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김효재 방송통신위원장 직무대행이 26일 열린 국회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미디어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를 위해 알고리즘투명성위원회와 뉴스제휴평가위원회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제출한 업무보고 자료에서 뉴스 기사 배열, 노출 기준을 검증하는 ‘알고리즘투명성위원회’를 법적 기구로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연내에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김 직무대행은 “방송의 공적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공영방송 협약제도를 도입하고 공영방송이 보유한 콘텐츠의 무료 제공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방송사업자 재허가·재승인 심사 시 방송의 공익성·공적책임과 관련된 심사평가를 강화하는 등 미디어의 책임성을 제고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포털 뉴스 알고리즘 실태점검' 근거 따져보니
- 보수언론학자 "제평위 존재감 있었다…문제는 포털"
- 인터넷신문협회 "제평위는 정부가 관여할 일이 아니다"
- 정치권 압박에 멈춰 선 포털 자율규제기구
- 네이버·카카오 "포털 뉴스 제휴평가위 잠정 중단"
- 국힘 '포털뉴스진흥위법'에 "사업자 활동 제한 악용 가능성"
- 국힘, 포털 압박 점입가경…'뉴스 알고리즘 조사법' 발의
- 국민의힘 "윤석열 검색하면 비판기사만…네이버 개혁해야"
- "포털뉴스제평위 법제화는 시장경제 원칙 위반"
- 미디어정책 각 잡은 윤석열 정부
- '포털뉴스진흥위법'에 "포털뉴스, 윤 정권 통제에 두려는 것"
- 포털뉴스진흥위법, 대통령령으로 기사 삭제?
- '총선용 길들이기' 이제는 네이버 차례인가
- 방통위, 올해 '포털 알고리즘투명성위원회' 추진
- 입법조사처, 방통위 포털뉴스 정책에 "정부의 언론개입"
- 포털 제평위 중단 이후 '기사형 광고' 급증
- 과방위 5선 의원 열변 토하게 한 방통위의 네이버 사실조사
- 정부여당의 언론 갈라치기, 이제는 네이버 유사언론 특혜 주장
- 입법조사처 "포털뉴스 정책, 포털 책임 강화가 전부는 아니다"
- 다음 뉴스검색 개편, 정부여당 '언론 갈라치기' 편승했나
- 지역인터넷신문협 "다음 뉴스검색, 풀뿌리 지역언론 말살"
- "다음 뉴스검색 차별, 윤석열 정권 압박 결과"
- 네이버에 '총선 전 좌편향 언론 바로잡으라'는 국힘
- 방통위, ‘포털 제평위 법정기구화 입법 중단' 손사래…왜?
- 방통위, '방심위 권한 몰아주기' 올해 업무계획 발표
- 국민의힘 '포털개혁TF' 출범…"기자협회보도 네이버 C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