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TBS가 시사프로그램 잠정 중단을 선언하고, 출연자 제한 심의제도를 도입하는 '공정성 혁신안'을 발표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로부터 허가 받은 시사·보도 기능을 포기하는 이례적인 상황이다.
서울시는 최근 TBS 추경안으로 73억 원을 편성했다. 그러나 추경안을 심의·확정하는서울시의회 김현기 의장은 이날 시의회 개회사를 통해 지난 1년 핵심 성과로 TBS 예산 퇴출을 꼽았다. 내년 1월 TBS 폐지 조례가 시행되면 TBS에 대한 서울시 지원은 '0'원이 된다.

정태익 TBS 대표는 12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TBS 본사에서 "시민 여러분의 따끔한 비판을 귀담아 듣지 못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공정성 강화를 위한 TBS 혁신안'을 발표했다. TBS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빚은 편향성 논란에 대한 반성과 개혁 의지를 담은 혁신안을 발표했다"고 부연했다.
TBS 혁신안의 골자는 ▲TBS 임직원의 부당한 정치활동을 금지하는 임직원 행동강령 ▲방송출연제한 심의위원회 신설 ▲신규채용 전면 중단 및 5년 내 정원 20% 감축 ▲대표·부서장 업무추진비 전액 삭감 ▲간부 연봉 4% 반납 등이다. TBS는 방통위 등의 기관으로부터 법정제재를 받았거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인사는 출연을 규제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지난달 보수단체 모니터링을 근거로 KBS·MBC 공영방송 라디오 패널들에 대해 '좌파' 딱지를 붙였다.
TBS는 내부 직원들의 능력이 성숙해질 때까지 시사프로그램을 편성하지 않겠다고 못박았다. TBS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제작 가이드라인-보도준칙 교육을 의무화 해 프로그램 공정성을 확보하겠다고 했다. 고민석 TBS라디오제작본부장은 "PD들에게 가이드라인을 교육하고, 팀장·본부장들이 데스킹 능력을 갖출 때까지 시사프로그램은 편성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선거철마다 TBS 시사·보도 기능이 불법이라는 주장을 반복해왔다. 법원 판결과 국회 입법조사처 답변 등을 통해 TBS의 시사·보도 기능이 인정됐지만 국민의힘은 불법 주장을 멈추지 않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해 지방선거 국면에서 TBS의 '교육방송 전환'을 주장해 시사·보도 기능을 박탈하려는 것이냐는 비판을 일으켰다. TBS는 방통위로부터 보도를 포함한 방송 전반에 대해 허가를 받았다.

이런 가운데 김현기 서울시의회 의장은 서울시의 TBS 출연금 지원을 확실하게 끊어내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김 의장은 12일 시의회 정례회 개회사에서 지난 1년을 "서울 발전에 족쇄를 채우는 비효율을 단호히 청산하고자 했다"고 자평했다. 김 의장은 불요불급한 예산, 집행 목적이 불분명한 예산, 사업효과가 불투명한 예산을 퇴출하는 이른바 '3불 원칙'을 엄격히 적용했다며 대표 사례 중 하나로 TBS를 들었다고 한다.
김 의장은 지난 9일 조선일보에 실린 인터뷰에서 "TBS에 대한 서울시의 지원을 끊은 것은 비정상적인 방송을 일삼은 TBS를 정리하라는 시민의 뜻을 받든 것"이라며 "TBS는 ‘출연 제한 심의위원회’ 신설 등 내부 혁신을 내세워 다시 예산을 달라고 하지만 이는 예산을 받기 위한 임시 방편이다. TBS는 교통방송으로 사명을 다했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TBS에 대한 세금 지원은 없어야 한다는 입장은 확고하다"며 "서울시 추경안에 TBS 인건비·운영비 73억원이 들어갔는데 면밀하게 검토하겠다. TBS 폐지를 전제로 한 퇴직금충당예산은 필요하다고 보지만 운영비 예산을 넣은 것은 서울시의 자가당착"이라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추천키워드
관련기사
- 국힘은 '좌파패널' 좌표찍기, TBS는 '출연 제한 심의' 추진
- 국힘 '좌파패널' 딱지, 근거는 보수단체 '모니터링'
- 박성중 "공영방송 혁명 위해 앞으로 3개월 굉장히 중요"
- 민언련, 'TBS 주민조례안' 확정
- TBS 사장에게 '노조 불법 캐내라'는 국민의힘 시의원
- TBS 제작진 "현재 제작비 0원, 탄압적으로 느껴져"
- 방송사 따라 방송심의 잣대 달라지나?
- TBS 구성원, '서울시의회 TBS 조례폐지' 행정소송
- 민언련, '지역공영방송 TBS 주민조례안' 발안한다
- 정태익 TBS 대표 "개편 TF로 채널 정체성 재정립"
- TBS 사장에 정태익 확정
- TBS 이사회, '조례 폐지안' 행정소송 결정
- “언론자유와 미디어 공공성의 위기, 정권유지 전략과 연관”
- 'TBS 불공정' 내부 조사, 직원 40% 참여 안 해
- 오세훈, TBS 예산 쥐고 "진정한 언론으로 거듭나라"
- 김어준 "올해 말까지 '뉴스공장' 진행한다"
- 오세훈, 'TBS 폐지 조례안' 재의 요구없이 공표할 듯
- 'TBS 지원중단', 서울시의원이 밝힌 “불가피한 결정” 이유는
- 두 줄짜리 'TBS 폐지 조례안' 상임위 통과... 원안 수정, 왜?
- TBS, '조례 폐지안' 맞서 '시민참여·지역이슈' 강화안 발표
- "TBS 반성문, 신군부 언론통폐합 각서와 유사"
- KBS의 미래? 추경을 무기로 TBS '인적 청산' 요구
- '인적 청산' 거부한 TBS 추경안 결국 무산
- TBS 아나운서가 '방송작가' 상 받은 사연
- TBS 이사장에 '박근혜 애국 코드' 박노황…서울시 "시의회 소통 적임자"
- TBS, 국힘 서울시의원 요구대로 김어준 손배 청구
- "'시정 홍보', '부당 해고'…TBS를 어디까지 망가뜨릴 셈인가"
- 서울시, 'TBS 지원 폐지 조례' 시행 6개월 연장 요청
- TBS 대표·이사장, 결국에 '민영화·구조조정' 선언
- TBS, 2024년 1월 1일부터 서울시 출연금 0원
- TBS 지원폐지 조례 시행 '5개월' 유예
- "이대로라면 공영방송 최초의 폐업 사태 맞이할 겁니다"
- 생계 위협 내몰린 TBS 직원·가족들, 오세훈·김현기에 '호소문'
- TBS 대표·경영본부장 사표…경영 리더십 붕괴
- 오세훈 "TBS 직원 생계 고민"…민영화 백지화는?
- TBS 양대노조가 "민영화 전면 백지화" 요구하는 이유
- '폐국 위기' TBS, 대표 퇴사에 추가 희망퇴직 권고
- 서울시, TBS '폐국' 몰아넣고 '헤어질 결심'
- '공공기관·지자체 인수' 활로 찾는 TBS
- 언론노조 TBS지부 "굴종의 혁신안 찢어버릴 것"
- TBS사측, 노조 '공영방송 정상화 선언 장소' 불허
- "오세훈방지법 추진하겠다" TBS 공영방송 정상화 선언
- TBS 라디오본부, 2년 만에 '시사 기능' 복원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