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국민의힘이 대선 경선 후보자를 2인으로 압축했다. 하지만 언론은 정치성향을 불문하고 '한덕수 단일화' '반이재명'만 남은 경선에 기대를 갖기 어렵다고 장담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가 기정사실화되면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은 '2부 리그'로 격하됐다. 비전 경쟁을 뒤로하고 반탄-찬탄 논쟁, '반이재명' 구호, 인신 비방이 한창이다. 이를 두고 조선일보는 "뻔한 대선 결과"라고 촌평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22일 영국 시사주간지 '더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를 하는 모습. 국무총리실은 해당 사진을 지난 28일 공개했다 (국무총리실=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22일 영국 시사주간지 '더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를 하는 모습. 국무총리실은 해당 사진을 지난 28일 공개했다 (국무총리실=연합뉴스)

지난 29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 최종 경선에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진출했다. 김 후보는 반탄파, 한 후보는 찬탄파다. 국민의힘은 현재까지 '내란 우두머리' 피고인 윤석열 전 대통령을 출당시키지 않고 있다. 두 후보는 한덕수 대행과의 단일화와 관련해 '경선 기간에 단일화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단일화 논의는 경선이 끝난 이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채널A는 한덕수 대행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단일화 후 국민의힘에 입당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고 [단독] 보도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한덕수 대행과 자당 후보의 단일화를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앞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정대철 헌정회장에게 '단일화와 관련해 좋은 얘기 해달라'고 당부한 사실이 다수 언론에 보도됐다. 한덕수 대행과 만났다는 정대철 회장은 "국민이 (한덕수를)불러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29일 권성동 원내대표는 "우리 당 후보끼리 경쟁해서 한 분이 결정되면, 더 큰 집을 짓기 위해 단일화 경선을 할 예정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당의 후보가 한덕수 대행과 경선해서 누가 이길지도 모른다. 단일화 경과는 확정적 사실이 아니어서 국민의 관심을 더 끌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대선 최종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왼쪽)·한동훈 후보가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3차 경선 결과 발표 후 꽃다발을 들고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최종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왼쪽)·한동훈 후보가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3차 경선 결과 발표 후 꽃다발을 들고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30일 동아일보는 사설 <대선 관리자는 출마 기웃, 국힘 집행부는 그런 그에게 기웃>에서 "이 모든 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게 맞서기 위한 전략이라지만, 과도기 국정 책임자는 대선에 기웃대고 공당의 경선 관리자는 그런 그에게 기웃대는 모습으로 어떻게 국민 마음을 얻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대선을 중립적으로 관리하고 과도기 정부의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할 책무가 있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그것도 파면된 대통령 밑에서 국정 2인자로 3년간 재직해 온 인물이 ‘심판’이 아닌 ‘선수’로 직접 뛰는 게 과연 국민 상식에 맞느냐는 지적이 많지만 한 대행도, 국민의힘도 이런 여론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동아일보는 한덕수 대행이 즉각 입당해 재경선을 치를 경우에는 '부전승 특혜' 논란이, 단일화 관련 밀실 합의가 이뤄질 경우에는 절차적 하자·당원권 훼손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사설 <金 대 韓 경선 이은 단일화, ‘뻔한 결과’ 향해 가나>에서 "대통령 선거가 '누구를 막기 위한 것'이 전부가 될 수는 없다"며 "지금까지 국힘의 경선은 탄핵 문제로 대립하거나 후보들 간의 수준 낮은 언쟁만 보여줬을 뿐이다. 한 대행 추대론이 부상하면서 국힘 경선은 '2부 리그'가 된 듯한 느낌을 줬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이래선 국힘 후보가 선출돼도 지지율 상승 효과가 나오기 힘들다. 그런 상태에서 한 대행과 단일화를 해도 정치적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뻔한 결과를 향해 가는 경선과 단일화는 뻔한 대선 결과를 낳을 뿐"이라고 했다. 

중앙일보는 사설 <김문수·한동훈, 보수 재건 위한 비전 경쟁 보여 달라>에서 한덕수 대행이 출마한다고 해도 지지층 확장이 얼마나 이뤄질지 알 수 없다며 "이런데도 당 지도부까지 단일화에 목을 매고 있다. 이러니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이 후보가 독주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라고 했다. 중앙일보는 "이렇다 할 집권 전략도 없이 '이재명 때리기'에만 몰두한다면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승부는 뻔하다"고 했다. 

세계일보는 사설 <한덕수로 시작해 한덕수로 끝나가는 국힘 경선>에서 "한 대행의 출마 가능성이 제기되며 국민의힘 경선은 시작부터 국민의 관심을 거의 못 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스스로 '차출론' 운운하며 자당 소속 대권 주자들보다 한 대행에 더 눈독을 들인 데 따른 업보 아닌가.(중략)국민의힘은 '한덕수만 바라보는 집단'이란 비아냥을 듣지 않으려면 먼저 보수의 가치부터 명확히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한국일보는 사설< '한덕수 단일화' 예선전 된 국민의힘 경선, 뭘 기대하겠나>에서 "후보를 배출할 자생력 없는 정당에 국민이 무엇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라고 했다. 한국일보는 "국민의힘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대선 때마다 후보 영입론으로 몸살을 앓았다.(중략)공교롭게도 김 후보와 한 후보, 영입 대상인 한 대행은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위원을 지낸 이들"이라며 "쇄신은커녕 반성도 없이 '반이재명 연대'를 명분으로 한 단일화 전략으로 대선 승리에 필수적인 중도층 지지를 바라는 건 염치없지 않은가"라고 질타했다. 

한겨레는 사설 <한덕수 맞이용 2부 리그 자처하는 국민의힘 경선>에서 "민주주의를 전복하려 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며 사실상 내란에 동조한 당이, 정권의 2인자를 데려와 ‘반명 빅텐트’를 꾸리겠다고 나서는 것"이라며 "어이없는 일"이라고 했다. 한겨레는 "윤석열 정권 실패의 공범이자 윤석열 탄핵심판을 방해한 한 대행이 대선에 나서겠다는 것도 비상식적이지만, 기껏 시간과 비용을 들여 뽑은 공당의 대선 후보를 한 대행의 ‘페이스메이커’로 활용한다는 발상 역시 황당하긴 마찬가지"라고 했다. 

경향신문은 사설 <김문수·한동훈 결선, 윤석열 출당 없는 ‘탄핵 경선’ 공허하다>에서 "나라를 엉망으로 만들고 민주주의·헌정질서를 유린한 내란 우두머리 하나 잘라내지 못하는 게 이 당의 현주소"라며 "그러니 경선에서 나오는 모든 말들이 공허하게 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그러고는 이구동성으로 한다는 얘기가 ‘반이재명’이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단일화요, 실현 여부도 알 수 없고 그 크기도 국민이 정하게 될 ‘빅텐트론’"이라며 "수권정당이 아닌 특정 대선 주자 반대정당으로 스스로를 매김하는 하책이자, 당 경선을 마이너리그로 격하하는 자해적 언동이라 아니할 수 없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