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극우 음모론’을 퍼뜨리는 언론사에 대한 제재가 무색한 상황에서 ‘통합형 언론자율규제 기구’ 등을 포함한 언론계 논의가 재개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명예교수는 24일 경향신문 칼럼 <신뢰라는 언론 공유지를 어떻게 회복할까>에서 언론 전반의 신뢰도가 하락해 ‘극우 음모론’이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신문윤리위원회는 ‘선거연수원 중국 간첩 99명 주일기지 압송’ 등 스카이데일리 기사 6건에 대해 ‘자사 게재 경고’ 제재를 경고했다. 신문윤리위는 제재 이유로 “어느 때보다도 철저한 검증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객관적 근거를 제시해야 함에도 핵심 주장에 대한 객관적 근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는 스카이데일리에 대해 가장 높은 수위의 제제인 ‘경고’를 내렸다.
정 명예교수는 “이에 더해 인터넷신문윤리위는 올 1월엔 일간신문 기사 23건, 온라인 기사 광고 등에 116건의 제재를 내렸고, 언론중재위원회도 올 1월 101건에 시정 권고를 했다”면서 “언론환경의 변화로 야기된 재정적 어려움보다 더 근본적인 위기는 바로 신뢰의 위기”고 지적했다.
정 명예교수는 “계엄 선포 이후 극심한 사회적 혼란 속에 언론에 대한 불신과 반감이 조롱의 단계를 넘어 폭력화되기 이르렀다”면서 “극단적 정치인들은 기존 언론이 가짜뉴스를 만든다며 불신을 더 부추긴다. 그들 주장이 시민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바탕에는 언론을 믿기 어렵다는 인식이 이미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정 명예교수는 “언론의 신뢰 회복은 개별 언론사의 노력만으로 충분해 보이지 않는다”면서 “사람들은 언론매체 전체에 대해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에 대한 신뢰는 언론사나 언론인 모두에게 일종의 공유지인 셈”이라고 강조했다. 정 명예교수는 “누군가가 사익을 취하려고 공유지를 훼손하면 해당 언론에만 피해가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전체가 지속되기 어려워지고 공유지에 관여된 모두에게 큰 피해가 발생한다”고 부연했다.

정 명예교수는 일부 언론사들이 허위 조작 정보, 선정적 보도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사회적 영향력 강화의 디딤돌로 사용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그것들이 쌓여 언론에 대한 신뢰를 시나브로 갉아먹는다. 신뢰라는 언론 공유지는 날로 황폐해가고 언론이 구성하는 공론장은 허약해질 것”이라고 했다.
정 명예교수는 “대다수 언론인이나 언론사가 아무리 저널리즘 정신에 따라 취재와 보도를 해도 그것만으로는 언론 전체에 덧씌워진 불신을 벗어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온갖 음모론을 발아시키는 자양분이 된다”면서 “언론에 진실이 없다고 여기니 대안적 사실에 눈을 돌린다는 것이다. 음모론에 빠진 사람들은 뉴스에 기반한 공론장을 부정하므로 합리적 토론과 논쟁이 들어설 여지가 좁아진다”고 말했다.
정 명예교수는 “언론의 신뢰 자산은 언론계의 공유지일 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공유지”라면서 “스스로 정화하고 가꾸려는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를 법제화하려는 사회적 요구를 잠재우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 명예교수는 문재인 정부 시절 ‘언론중재법’ 논의가 언론현업단체의 비판으로 무산된 것을 거론하며 “당시 언론현업단체들은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를 설립해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설립 추진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정 명예교수는 "언론계의 제안이 법 개정을 막기 위한 일시적 방편이 아니었다면 이제라도 신뢰라는 언론의 공유지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지 함께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극우 음모론' 스카이데일리, 한수원·한전 광고 '무단' 게재
- 인터넷신문윤리위, '극우 음모론' 스카이데일리 '경고'
- 민주주의 흔드는 스카이데일리, '국민 세금' 정부광고 여전
- '중국 AI 여론조작' 스카이데일리 '미군 정보통', 알고보니 '캡틴코리아'
- 동아일보 "허위정보에 놀아난 집권여당, 음모론 확산 한몫"
- 신문윤리위, '극우 음모론' 스카이데일리 무더기 징계
- 매일신문 기자들 "국장단, 윤석열 ‘결사옹위' 첨병"
- 국민의힘, 비상계엄 후 언중위 조정신청 민주당 3배
- [단독] '직장 성희롱' 남북하나재단 이사장, 스카이데일리 대표이사 겸직
- 경찰, ‘중국인 간첩 99명 체포’ 스카이데일리 수사 착수
- 금융노조 "내란 선동 스카이데일리 광고 중단하라"
- '대법 판결' 설명자료도 소용없는 윤석열 ‘부정선거’ 음모론
- 선관위 직원에 '중국 간첩' 오명 씌운 스카이데일리 고발
- 너나없이 [속보] 공수처 인근 분신 사망 '오보'
- 민주노총, '경찰 혼수상태' 허위보도 언론사·기자 고소
- 이재명과 비밀회동? 외신기자들 "국힘도 참석했던 간담회"
- 류희림 방심위가 쏘아올린 자율규제…"당장 논의 시작해야"
- '류희림 체제 방심위'가 드러낸 행정규제기구의 부작용
- 정치권 압박에 멈춰 선 포털 자율규제기구
- 넘쳐나는 '불법 정보…"'공동규제' 필요성 대두"
- 언론중재위 시정권고 과반 차지한 '클릭 저널리즘'
- 언론피해구제법 개정을 다시 추진해야
- 중단된 언론 징벌적 손배제 논의 "계속돼야”
- 국회 언론·미디어 특별위원회 결국 빈손 종료
- "징벌적 손배제-언론자율규제기구, 투 트랙으로 이어져야"
- 언론보도 규제, 자율과 타율의 조화를 위한 모색
- 언론 자율규제냐 타율규제냐에 "내부 변화가 먼저"
- 언론현업단체의 자율규제기구는 어디쯤 왔을까
- 솜방망이 언론 자율규제…"실질적 불이익 줘야"
- 언론7단체, '통합형 자율규제기구' 연구위원회 구성
- 언론징벌법? 언론중재법 단상, 사라져가는 의안 2112222호
- “징벌적 손배제로 가짜뉴스 못 잡아”
- 언론 자율규제기구 설립 선언, 아직은 실효성 의문
- 언론현업5단체, 언론중재법 사회적 합의기구 제안
- 독일 공영방송, 일단 '윤석열 내란 옹호' 다큐 방송 중단했지만
- "판치는 극우 혐오표현, 이제부터 차별 조사로 권리 구제"
- 내란사태에 횡행하는 ‘따옴표' 저널리즘에서 벗어나려면
- 언론에 비관적인 청년들, 정치 참여는 더 적극적
- "금남로 뒤덮은 5·18 가짜뉴스 인쇄비가 세금이었다니"
- 윤석열 지지자와 친구가 되어야 할까?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두고 이어지는 국회 위협
- 한국, 고소득 국가 중 '가짜뉴스 우려' 1위
- 기자 경험 녹여낸 '저널리즘 리얼리즘'이란
- 이 대통령 "'가짜뉴스' 유튜브 징벌 배상 검토하라"
- 조선일보, 기자들이 꼽은 '불신하는 매체' 5년 연속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