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국민의힘이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입장문을 배포하고, 부정선거 음모론을 유통하는 전광훈 목사의 집회에 참석해 탄핵을 막지 못해 죄송하다며 큰절을 했다. '내란 피의자 대변인' '내란 정당' 비판이 안팎에서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위원장 이상휘) '진짜뉴스 발굴단'은 지난 27일 기자들에게 김용현 전 장관 입장문을 보도자료로 배포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수사 결과는 더불어민주당의 발표를 그대로 인용하다시피 한 '픽션'(허구)이며 특수본부장인 박세현 서울고검장을 고소할 것이라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친한동훈계로 분류되는 박상수 전 국민의힘 대변인(변호사)이 페이스북을 통해 "당 공식기구가 김용현 변호인단 확성기란 말인가"라고 반발했다. 박 전 대변인은 김용현 전 장관 입장문에 대해 "이 글은 도저히 변호사가 쓴 글로 보이지 않는다"며 "민주당이 검찰을 지휘해 수사하고 공소장을 작성했다는 것인가. 그렇다면 민주당은 왜 특검에 집착하고 있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박 전 대변인은 '이후 공소기각의 불법에 대하여 재판에서 명백히 밝힐 것'이라는 대목에 대해 "공소기각이란 무죄, 면소와 함께 죄가 안 될 때 법원이 선고하는 판결 선고와 효력이 같은 결정의 일종"이라며 "공소기각의 불법을 재판으로 다툰다는 것은 김용현이 공소기각되면 안 되고 유죄여야 한다고 다툰단 소리인가. 혹시 기소=공소장=공소기각으로 생각하고 쓴건가? 설마?"라고 했다.
류제화 국민의힘 세종갑 당협위원장(변호사)은 페이스북을 통해 "당이 12월 3일 계엄의 밤을 책임지고 대통령과 깨끗이 절연해도 시원찮을 판에 피고인 김용현의 입장을 대변하다니, 도대체 민주당과 싸워 이길 생각이 있기나 한 것인가"라며 "우리가 무슨 낯으로 국민의 지지를 구하겠나"라고 했다. 류 당협위원장은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해산을 촉구했다.
28일 국민의힘 미디어특위는 입장을 내어 박 전 대변인과 류 당협위원장의 비판을 "사익을 위해 국민을 버리는 소탐대실"이라고 평가했다. 미디어특위는 "비상계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데 급급하여 국민의 알 권리와 민주적 절차를 도외시하겠다는 말이나 다름없다"며 "아직 수사결과가 명확히 나오지 않았고 대통령 스스로 국회의원 체포를 명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중략) 미디어특위는 검찰의 공소사실을 비롯하여 민주당 내란진상조사단의 일방적인 발표에 이르기까지 하나하나 검증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박 전 대변인은 "당 미디어특위가 나에 대해 무려 실명 저격 성명을 냈다"며 "내가 무슨 사익을 챙겼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 되고, 당이 김용현과 2인 3각을 하겠다는 것도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박 전 대변인은 "무엇보다 비상계엄의 책임을 회피하는데 급급한 것이 누구인가. 당이 비상계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데 급급하다는 것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날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은 전광훈 목사 집회에 참석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막아내지 못했다. 죄송하다"고 큰절을 했다.

30일 양성희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는 칼럼 <탄핵안 가결, 그 이후>에서 "여당 상황은 점입가경"이라며 "계엄 해제와 탄핵안 가결을 이끈 한동훈 전 대표를 몰아내고 친윤 체제를 굳힌 후, 부정선거 음모론으로 무장한 강성 지지자들과 호흡을 맞추며 대통령 쉴드치기에 여념이 없다"고 했다.
양 칼럼니스트는 "당의 극우화, 합리적 보수의 궤멸을 우려하는 목소리엔 귀를 닫았다"며 국민의힘 미디어특위와 윤상현 의원를 지적했다. 양 칼럼니스트는 "내란 피의자의 대변인을 자처한다는 비판이 쏟아졌다"며 "이 모든 무리수와 궤변이 '이재명에게 정권을 내줄 수 없어서'라는데, 반성 없는 대통령을 껴안고 가당키나 한 일일까"라고 했다.
같은 날 한국일보 김소희 기자는 칼럼<전광훈과 김용현 스피커 된 국민의힘, '내란 정당' 자처하나>에서 "계엄을 옹호하지 않는다면서 '내란 공모' 피의자의 궤변을 당 공식 창구를 통해 퍼뜨렸다"며 "집권여당을 외치던 이들이 불법계엄에 대한 책임을 최대한 모면하려 안간힘을 쓰는 모양새"라고 비판했다.
김 기자는 "'계엄이 곧 내란은 아니다'라는 논리를 세워놓고, 수사기관이 경쟁적으로 규명하고 있으니 당은 한 발짝 물러나 있어도 된다는 식"이라며 "책임은 회피하면서 야권을 공격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중략) 국무위원을 겨냥한 민주당의 '줄탄핵'을 비판하기에 앞서 자신들의 잘못을 먼저 되돌아봐야 할 때"라고 했다. 김 기자는 "한 대행 탄핵 표결과정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앞으로 몰려가 구호를 외치고 항의하며 목소리를 높였지만 국민들의 공감은커녕 조롱거리로 전락한 이유를 정녕 모르나"라고 했다.

경향신문은 30일 기사 <“총 쏴서라도” 충격적 지시에도…국힘, 더 노골적 ‘윤석열 비호’>에서 "대통령이 내란을 일으킨 데 대한 사과와 반성은 없고 야당을 향한 억지 공격으로 극우보수 지지층 결집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국민의힘은 김 전 장관 공소장에 담긴 윤 대통령 지시와 관련한 비판 논평 하나 없이 침묵 중"이라며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저희가 코멘트 드릴 사안은 아닌 것 같다'고 답변을 피했다"고 짚었다.
검찰은 지난 27일 김용현 전 장관을 기소하면서 윤 대통령이 ▲'총을 쏴서라도 국회 본회의장에 들어가 의원들을 끌어내라' ▲'문짝을 도끼로 부수고서라도 안으로 들어가서 다 끄집어내라' ▲'계엄이 해제됐다 하더라도 내가 2번, 3번 계엄령 선포하면 되는거니까 계속 진행해' 등의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는 30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국민의힘이)여전히 윤 대통령과의 관계를 절연하지 못하고 굉장히 묶여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며 "그 중 하나가 미디어특위 보도자료"라고 했다. 박 대표는 "외교부가 지난번에 보도자료를 내서 그것도 논란이 됐는데, 그 이후에도 왜 그런 걸(내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지난 16일 유창호 외교부 부대변인이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내란 사태와 관련해 '헌법주의자의 결단' '의원의 국회 출입을 막지 않았다' 등의 대통령실 입장을 받아 외신에 배포한 것으로 드러났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한덕수는 사람의 아들"이라 바로잡는 국민의힘
- 내란사태 '언론' 탓하는 국힘 항변 '물병 던졌냐' '장갑차냐'
- 한겨레 "내란 보도 법적조치, ‘내란동조당’ 이미지만 굳게 할 뿐"
- “내란 보도에 기계적 균형-정치적 중립 틈이 있나요?”
- 악마의 계산 그만두고 헌법재판관만이라도 임명하라
- 권성동, 윤석열 체포 영장에 "국격 문제"…내란 우두머리 대통령은
- 윤석열, 경호처 손발 묶이고 남은 것은 "극우세력 선동"
- "이장우 대전시장, '입틀막' 윤석열 언론관 빼닮아"
- '키세스 시위대' 시민이 국힘 이상휘 가짜뉴스에 한 말
- '맹윤' 김민전, '백골단' 국회 기자회견 판깔아 …"분변 못 가려"
- '맹윤' 김민전, 백골단 광팔이에 외신 보도가 최고?
- 언론 혐오 절정으로 치달은 국힘 "이재명-외신기자 비밀회동"
- 이재명과 비밀회동? 외신기자들 "국힘도 참석했던 간담회"
- 민주노총, '경찰 혼수상태' 허위보도 언론사·기자 고소
- 내란 국조특위, "선별적 출석" 윤석열 등 동행명령장 발부
- 민주당, 일타 강사의 '부정선거' 영상 고발 대신 "유튜브 정책 위반" 신고
- '쌍권', 서울역 귀성 인사에 "내란 동조세력 국힘당은 해체하라”
- 윤석열·국힘 지도부, '헌법재판관 편향성' 이야기꽃 활짝
- "따옴표 저널리즘, 내란 방조·공모 효과 자극"
- 외신이 보기에도 윤석열과 전광훈은 동맹 관계
- 매일신문 기자들 "국장단, 윤석열 ‘결사옹위' 첨병"
- "'내란 옹호 무비판보다 나쁜 건, '팩트' 취사선택"
- 국힘, "시민들 극우집회 의연하게 대처" 광주방송 방심위 민원
- 동아일보 "허위정보에 놀아난 집권여당, 음모론 확산 한몫"
- '현업 복귀' 김용진 "유튜브 허위정보, 기성매체는 다른가요"
- 연합뉴스 노사 '계엄보도' 논의에 "면피용" 비판 나오는 이유
- KBS, 기존 주장 되풀이 윤석열 최후진술 그대로 송출
- 매일신문, '윤석열 복귀가 국익이다' 극우 칼럼 삭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