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여당이 추진 중인 김건희 특검법 개정안 수사 대상에 ‘MBC·YTN 탄압 의혹’이 추가됐다.

특검 수사 과정에서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통일교 전 간부에게 “MBC 내년에 없애려고 하는데” “YTN 인수할 수 있도록 조치하려 한다” 등의 문자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법사위는 26일 3대 특검'(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의 수사 기간을 연장하고 수사 인력과 범위를 확대하는 특검법 개정안을 법안심사 제1소위원회에 회부했다. 특히 김건희 특검법 개정안은 “김건희 및 그 측근의 MBC 및 YTN에 대한 경영간섭 및 탄압 의혹 사건” 등을 수사 대상으로 명시했다. 

김건희특검은 파견 검사를 40명에서 70명으로, 파견 공무원은 80명에서 140명으로 확대하고 특별검사보도 6명으로 증원한다는 계획이다. 특검이 기간 내 수사를 끝내지 못할 경우 2회에 걸쳐 수사 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3대 특검 개정안은 다음 달 정기국회에서 일괄 처리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3대특검대응특위 위원들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안과에 3대 특검법 개정안을 제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3대특검대응특위 위원들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안과에 3대 특검법 개정안을 제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앞서 김건희 특검팀은 건진법사 전성배 씨와 통일교 전 본부장 윤영호 씨가 윤 전 대통령의 ‘바이든 날리면’ 파문 이후인 2022년 10~11월경 ‘우호적인 언론이 필요하다’는 문자 메시지를 나눈 것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 씨는 윤 씨에게 “MBC 내년에 없애려고 하는데 강경하게 밀어붙이시라 했다” “좌파 방송과 언론을 잘 다스려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 씨가 MBC를 없애려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부추겼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윤 씨가 “언론이 중요하다”는 취지로 호응하자 전 씨는 “지금은 검찰, 경찰 모두 동원해 법치로 가야 한다”며 “공포정치도 좋으니 피바람 일으키는 것도 좋다”는 취지로 말했다.

2022년 9월 21일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재정공약회의에 참석한 후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은 쪽팔려서 어떡하나”라고 발언해 파문이 불거졌다. 당시 MBC를 비롯한 140여 개 언론사들이 '윤 대통령의 발언 중 국회는 미 의회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지만 윤석열 정부와 당시 여당은 MBC만 콕 집어 압박하고 나섰다. 

대통령실은 MBC에 공문을 보내 보도 경위를 소명하라고 요구했고, 국민의힘과 보수 성향 단체들은 MBC 사장·보도국장·기자들을 무더기 형사 고발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최고 수위 징계인 과징금 3000만 원을 부과했다. 이후 MBC 취재진은 대통령 전용기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씨와 건진법사 전성배 씨 (사진=연합뉴스)
김건희 씨와 건진법사 전성배 씨 (사진=연합뉴스)

또 2022년 11월 초 전성배 씨는 윤 씨에게 “YTN 인수할 수 있도록 조치하려 한다. 국가기관(한전KDN, 한국마사회)이 지분 가진 거 확인하고 이철규 의원에게 인수 방법을 알아보도록 했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문자 내용과 관련해 언론에 “윤 씨에 대해 일체 모르고 YTN 인수에 관여할 이유가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의원은 지난 2022년 10월 11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장현 당시 한전KDN 회장에게 “적자가 나고 있는 상황에서 YTN 주식과 골프 콘도 회원권 등 비업무 자산을 매각하는데 한전KDN 노조, 경영진까지 여기에 반대하고 저항을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빨리 매각하라”고 재촉했다. 이에 김 사장은 “(매각을)추진하겠다”고 답했다.

2022년 윤석열 정부는 ‘공공기관 자산 효율화’ 명목으로 YTN의 공기업 지분(한전KDN 21.43%, 한국마사회 9.52%) 매각을 추진했다. 이들 공기업은 YTN 지분을 팔지 않겠다는 입장이었으나 돌연 매각으로 선회했다. YTN 공기업 지분은 매각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의 ‘통매각’을 통해 3199억 원의 입찰가를 써낸 유진그룹의 특수목적법인 유진이엔티에 낙찰됐다. ‘통매각’으로 인해 인수 희망 기업 절반가량이 자격조건을 갖추지 못하게 된 것으로 의심된다. 방송법상 대기업, 신문사 등은 보도전문채널 지분을 30% 이상 소유할 수 없다.

김건희 특검팀은 지난달 24일 삼일회계법인을 압수수색했다. 압수수색 영장에 통일교 전 간부 윤모 씨와 통일교의 ‘YTN 인수 청탁’ 의혹이 적시됐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