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방송통신위원회의 업무 권한과 위상을 확대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방송정책을 방통위로 이관하고, 방통위원을 기존 5명에서 9명으로 확대하는 내용이다. 또 부칙을 통해 방통위 이진숙 위원장과 김태규 부위원장의 임기 만료를 규정했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지난달 25일 방통위설치법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최 위원장은 법안 제안 이유에서 "과기정통부의 소관사무 중 방송·통신의 융합·진흥을 삭제하는 '정부조직법 일부개정안'이 발의되었으므로 해당 사무를 방통위로 이관할 필요가 있다"며 방통위 소관 사무에 유료방송 정책과 허가·승인·등록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는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설명했다.

또 최 위원장은 방통위에 유료방송 관련 사무가 추가되는 만큼 방통위원을 9명으로 확대하는 개정안을 냈다고 했다. 앞서 최 위원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과학기술정보통신인공지능부'로 변경하고 부총리급 부처로 격상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9인 위원 구성은 대통령이 3인 지명하고 6인은 국회가 추천하도록 했다. 국회추천 몫은 여당이 3명, 야당이 비교섭단체를 포함해 3명을 추천하도록 했다. 상임위원 숫자는 기존 5명에서 3명으로 줄였다. 현행법상 방통위는 대통령 지명 2명, 여당 1명, 야당 2명 등 5명으로 구성된다.
최 위원장은 해당 개정안 부칙에 '법 시행일에 종전의 방통위원 임기는 만료된 것으로 본다'는 내용을 담았다. 개정안의 시행일은 '공포 후 1개월'로 정했다. 만약 최 위원장의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공포된다면 그로부터 1개월 후 방통위 이진숙 위원장과 김태규 부위원장의 임기는 종료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동아일보 "대법원 무시하는 2인 방통위 언제까지 봐야 하나"
- 이진숙 '방통위 마비법' 궤변, 정청래 앞에서 본전도 못 건져
- 방통위, '신동호 EBS 알박기' 항고도 모자라 김유열 직무정지 가처분
- 국회의장이 이진숙에게 "적개심 거북하다" 말한 이유
- EBS사장 알박기가 가능했던 이유
- 2인체제 방통위 '신동호 EBS사장 임명' 제동
- 최민희·김현, 2인 방통위에 "재허가 심사 중단하라" 공문
- “윤석열 정권 언론탄압-언론자유 훼손 책임 묻겠습니다”
- 방문진 이사장 "방통위, 대법원 판결 무겁게 받아들이길"
- 2인 체제 방통위, EBS사장·KBS감사 임명 강행…"알박기"
- 다시 시작된 방통위 2인 체제 의결
- 이진숙, 최민희 방통위설치법 두고 '나를 끌어내리려 해'
- '독임제' 발언 부인한 이진숙, 여전히 방통위 독립성 관심 밖
- 최민희 "방통위 폐지법, 대통령실과 조율? 과방위가 자율적으로"
- "이진숙 당장 그만두면 후임 방통위원장, 대통령과 임기 맞춰져"
- '2인 의결 불법' 법원 판례 무시하는 이진숙의 아전인수
- 이 대통령, 이진숙 겨냥 “비공개 국무회의, 개인 정치 활용 안돼”
- 대통령실 “이진숙, 지시·의견 헷갈리면 국무회의 참석 자격 없다”
- 경찰 수사 재촉하는 이진숙, 국무회의 배석 불허
- 이 대통령 공약 '범국민협의체'로 미디어 조직 개편 가닥
- 기자실 찾아 부인한 이진숙의 '독임제' 발언 사실로 "거짓말 들통"
- 김현, '방통위 폐지-시청각미디어위 신설' 법안 추진
- 이진숙 1인 방통위, 방송3법 시행의 선결과제
- 이진숙 방통위원장, 최민희 과방위원장 고소
- 이진숙, '최민희 고소 취하할 생각 있나' 야당 질의에 "얼마 안 돼서..."
- 이훈기, '독임제-합의제' 미디어 거버넌스 개편 법안 발의
- 김현 방통위 개편법 빨간불…관계부처 '반대' 아우성
- 경향신문 "이진숙, 무슨 염치로 자리 지키겠다는 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