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주요 외신들이 정당 사상 전대미문의 후보 교체 파동이 벌어진 국민의힘의 재집권 가능성에 대해 “더욱 어려워졌다"고 입을 모았다.
11일 AP통신은 “대선 후보 김문수를 한덕수 전 총리로 교체하려는 시도가 실패하면서 벌어진 혼란은 지난해 12월 계엄령을 선포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국민의힘이 겪고 있는 지도부 위기를 여실히 보여주었다”며 “이로 인해 국민의힘의 재집권은 더욱 어려워질 것(possibly doomed)”이라고 보도했다.

AFP통신은 “국민의힘은 12월 계엄령을 선포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된 후 혼란에 빠져있다”고 진단하고 “진보 진영의 이재명 후보가 지지율 선두를 차지하면서 국민의힘에서는 단일 후보가 나오지 않으면 선거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더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고 보도했다.
AFP통신은 “하지만 마지막 순간의 후보 교체는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논란을 일으켰으며 경선 후보들은 지도부를 비판했다”며 “북한에서도 이례적인 일”이라는 한동훈 전 대표의 발언을 덧붙였다. AFP통신은 후보 교체 시도를 “부서진 내부 민주주의(Shattered internal democracy)”라고 규정했다.
로이터통신은 “두 후보 간의 불화는 국민의힘이 정권을 지키려는 치열한 경쟁에 그림자를 드리웠고(cast a shadow), 정책 논쟁은 뒷전으로 밀려났다(taken a back seat)”면서 “반면 진보 진영의 민주당은 기업 정책과 국가안보 구상을 발표하기 시작했다”고 비교했다.
또한 로이터통신은 “국민의힘은 두 후보가 단일화에 실패하자 다른 대안이 없었다며 자신들의 움직임을 옹호했다”며 “불가피한 조치였다”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한다”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의 발언을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6월 대선은 윤 전 대통령의 계엄령으로 촉발된 정치 투쟁의 연장선상에 있다”며 “국민의힘은 내란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윤석열과의 관계를 끊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윤 전 대통령 당시 노동부 장관이었던 김문수를 대선 후보로 선택해 우경화를 더 진행했다”며 “12월 국회 회기 중 윤석열 정부 국무위원들에게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사과 요구가 있었지만 김 전 장관만 당시 고개를 숙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외신 기자, 한덕수에게 “왜 경선 안 했나” 직격
- 대선 전략이 아닌 당권 투쟁의 맥락
- 동아일보 "한덕수 추대 시도, '보이지 않는 손' 규명해야"
- '단일화 쿠데타' 권영세는 사의 표명, 맨발의 권성동은
- 김문수, '쌍권' 면전에 "불법적 반민주적 단일화 중단하라"
- 조선일보 "친윤, 한덕수 앞세워 지방선거 등 공천권 쥐려해"
- 후보 등록 코앞인데 "후보 끌어내리기 손 떼라" "알량한 자리 지키기 한심"
- 동아일보 "국힘 지도부나, 김문수나 도긴개긴"
- 한덕수-김문수 단일화 늪에 빠진 친윤당
- 조선일보, '한덕수 단일화' 목매는 국힘에 "뻔한 결과 낳을뿐"
- 한덕수, 앞에선 거부권 행사-뒤에선 대권 행보 구태정치
- 조선일보도 등돌린 국힘 대선후보 경선 "윤석열 늪에 빠져"'
- 한국일보 "한덕수, 국힘 대선 레이스 좌지우지…'인물 없다' 자인"
- 가능성 없고 몰염치한 제3지대 빅텐트론
- 국민의힘 '극우의 뿌리' 김문수는 누구인가
- 민주당 “김문수, 전광훈이 키우고 윤석열이 지지”
- 민주당 "김문수, 계엄 첫 사과?…윤석열식 '개사과'"
- 중앙일보 "윤석열과 절연 못하면 어떤 분칠도 무용지물"
-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 탈당의 변 "김문수에게 힘 모아 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