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공영방송 이사진을 "하나도 못 먹고 있다"고 발언했던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이 '공영미디어 혁명을 위한 3개월'론을 꺼내들었다.  

박 의원은 "앞으로 3개월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KBS·MBC·YTN·연합뉴스·EBS 등 공영미디어를 중립적으로 만들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앞으로 3개월'이란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임기 만료 시점인 7월을 말하는 것으로 여권의 '공영미디어 장악 시간표'로 해석된다.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디어연대 5주년 행사에서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이 축사하고 있다 (유튜브 ')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디어연대 5주년 행사에서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이 축사하고 있다 (유튜브 '자유미래TV' 생중계 화면 갈무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여당 간사인 박 의원은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디어연대 창립5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박 의원은 축사에서 "지난 5년 동안 겨울을 보냈는데, 겨울이 끝나면 봄이 와야 되는데 아직도 '춘래불사춘'"이라고 말했다. 정권이 바뀌었지만 공영방송은 그대로라는 얘기다. 

박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서는 거의 6개월 만에 방송을 다 장악했다. 어떻게 해서든 이사회에서 쫓아내고 사장을 경질해 냈다"며 "포털도 마찬가지 형태로 (장악)했다. 그리고 유튜브도 그런 대로 (장악)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 거의 1년이 다 되어 가는데 방송이 정말 공정하게 방송하고 있나. KBS를 비롯해 MBC, YTN, 연합뉴스, EBS, TBS까지 전반적으로 기울어져 있다"면서 "문재인 정부 때 기울어진 포털은 진보 미디어가 주로 뜨는 형태가 되어 버렸다. 유튜브는 상업성이라는 이유 때문에 구독자가 많을수록 상단에 떠버리는데 지금은 우리(보수진영)가 강세인 입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미디어가 중립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고, 그 시점은 바로 앞으로 3개월"이라며 "굉장히 중요한 시점이자 전환의 시점이다. 공정한 미디어가 될 수 있도록 힘을 합쳐야 하는 바로 그 시점이 왔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여러분이 대략 다 아실 거다. 방통위라든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라든지, KBS, MBC, YTN, 연합뉴스 모든 매체가 다 거기에 걸려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제 우리가 이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을 때가 됐다. 정말 올 한 해, 3개월이 제일 중요한데 미디어 혁명을 통해서 중립적인 미디어로 다 거듭날 수 있도록 나아가자"고 말했다. 

공영방송 3사 사옥
공영방송 3사 사옥

박 의원은 지난해 12월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 창립준비위 발족식에 참석해 공영방송 이사진을 구성하는 여야 추천 비율을 거론하며 "(국민의힘이)하나도 못먹고 있다"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박 의원은 "우리는 6개월이 지났는데 아무 것도 못 하고 있다"며 "누군가 책임지고 뭔가 해야 되는데 '법'과 '합리적'이라는 이름 하에, 아무 것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이 강조한 '앞으로 3개월'은 한상혁 방통위원장 임기만료 시점인 오는 7월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원장은 공영방송 이사 임면권을 가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방통위를 둘러싼 감사와 수사는 한 위원장의 자진사퇴와 공영방송 지배구조 교체를 노린 것이라는 언론시민사회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여권이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교체하려 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 위원장은 방통위설치법이 보장하는 임기를 채우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고, 한 위원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는 법원에서 기각됐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