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유족들이 공식 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다. 유족들은 윤석열 정부가 참사 발생 한 달 동안 책임회피와 거짓 해명으로 일관했다며 협의체를 구성해 정부에 유족들의 목소리를 정확하게 전달하겠다고 강조했다.

28일 밤 참사 희생자 65명의 유족들은 성명을 내어 가칭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유가족 협의회'를 만들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참사 발생 한 달 만이다. 유족들은 "정부에 유가족들의 목소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희생자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며, 책임자들에게 합당한 책임을 묻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에서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묵념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유족들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을 통해 다른 유족들도 협의회 준비모임에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족들은 "서로의 안부를 묻고, 함께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조치가 없었기 때문에 참사 이후 유가족들은 고립된 채 슬픔과 고통을 이겨내야만 했다"며 "때문에 유가족들은 스스로, 자발적으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야만 했고, 지금 이렇게나마 희생자 65명의 유가족들이 모일 수 있었다"고 토로했다. 

유족들은 진상·책임규명을 회피한 채 국가배상부터 얘기하는 정부를 성토했다. 유족들은 "정작 정부는 제대로 된 사과와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왜 거기에 있었냐'가 아니라 '왜 돌아오지 못했는지'를 물어야 했던 정부는 참사 초기부터 책임을 회피하고 가짓해명을 하는 등 유가족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유족들은 "희생자들이 언제, 어떻게 사망했고, 어떻게 그 병원으로 가게 되었는지, 향후에 어떠한 조치가 취해질 것인지를 유가족들에게 설명해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며 "유가족들의 의사를 전혀 묻지 않고 일방적으로 위패 없는 합동분향소를 운영하고, 추모기간을 설정하였으며, 선심을 쓰는 양 장례비와 위로비를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제대로 된 진상·책임 규명도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왜 국가배상을 검토하겠다는 얘기부터 하나"라고 대통령실을 직격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왼쪽)이 이태원 참사 엿새째인 3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조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왼쪽)이 이태원 참사 엿새째인 3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조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유족들은 또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밝힌 대정부 요구사항에 대해 정부가 답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족들은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의 진정한 사과 ▲성역없는 진상·책임규명 ▲진상·책임규명에 피해자 참여 보장 ▲피해자 소통 보장 및 인도적 조치 ▲희생자에 대한 온전한 추모를 위한 공적 조치 ▲2차가해 방지를 위한 입장표명과 구체적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유족들은 "'사과하라' '유가족과 협의하라', 이런 단순한 요구조차 제대로 응답하지 않는 정부를 우리가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나"라고 따져 물었다. 

한편, 유족들은 시민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유족들은 "수많은 시민분들이 유가족들을 도와주시고, 또 위로의 마음을 전해주시고 있다"며 "용기를 낼 수 있게 함께 서주신 모든 시민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송구한 부탁이지만 억울한 죽음의 진상과 책임이 규명될 수 있도록, 조금만 더 저희와 함께 서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