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윤희근 경찰청장이 이태원 참사 현장 대응이 미흡했다는 점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그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경찰청에 독립기구를 설치해 신속한 수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윤 경찰청장은 1일 서대문구 미근동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안타깝고 비통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면서 “사고를 지켜보면서 충격을 받았을 국민들께 관계기관장의 한 사람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태원 참사' 이후 정부 고위 인사가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한 것은 윤 청장이 처음이다.

윤 청장은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 현장의 심각성을 알리는 112신고가 다수 있었던 것을 확인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고를 처리하는 현장의 대응은 미흡했다. 신고 내용을 보면 사고 발생 이전부터 많은 군중이 몰려 사고 위험성을 알리는 급박한 내용이었는데, 관련 내용은 언론을 포함한 국민에게 소상히 공개하겠다”고 설명했다.
윤 청장은 “사건의 진상을 명확히 밝히고 책임을 규명하기 위해 예외 없이 강도 높은 감찰과 신속하고 엄밀한 수사를 진행하겠다“며 ”특히 사전에 위험성을 알리는 112신고를 받고 제대로 조치했는지에 대해 사실관계를 철저히 확인하고 전반적인 현장 대응의 적정성과 각급 지휘관과 근무자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등도 빠짐없이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청장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경찰에게 맡겨진 책무를 완수하기 위해 제 살을 도려내는 읍참마속의 각오로 임하겠다”면서 경찰청에 독립적인 특별기구를 설치해 진상을 밝히겠다. 나아가 범정부 차원의 재발 방지 대책 논의에 적극 참여해 이런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경찰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이상민, 연일 책임 회피성 발언 "특이사항 없었다"
- 이태원 참사 2시간 전, 부상자 경찰 신고 있었다
- 이태원 참사에 이상민 "경찰로 해결될 문제 아니었다"
- 이태원 참사 사망자 151명…대부분 20대
- 중대본, 이태원 참사 다음날 '이태원 사고' 용어 통일 논의
- 한덕수, 외신 기자 상대로 책임 회피성 발언 '제도 탓'
- 이태원 참사, '정쟁' 말한 언론인과 '미안함' 밝힌 언론인
- 이태원 파출소 경찰관이 "언론에 내던져졌다" 말한 이유
- 이상민, 지난 6월 "경찰 지휘라인은 대통령·총리·행안 장관"
- 윤석열 멘토 천공 "이태원 참사는 엄청난 기회"
- '이태원 참사' 야당 질의 틀어막은 국민의힘
- 국민 70% "이태원 참사, 정부·지자체 책임"
- '정쟁' 앞세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반대하는 보수언론
- 집권여당, 이제는 이태원 참사 '언론 탓'
- YTN, 박성중 이태원 참사 '언론 탓' 반박
- 이 판국에 검수완박 꺼낸 한동훈…검찰 수사 불가능할까
- 이태원 참사, 고개 드는 정파적 이해
- 국가책임 따져 묻지도 못했는데 '정쟁'만 얘기하는 언론
- '10·29 참사' 책임 묻자 "마음의 책임"이라는 용산구청장
- 동아일보 "오죽하면 '사시오패스' 비판 나오나"
- 야3당, 오늘 10·29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요구서 제출
- '이태원 참사' 한 달만에 유족들, '공식 협의체' 추진
- "이태원 참사 진짜 책임자는 이상민·윤희근·김광호"
- '국가위기관리지침' 비공개에 "이태원 참사 책임 회피"
- 한국일보 "유족, '오세훈 눈물을 진심으로 믿었다' 울부짖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