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KBS 보궐사장 후보자 '결선투표’ 파행과 관련해 “정권 낙하산으로 지목된 후보가 과반 투표에 미달하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직면하자 무리수를 둔 것”이라며 재공모를 촉구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도 "낙하산 사장을 선임하기 위해 절차를 연기하는 무리수를 뒀다"고 비판하고 있다. 

KBS 이사회 (사진=KBS)
KBS 이사회 (사진=KBS)

4일 KBS 이사회는 최재훈·박민·이영풍 후보자 면접 심사를 진행하고 최종 후보자 선출 투표를 진행했다. 그러나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았다. 이에 박민·최재훈 후보자의 결선투표가 예정됐으나 서기석 이사장은 합의된 사장 후보 선출 규칙을 깨고 결선투표를 6일 오전 9시로 연기했다. 지난달 20일 KBS 이사회는 사장 임명 제청 절차에 관한 규칙을 제정하고 10월 4일 사장 후보 1인을 임명 제청하기로 결정했다.

또 KBS 이사회는 사장 최종 후보자 3인에 대한 투표 결과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상위 2인을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3차례의 결선투표에도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재공모가 진행된다. KBS 이사회는 여·야 6대 5 구도로 사장 내정설이 돌고 있는 박민 후보자가 최종 후보자로 선출될 것으로 예측됐다. 

민주당 언론자유대책특별위원회은 5일 성명을 내어 “정권 하수인을 앉히기 위해 절차를 무시하고 꼭두각시 노릇을 하던 KBS 이사회가 차기 사장 선임을 연기하는 초유의 사태를 초래했다”며 “오늘 사태는 정권 낙하산으로 지목된 후보가 과반투표에 미달하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직면하자 당초 합의되고 의결된 선임 규칙을 어기는 무리수를 둔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언론자유특위는 “10월 4일까지 임명·제청하기로 한 절차를 위배한 사장 선임은 정당성과 효력을 상실했다”면서 “따라서 KBS 이사회는 차기사장 공모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 것이다. 공영방송을 장악하고, 국민들의 눈과 귀를 가리기 위해 허수아비 사장을 낙하산으로 내려보내려는 윤석열 정권의 반민주주의적 행태가 오늘의 사태를 불러왔음을 분명히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4일 언론노조 KBS본부가 '사장 후보자 면접'을 앞두고 KBS본관 앞에서 피케팅을 진행하고 있다.(사진=KBS본부)
4일 언론노조 KBS본부가 '사장 후보자 면접'을 앞두고 KBS본관 앞에서 피케팅을 진행하고 있다.(사진=KBS본부)

전날 언론노조 KBS본부는 “사장 선임이 당연시 됐던 박민이 과반 득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자, 혹시라도 결선투표에 들어가서 정권의 뜻과 다른 결과가 나올까 지레 겁을 먹고 비상식적인 연기 결정을 내린 것으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며 "여권 이사 가운데 이탈한 표를 설득하기 위해 시간을 번 것 아니고 무엇인가, 현 정권의 방송 장악을 위한 연기 아니고 무엇이냔 말인가"라고 따져물었다. 

KBS본부는 "지금이라도 이사회는 졸속 선임 과정임을 인정하고 공모절차부터 다시 시작하라"며 "미증유의 위기에 빠진 공영방송을 이끌 적격자를 찾기 위한 공모절차를 고민하라. 더이상 정부의 지령을 받아 낙하산 인사를 사장으로 앉힐 생각일랑 애초에 접어라"라고 촉구했다.

KBS노동조합·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KBS방송인연합회는 지난달 26일 성명을 내어 박민 논설위원이 KBS 사장에 임명될 경우 이사회를 고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장 내정설’이 돌고 있는 박민 후보자는 문화일보 논설위원 출신으로 법조언론인클럽 회장을 지냈으며 지난 5월부터 서울대 출신 언론인 모임 관악언론인회 회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 정치학과 출신인 박민 후보자는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대학 후배다. 또 최근 표결로 선출된 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장 역시 법조언론인클럽 회장을 지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