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정부·여당을 향해 "온갖 가짜뉴스를 동원해 포털 옥죄기를 시작했다"고 규탄했다.

여권은 네이버가 뉴스 알고리즘을 변경해 조선일보 순위가 떨어지고 MBC 순위가 올랐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소위 진보 매체로 불리는 언론사도 순위가 하락하는 등 네이버 뉴스 검색 순위 변화는 언론사의 정치적 성향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과방위원 방송현안 간담회에서 조승래 과방위 민주당 간사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6월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과방위원 방송현안 간담회에서 조승래 과방위 민주당 간사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일 과방위 민주당 의원 일동은 성명을 내어 "이제 언론탄압으로 부족해 포털탄압인가"라고 여권을 비판했다. 이들은 "여당이 가짜뉴스를 띄우면 특정 언론이 재생산하고, 정부 기관이 동원돼 사업자를 겁박하는 방식이다. 오로지 여론 길들이기가 목적인 폭거"라며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의 뇌피셜을 믿을 국민은 거의 없다. 소란의 목적은 국가 권력을 동원한 포털 길들이기"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난달 29일 특정 언론사가 박성중 의원을 인용해 네이버가 뉴스검색 알고리즘을 보수 언론에 불리하게 바꿨다는 기사를 보도했다. 다음 날 박성중 의원이 같은 내용을 보도자료와 유튜브로 게시하고, 해당 언론사는 다시 '방통위가 긴급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는 예언성 기사를 보도했다"며 "실제로 방통위는 2일 네이버에 대한 실태점검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미리 표적을 정하고 손발이라도 맞춘 듯 일사분란한 포털 사냥이 벌어졌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박성중 의원은 민주당이 네이버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둥, 국정감사에서 네이버 관계자의 증인 채택을 반대했다는 둥 허위 비방도 빼놓지 않았다. 반박할 가치도 없는 가짜뉴스"라며 "네이버의 언론사 순위 변화는 진보 성향도 동시에 하락하는 등 성향과 무관하게 이뤄졌다.(중략)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뉴스를 유통시키지 않으면 '혼난다'는 본때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TV조선은 지난달 29일 과방위 간사 박성중 의원실 자료를 바탕으로 <네이버, '뉴스 검색 인기도' 입맛대로 바꿨다…野 압박에 MBC가 방송사 1위>라는 제목의 기사를 [단독] 보도했다. TV조선은 네이버가 민주당의 지적 직후 뉴스 알고리즘을 변경하면서 기사 배열 순서가 변경됐다고 전했다. TV조선은 "그 결과 통신사 3곳이 상위권이 됐고, 일반 언론사 중에선 MBC가 가장 높이 올라갔다"며 "반면 조선일보는 2위에서 6위로 내려갔다"고 했다. 

하지만 박성중 의원실 자료를 따르더라도 상위 10개 언론사 기준 동아일보·경향신문·한국경제는 순위권 밖으로 밀리고, 뉴스1·JTBC·중앙일보·YTN는 순위권 안에 진입하는 등 언론사의 정치적 성향에 따른 순위변경으로 보기 어렵다. 

방통위는 2일 보도자료를 통해 네이버의 전기통신사업법 금지행위 위반 여부에 대한 실태점검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박 의원 주장을 인용해 "네이버는 이용자의 소비패턴에 따라 뉴스를 노출·추천하는 인공지능 기반 포털 뉴스 알고리즘의 검토위원회를 구성·운영하면서, 언론사 인기도 지표를 인위적으로 적용하고 이를 통해 특정 언론사가 부각되거나 불리하게 하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뉴스 검색 인기도'란 뉴스 검색 알고리즘 요소 20여 개 중 하나일 뿐으로 검색 결과를 뒤바꿀 만큼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또 네이버는 계열사를 많이 가지고 있는 언론사가 뉴스 검색 순위에서 이득을 보고 있는 상황을 외부전문가 검토 의견에 따라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