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쟁의대책위원회가 “최재현 보도국장이 계엄 발표 2시간 전쯤 대통령실로부터 ‘계엄 방송’을 준비하라는 언질을 받았다는 소문”이라며 “사실이라면 사퇴는 물론이고 당장 사법 처리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4일 성명을 내고 전날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 앞 취재 현장을 거론하며 “KBS 기자들은 제대로 인터뷰를 하지도, MNG 연결을 할 수도 없었다. KBS 카메라를 보고 욕설과 울분을 쏟아낸 시민들의 육성이 카메라에 그대로 담겼기 때문”이라고 한탄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이유는 간단하다. ‘국민의 방송’이라는 KBS가 국민의 마음을 떠나 정권에 굴종했기 때문이고, 민주주의의 가치를 훼손하고 도저한 역사의 흐름에 역행했기 때문”이라면서 “비상계엄 특보 역시 참사였다”고 비판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당일 KBS는 ▲신속히 특보 체제를 가동하지 않아 한참 동안 <시사기획 창>이 방송됐고 ▲타사가 국회 앞 현장 상황 영상을 재빠르게 보여줄 때 대통령 담화와 의미 없는 해설로 시간을 보냈고 ▲야당 대표와 국회의원들의 기자회견을 뒤늦게 방송하고 ▲여·야 균형을 맞춘다는 형식논리로 비상계엄의 원인은 야당에 있다는 여당 인사의 발언을 버젓이 방송했다고 지적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낯뜨거워서 KBS 뉴스를 볼 수가 없다는 시청자들의 항의가 줄을 잇고 있다”면서 “더 이상 KBS를 추락시키지 말고 박장범 사장 후보자, 장한식 보도본부장, 최재현 보도국장, 김성진 방송뉴스 주간은 당장 회사를 떠나라”고 말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더욱 충격적인 건 최재현 보도국장이 계엄 발표 2시간 전쯤 대통령실로부터 ‘계엄 방송’을 준비하라는 언질을 받았다는 소문”이라며 “사실이라면 대통령실이 KBS의 편성에 명백히 개입해 방송법을 위반한 것이고, 최 국장은 사퇴는 물론이고 당장 사법처리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이날 오전 사측이 비상근무명령 지침을 연말까지 시행하겠다고 공지했다면서 “이런 형식적인 문서로 직원들을 협박하려 들지 말고 비상계엄 특보나 철저히 하라. 국민이 왜 윤석열 정권에 분노하고 있는지 이번에도 제대로 보도하지 않고 진실을 외면한다면 국민들의 분노가 KBS와 최재현 당신으로 향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상근무명령 지침 발동 시 보도본부 소속 직원들의 휴가는 불허되고 휴가자는 복귀해야 한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민주주의와 양심, 방송의 공정성을 지키려는 KBS의 모든 구성원과 함께 싸울 것”이라며 “체제 전복을 노리는 반국가 세력은 국회의원도 국민도 아닌 바로 윤석열과 부역자 일당이다. 윤석열 반동 세력에 맞서 반드시 언론 민주화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윤 대통령, 몰락 재촉하는 '비상계엄' 선포
- 계엄사 포고령 1호 "모든 언론·출판 통제"
- 국힘, '윤 대통령 탈당 요구' 결론 못 내
- '계엄 건의' 김용현 "중과부적…수고했다" 논란
- 계엄군 들이닥친 밤 '윤석열·김건희 위한 기도' 올린 신평
- 언론현업단체들 "비판언론 옥죄는 윤석열 하수인도 계엄 공동정범"
- 윤석열, '계엄 해제' 침묵 동안 '거부권' 만지작?
- 조국혁신당, 윤석열·김용현 등 내란죄로 형사 고발 예정
- 김상욱 "추경호 당사 소집, 국회 표결 혼선 초래" 격앙
- 윤석열 탄핵 본격화… 동아일보 "시대적 괴물이 아닐 수 없다"
- 민주당 "윤석열, 즉각 퇴진 않을 경우 탄핵 나설 것"
- 윤석열의 비상계엄, 2시간 35분 만에 효력상실
- 변협 "윤 대통령 비상계엄, 실체적으로 절차적으로 모두 위헌"
- 한동훈 "군·경, 반헌법적 계엄에 동조하고 부역해선 절대 안돼"
- 우원식 국회의장 "비상계엄, 헌법에 따라 대응…의원 전원 국회로"
- [속보] 무장 군인 국회 본관 진입 시도
- 이재명 "비상계엄 해제 위해 국회로 와 달라"
- 빠르면 6일 새벽 탄핵안 표결…"국힘, 내란공범 되지 말라"
- '계엄 건의' 김용현, 탄핵안 발의 직후 사퇴…"송구스럽게 생각"
- '친위 쿠데타' 윤석열 탄핵, 국민의힘 박수로 반대 당론 채택
- KBS 기자들 "특보 시청률, 종편보다 낮아…국민 외면 시작됐다"
- 대통령실, 국내 언론엔 입 닫고 외신에 거짓 해명 남발
- 국경없는기자회 "윤석열 언론통제 시도…한국 언론자유 여전히 위태"
- KBS 기자들 "이러다가는 내란 공범…특별취재팀 가동하라"
- 과방위 야당 "'친내란' 류희림·KBS 보도국 간부 경거망동 말라"
- 야권 KBS이사들 "탄핵 정국 속 박장범 취임, 국민의 KBS 외면 부채질"
- 박민 "비상계엄 사태 KBS 역할 중요" 이임사
- KBS구성원, '계엄 사전 언질' 의혹 사장·보도국장 고발
- 윤석열 계엄의 밤, 농인들은 상황 파악조차 어려웠다
- "KBS기자들, 소수 간부의 뉴스 큐시트에 분노·좌절"
- KBS '뉴스9'에 딱 맞춘 듯한 '내란 선동의 확성기 되지 말라'
- 다시보는 KBS '윤석열 내란·탄핵' 늬우스
- KBS, '도로 친윤당' 울려퍼질 때 "권영세, 차분·안정적 성품"
- 시청자위원회가 KBS를 내란사태 옹호로 이끄나
- KBS '대통령과 우두머리', 외압·검열에 가까스로 방송
- KBS '시사기획 창' 제작진 "파우치는 뭐길래 한 줄도 못담나"
- KBS기자협회 "본부장이 '대통령과 우두머리' 난도질…책임 물을 것"
- 이상민, 'KBS 계엄 방송 준비' 의혹 재소환
- "국무위원이 KBS 계엄방송 준비 확인…이래도 잡아뗄 것인가"
- 이상민 "'비상계엄 생방송 예정' 들었다"
- 부정선거 음모 쫓은 KBS '추적 60분' 하루 전 편성 삭제
- "KBS, 극우세력 무서워 '추적 60분' 불방…이러니 '파우치 방송' 손가락질"
- 여인형, 12·3계엄 당일 "KBS에 간첩죄 보도 소스 줘야"
- "사실무근" KBS 부인에도 거듭되는 '내란사태 동원' 의혹
- KBS '군: 항명과 복종' 제작진도 몰랐는데 보수단체 "미뤄져"
- "KBS, 진짜 '국민의방송’으로 다시 바꿔내겠습니다"
- 내란 특검보 추천에 KBS 내부 "내란 수사 제대로 되겠나"…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