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국회 입법조사처가 정파성·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털 뉴스 입법·정책이 일방적인 포털의 책임 강화로 귀결되는 것은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언론에 대한 신뢰저하 문제, 이용자의 정치성향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포털뉴스 정책은 저널리즘에 기반한 언론생태계 구축 등 종합적인 대안으로 제시돼야 한다는 것이다. 

포털 뉴스(CG=연합뉴스) 
포털 뉴스(CG=연합뉴스) 

27일 국회 입법조사처는 '포털뉴스의 평가와 영향'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포털뉴스의 정파성 ▲포털뉴스의 만족도·신뢰도 ▲이용자·언론매체에 미치는 포털 영향력 ▲포털뉴스 자율규제 정책 등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종합했다. 

입법조사처는 "선행연구에서 포털뉴스의 긍정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는 포털뉴스가 정파성을 갖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고, 포털뉴스에 대한 만족도가 전문성과 상호작용성이 아닌 흥미성과 편의성 측면에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또 "나아가 포털뉴스의 이용이 오히려 사회적 신뢰를 낮추고, 매체의 상업화를 유도함으로써 언론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있다는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2021년 연구(황서이·박정배)에서 네이버·카카오 사회면의 경우, 진보성향 언론 기사보다 보수성향 언론 기사가 더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연구(안승섭 외)에서 네이버 포털뉴스 상위 순번 댓글의 경우, 보수성향 비중이 많았고 카카오 포털뉴스는 진보성향의 댓글 비중이 높았다. 또한 2022년 연구(박광순·안종묵)에 따르면 네이버 포털뉴스 댓글의 경우, 국민의힘 후보에 대한 긍정 비율이 높고 카카오 포털뉴스의 경우 민주당 후보에 대해 긍정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뉴스의 이용자 만족도는 전문성·상호작용성보다 편의성·흥미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연구(이효성), 2023년 연구(유우새·정속양) 등은 알고리즘 기반의 뉴스추천 서비스가 편의성·흥미성 차원에서 포털뉴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용자들은 신뢰성에 관해 포털뉴스 자체요인보다는 외부요인이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했다. 포털은 뉴스를 직접 생산하는 주체가 아닌 뉴스를 유통하는 매체라는 인식이 이용자들에게 깔려 있다는 얘기다. 2022년 연구(현기득·채영길)는 포털뉴스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개인의 정치성향과 언론의 신뢰도를 우선 꼽았다. 해당 연구에서 진보성향 이용자는 카카오 포털뉴스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으으며 네이버 포털뉴스에 대한 신뢰는 낮았다. 또 전체 언론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포털뉴스에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입법조사처는 "선행연구에서 본 것처럼 포털뉴스의 정파성이나 신뢰성 등의 문제는 포털 자체의 책임 외에도 언론에 대한 신뢰저하, 이용자의 정치성향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기인한 점도 있다"며 "따라서 저널리즘에 기반한 언론생태계 구축, 이용자에 대한 미디어 교육 강화, 분극화된 정치문화 개선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포털뉴스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입법조사처는 "공적 여론형성에 기여하지 못하고 언론생태계의 상업화를 강화하는 등 공공성을 제약하고 있다면 입법을 통한 법적 규제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 "다만 뉴스 노출 방식 및 댓글 서비스 개편 등 포털의 자율규제가 일정부분 효과성이 입증되었다는 점에서 포털의 자체적인 정책의 적절성과 실질적인 시행 결과가 미흡할 경우 입법·정책을 통해 포털뉴스를 규제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입법조사처는 포털뉴스의 개선과제로 ▲뉴스서비스 제공방식 변화 검토 ▲알고리즘 운영사의 사회적 책임 강화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공적 역할 제고 ▲포털뉴스 댓글순위 정렬 방식 개선 등을 제시했다. 

입법조사처는 포털뉴스 정파성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인식이 존재하는 만큼 현행 알고리즘 추천방식이 아닌 이용자가 포털뉴스를 직접 선택해 소비하는 방식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했다. 입법조사처는 포털뉴스가 알고리즘 추천 방식을 유지하더라도 뉴스 추천이 어떤 식으로 이뤄지는지에 관해 투명성을 보장하는 실질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입법조사처는 사회적 책임 강화 방안으로 알고리즘 재설계를 주문했다. 속보성 기사나 상업적 목적으로 클릭을 유도하는 기사가 아니라 공공성·전문성·심층성이 높은 기사의 유통이 보장되도록 알고리즘을 재설계하는 조치가 검토돼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입법조사처는 "실명제 강화나 댓글폐지와 같이 이용자 참여를 감소시키는 방식보다는, 현행 이용자 참여방식을 보장하되 생산적인 정보를 제공하거나 실질적인 공론형성에 기여하는 등의 댓글을 상위에 반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도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선행연구에서 포털뉴스 댓글은 온라인 정치참여를 확대하는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이성적 정보전달보다 자극적 내용에 따른 감정적 대응을 강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