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전후로 두 번째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처음으로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진행했으며 추첨 방식으로 질문 기자를 선정해 호평을 받았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3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30일 기자회견과 똑같이 미리 질문과 답을 조율하는 그런 식으로는 안 할 생각이다. 추첨(질문)제를 좀 더 심화·성숙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날 열린 대통령 수석·보좌관 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날 열린 대통령 수석·보좌관 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홍보수석은 “지난번 기자회견 때 내셔널 어젠다(국가 의제) 질문이 적었는데, 이번에는 어느 한쪽 주제 질문이 많이 나왔다면, 다른 쪽 주제를 유도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7월 열린 이 대통령 ‘30일 기자회견’ 질의응답은 사전 조율 없이 이 대통령과 강유정 대변인이 지목하거나, 추첨 방식으로 이뤄졌다. 추첨에서 선정된 기자 대부분이 지역지·중소 매체 소속으로 중앙지 기자에게 별도의 질문 기회가 주어지는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다.

이 홍보수석은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골자로 하는 여당의 언론중재법 개정과 관련해 “언론에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며 “지금까지 대통령의 발언을 보면 언론이라는 표현은 안 쓰셨고, 허위 조작 정보에 관한 문제점을 몇 차례 얘기하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홍보수석은 일례로 일부 극우 유튜버들이 확산시킨 ‘북한의 핵오염수 방류 음모론’을 거론하며 “(이 대통령이) 이 얘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셨다.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검사까지 해 전혀 이상이 없었는데 계속 ‘그런 정보를 만들고, 조회 수로 돈을 벌려는 것은 사회의 신뢰를 훼손하는 것 아닌가’ ‘국민을 괴롭히고 허위 조작 정보를 흘리는 곳은 문 닫게 해야 하는 것 아니냐’ 이런 말씀은 하셨다”고 전했다. 이 홍보수석은 “일각에서 추진되고 있는 언론만을 상대로 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하라 이런 말씀하신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19일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서 가짜뉴스를 뿌리는 유튜버들 어떻게 할지 법무부에서 좀 검토해 달라”면서 “영리를 위해서 법을 어기는 행위에 대해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0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열린 정청래 대표 등 더불어민주당 신임 지도부와의 만찬에서 본인에 대한 가짜뉴스 사례를 직접 언급하며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김병기 원내대표 등 지도부와 만찬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김병기 원내대표 등 지도부와 만찬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이 홍보수석은 ‘정치인 등 권력자 대상 보도에 대한 징벌적 손배제 도입은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있다’는 질문에 “그 부분은 의원들, 언론 단체에 따라 입장이 달라진다”며 “대기업을 (청구 대상에서)제외하자는 것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정치인들을 배제시킬 거냐 아니냐를 놓고선 사실은 저도 어떤 방향을 하기는 어려운데 전직 언론인으로서만 본다면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되는 것이 아니냐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홍보수석은 “꼭 반대하는 것은 아닌데 이런 부분은 굉장히 신중하게, 숙의를 거쳐야 한다는 생각이다. 학계 등 관련자들의 입장을 충분히 들어야 한다”라고 했다. 

이 수석은 ‘정부광고 집행 방식이나 원칙을 바꿀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온라인·디지털 정부광고 비중을 늘릴 계획’이라면서 “원칙 부분에 대해 어던 문제의식을 갖고 있냐면, 요즘 신문사들도 지면을 줄이고 있다”며 “실질적으로 국민과 소통하는 것은 지면인 아닌 포털, 유튜브 등을 통해 뉴스와 정보가 제공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측면에서 지금 보지도 않는 신문에다 광고비를 집중하는 건 맞지 않는 것 아니냐는 것”이라며 “그렇다고 기존 신문사의 비중을 줄인다는 것은 아니다. 신문사들도 포털과, 유튜브를 하잖나. 그런 쪽에 (정부광고) 비중을 늘릴 생각”이라고 했다.

이 수석은 ‘대통령실 브리핑 쌍방향 중계’와 관련해 “한국 저널리즘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관계자 익명 기사’가 너무 많다는 것인데, (브리핑 과정이) 공개돼 국정의 신뢰도를 높인 측면에서 중요하다”면서 “(기자들을 향한) 조롱과 멸시가 이어지면 제도의 취지가 사라진다. 생중계 과정에서 기자들과 생산적인 대화를 하고 있는데, ‘조롱이나 대립’ 프레임으로 만드는 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최근 브리핑을 중계 화면에 '브리핑 영상을 자의적으로 편집·왜곡해 유포하는 행위는 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는 자막을 표기하고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