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검찰이 '윤석열 대통령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신학림 전 뉴스타파 전문위원(전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자 '언론자유 침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수사무마 의혹'이 제기된 검사 출신 대선 후보에 대한 검증 보도를 검찰이 일방적 잣대로 수사를 벌여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서울중앙지검 '대선 개입 여론조작 특별수사팀'(팀장 이준동 반부패수사1부장)은 17일 윤석열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 등으로 신학림 전 위원과 대장동 사건 핵심 인물인 김만배 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날 언론개혁시민연대(이하 언론연대)는 논평을 내어 "법원은 검찰의 무리한 영장 청구를 기각함으로써 공정한 재판을 보장해야 한다"면서 "이번 ‘대통령 명예훼손’ 사건은 구속은커녕 기소의 필요성마저 의심스럽다"고 잘라 말했다.
언론연대는 "검찰은 신 전 위원이 김만배의 청탁으로 허위 인터뷰를 하여 윤석열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한다. 과거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은 거짓이며, 신 전 위원이 허위임을 알고도 뉴스타파에 제보해 인터뷰를 보도하게 했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검찰의 주장과 달리 수사 무마 의혹은 진상이 명백하게 규명되지 않았다"고 했다.
언론연대는 "언론의 의혹 제기, 더군다나 대통령 후보 검증 보도의 진위여부를 검찰이 일방적으로 단정해 수사를 벌여서는 안 된다"며 "그것이야말로 부당한 ‘보도 개입’이자 언론자유의 침해이다. 대선후보 검증보도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는 애초에 수사대상에서 제외됐어야 한다"고 했다.
언론연대는 "‘특별수사’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수사결과는 초라하다. 공모는커녕 해당 보도가 허위라는 사실조차 입증하지 못했다"며 "범죄혐의에 다툼이 있고, 구속의 필요성이 없는 상황에서 수사에 실패한 검찰이 무리하게 영장 청구에 나선 건 수사의 목적이 다름 아닌 ‘괴롭힘’에 있다는 걸 보여준다. 또한, ‘빈손 수사’의 책임을 면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심을 지우기 어렵다"고 했다.
언론연대는 "이 사건의 본질은 ‘대선개입 여론조작’이 아니다. 비판 언론에 가하는 검찰(정권)의 ‘법적 괴롭힘’"이라며 "검찰은 무리한 수사와 기소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대통령 권력을 비호하기 위해 언론의 자유를 파괴한 책임을 반드시 치르게 될 것"이라고 했다.

2022년 3월 6일 뉴스타파는 <[김만배 음성파일] “박영수-윤석열 통해 부산저축은행 사건 해결”>보도에서 김 씨가 박영수 변호사(전 특검)와 윤석열 부산저축은행 부실대출사건 주임 검사를 통해 부산저축은행 대장동 불법대출 브로커 조우형 씨에 대한 수사를 무마했다고 밝힌 녹음파일을 공개했다.
뉴스타파 보도의 핵심은 2011년 대검 중수부의 부실수사·수사무마 의혹이다.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은 대장동 사업의 '종잣돈'과 연관돼 있다. 부산저축은행 박연호 회장의 친인척 조우형 씨가 2009년 대장프로젝트금융투자(대장PFV)에 1155억 원의 불법 대출을 알선했다. 조우형 씨는 그 대가로 10억 3000만 원을 받았다. 2015년 조우형 씨는 관련 혐의로 기소돼 징역 2년 6개월 실형을 받았다.
'김만배-신학림 녹음파일'은 2021년 9월 15일 신 전 위원과 김 씨가 나눈 대화내용이다. 신 전 위원은 2021년 9월 20일 김 씨에게 언론·재벌·정치권의 혼맥지도를 담은 책 3권을 판매했다. 뉴스타파가 신 전 위원으로부터 음성파일을 전달받은 시점은 보도 이틀 전인 2022년 3월 4일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뉴스타파 진상조사위 "대선개입 허위보도 가능성 전혀 없었다"
- 미 국무부, '윤석열 수사무마 의혹' 보도 탄압 조명
- 검찰, 신학림·김만배 '혼맥지도' 거래에 '청탁금지법 위반' 적용
- '윤석열 명예훼손' 검찰 수사팀, '허위 문자' 언론플레이 논란
- 4가지 도그이론으로 본 '김만배-신학림' 보도
- 검찰 '윤석열 명예훼손 보도' 수사, 근거는 '안하무법’
- 한겨레 "대선검증 보도가 대통령 명예훼손인가"
- "80년대 언론자유 짓밟던 군홧발, 검찰 구둣발로 바뀌어"
- 뉴스타파 "검찰, 윤석열 한 사람 심기 보위하려 충성경쟁"
- "국민의힘이 뉴스타파 배후라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었죠"
- 김만배 음성파일 보도에 섬뜩하기만 한 대통령실의 깃발
- 긴급심의 논란, MBN은 '윤석열이 커피 주더니 보내줬다' 했는데
- 한겨레 "대검 중수부가 수사 안 했다? 불법대출 부실수사 방증"
- '김만배 음성파일' 뉴스타파 기자 "사건의 본질은 커피 아닌 봐주기 수사"
- "윤 정권 대선공작몰이, 전두환 이후 가장 강도 높은 언론통제"
- 김만배 음성파일 보도 본질 왜곡하는 '윤석열 커피' 프레임
- 뉴스타파 "신학림-김만배 금전거래 파악 못해…깊이 사과"
- 뉴스타파 "김만배 음성파일, 보도 가치 높았고 확인 과정 거쳤다"
- 검찰, '김만배 음성파일 보도' 전 언론노조위원장 압수수색
- 신학림 구속영장에 '공갈' 혐의 붙인 검찰…"하명수사냐"
- '윤 대통령 명예훼손 혐의' 신학림·김만배 구속
- 검찰, '대통령 명예훼손' 혐의로 언론사 대표·기자 기소
- 신학림 "언론탄압 빌미 제공, 송구하다"…"이제 법원의 시간"
- 검찰, 신학림 전 언론노조위원장 재산 동결
-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 언론계 대규모 통신 조회
- 검찰의 언론·야당 무더기 통신조회 다루지 않은 신문은
- "윤석열 검찰, 언론·야당 통신사찰…국민 탄압에 눈멀어"
- '이제는 빅브라더' 검찰 무더기 통신조회 제보 받는다
- 검찰 무더기 통신조회의 또다른 쟁점 '보관 여부' '이통사'
- 검찰 사찰 파문 잠잠한 조선일보…"이래도 되는가"
- "무더기 통신 사찰, '검찰공화국' 확인에 그쳐선 안 돼"
- 검찰, 보수언론·일반인도 통신조회…'최소 10만명' 괜한 말 아닌 듯
- 뉴스타파 "'윤석열 명예훼손' 검찰 불법수사 손배 어디까지나 1차"
- 시민단체, '윤석열 명예훼손 수사' 검찰 관계자 고발한다
- '윤석열 명예훼손 사건' 재판부, 윤석열 증인 채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