겸 이해충돌-KBS 사장 불출석
- KBS, 수신료 통합징수 방송법에도 '분리징수 마이웨이'인가
- '수신료 통합징수법' 사내 협의체 걷어찬 KBS사장
- "박민이 할 일은 밀실 조직개편이 아니라 KBS 떠날 준비"
- KBS PD들 "추적60분 보도본부 이관, MB 때 판박이"
- KBS '조직개편' 날치기 일단 불발…구성원 "반대" 한목소리
- 바람 잘 날 없는 KBS, '무급휴직' 추진…"박민 연임용인가"
- 수신료 통합징수, '3% 배분' EBS도 찬성…KBS는 방관
- "수신료 통합징수 요구하기에는 부족하다"는 KBS 사장
- 언론노조 KBS본부 쟁의대책위, '박민 신임 투표' 실시
- "새 이사 원천무효" 반발 속 KBS 이사장 호선 '속도전'
- '불신임 98.75%' KBS사장 "조직개편 반대는 기득권 향수"
- KBS 양대노조, '무능경영 박민 심판' 쟁의행위 투표 실시
- 여권 KBS이사들, 구성원 대다수 반대 '조직개편안' 강행 처리
- KBS 구성원 "선무당이 조직개악안 강행…심판의 시간"
- '박민 조직개편' 반발한 KBS 제작본부 팀장들 '보직사퇴'
- 언론노조 KBS본부 '쟁의 찬반투표' 가결…찬성률 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