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조선일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단일화 논란을 다루며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지 못했다는 독자권익보호위원회의 지적이 나왔다.
조선일보는 지난 12일 열린 독자권익보호위원회 5월 정례회의 내용을 16일 지면에 옮겼다. 독자권익위는 “조선일보는 4월 중순부터 꾸준하게 ‘한덕수 출마설’을 보도했고, 총리직 사임과 출마 선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A1면이나 정치면 톱 기사로 관련 소식을 전했다”며 “하지만 한 후보가 왜 출마하는지, 어떻게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를 할 것인지에 대한 심층적인 취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고 지적했다.

독자권익위는 기사 <국힘 “시간 끌면 안 된다”… 단일화 시한 D-4, 극적 타협 이끌까>(5월 7일자), <한덕수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신”… 빅텐트 행보 계속>(5월 7일자)를 거론하며 “상당히 편파적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독자권익위는 “‘절차’를 밟아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무소속 한덕수 후보에게 ‘양보’하거나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시각을 너무나 쉽게 받아들였고, 이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두는 데 실패했다”며 “양자 사이에서 최소한의 균형을 잡는 데 실패했다. 당내 민주주의적 절차에 대한 최소한의 인식도 보여주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독자권익위는 “조선일보는 한 후보의 ‘임기 단축 개헌’ 화두와 관련, 192석 야당을 두고 어떻게 개헌을 할 것인지 등 핵심적인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며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은 오점으로 남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국힘 “시간 끌면 안 된다”… 단일화 시한 D-4, 극적 타협 이끌까> 기사에서 “범보수 진영 후보 단일화를 둘러싸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당 지도부가 정면 충돌했다”며 6일 김 후보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가 밝힌 입장을 실었다.
이어 조선일보는 “김 후보 측에선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오는 25일 전까지 단일화를 성사시켜도 된다고 맞서고 있다”며 “다만 국민의힘에선 25일까지 단일화 문제를 끌고 가면 성사되더라도 효과가 거의 없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김 후보가 단일 후보가 되면 기호 2번을 달고 대선을 뛰지만, 한 후보가 단일 후보로 결정될 경우 무소속 신분이라 기호 2번을 쓸 수 없다. 국민의힘이 무소속인 한 후보에게 선거 자금을 지원할 수도 없다”며 “경선 때 후보 선출 즉시 한 후보와 단일화 추진에 나서겠다고 했던 김 후보가 미적거리는 배경에 이런 계산이 깔려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고 덧붙였다.

조선일보는 <한덕수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신”… 빅텐트 행보 계속> 기사에서 지난 6일 한 전 총리가 관훈토론회에 참석한 후 이낙연 전 총리와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을 만난 사실을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한 후보는 개헌을 고리로 중도·보수를 아우르는 ‘빅텐트’도 펼칠 것이라고 했다”며 “토론 이후 이낙연 전 총리와 김종인 전 위원장을 만나며 ‘빅텐트’ 불씨를 살려나갔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한 후보 단일화가 지연되면서 조직·자금이 부족한 한 후보가 대선 레이스를 완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말이 나왔다”면서 “한 후보가 대선 출마 선언 직전까지 고심한 건 맞지만, 일단 대선에 나온 만큼 끝을 볼 것이라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안다”는 한 전 총리 측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했다. 조선일보는 “단일화가 빨리 이뤄지지 않는다고 해서 중간에 쉽게 후보직을 내려놓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취지”라고 부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