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고위공직자수사처(공수처)가 속한 12.3사태 공조수사본부(공조본)가 ‘내란 수괴’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다가 대통령 경호처와 5시간 30분간의 대치 끝에 중단했다. 

공조본은 “법에 의한 절차에 응하지 않는 피의자의 태도에 심히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기한은 오는 6일까지다. 더불어민주당은 박종준 경호처장을 내란 혐의로 고발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경내에서 공수처 수사관 등이 내려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경내에서 공수처 수사관 등이 내려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공조본은 3일 오후 공지를 내고 “체포영장 집행과 관련, 계속된 대치상황으로 사실상 체포영장 집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집행 저지로 인한 현장 인원들 안전이 우려돼 오후 1시 30분쯤 집행을 중지했다”면서 “향후 조치는 검토 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조본은 “법에 의한 절차에 응하지 않은 피의자의 태도에 심히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공조본은 4∼5일 체포영장을 다시 집행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 등은 이날 오전 8시 4분께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시작했다.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공수처 인원 30명, 경찰 특별수사단 인원 120명 총 150여 명이 투입됐다. 

그러나 경호처는 관저 내부 통로에 소형 버스와 군용 전술 차량으로 저지선을 구축해 영장 집행에 나서는 공수처·경찰 인력을 막아섰다. 이 과정에서 경호부대와 수사 인력 사이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경호부대는 관저 외곽 경비를 맡고 있는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55경비단이다. 경호부대는 대치 끝에 소형 버스와 군용 차량을 물렸고, 수사 인력은 관저 경내로 진입했다. 하지만 관저 건물 앞까지였다. 

3일 연합뉴스TV 뉴스특보 갈무리
3일 연합뉴스TV 뉴스특보 갈무리

공수처는 체포 및 수색 영장을 제시하고 협조를 요청했으나, 박종준 경호처장은 경호법과 경호구역을 이유로 거부했다. 대치 과정에서 윤 대통령 측 김홍일·윤갑근 변호사,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 등이 관저 건물로 들어갔다. 공조본은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5시간 반 만에 중단을 선언하고 수사 인력을 철수시켰다. 지난달 31일 발부된 윤 대통령 체포영장 시한은 오는 6일까지다. 

한편 민주당 법률위원회는 이날 박 경호처장을 비롯해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이완규 법제처장, 박성재 전 법무부장관, 김주헌 민정수석,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인성환 안보실2차장, 최병옥 국방비서관 등을 내란 혐의로 고발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법률위는 박 처장에 대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약 3시간 전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을 안전가옥으로 데리고 왔다는 보도가 있다”면서 “또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에게 비화폰을 전달해 김용현 전 국방장관과 비상계엄과 관련해 연락하도록 협조했다는 보도도 있다. 수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