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국가인권위원회가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맨뒤에 배치한 '새 정부 16대 인권과제’를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했다.
인권위는 24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전날 전원위원회에서 의결한 16대 인권 과제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2001년 11월 설립 이후 정부에 주요 인권과제를 제안했다.

이날 제안한 인권과제는 ▲지능정보 사회의 인권보호 강화 ▲기후위기 대응 시 취약계층 보호 ▲인권친화적 학교문화 조성 ▲실질적 성평등 제도화와 차별시정 강화 ▲장애인·아동·청소년·노인·청년의 권리보장 ▲노동인권 사각지대 해소 등 16가지다.
이 가운데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관련 정부 주도 공론화’는 16번째 과제인 ‘기본적 인권보장 체계 구축’ 하부 과제로 기재됐다. 지난 2022년 송두환 위원장 시절 인권위는 윤석열 정부 인수위에 첫 번째 과제로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과 ‘혐오와 차별 극복을 위한 정부 대응 강화’를 제안했다.
전날 전원위원회에서 적용 범위를 놓고 의견이 대립했던 중대재해처벌법은 11번째 과제인 ‘노동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노동인권 강화’의 하부과제에 머물렀다. 이와 관련해 인권위는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근로기준법 적용 확대 및 중대재해처벌법 등에 대한 법률 개선 방안 마련, 하청·플랫폼노동자 보호범위 확대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개정 검토 등을 제안했다. 송두환 위원장 시절 중대재해처벌법은 5번째 과제인 ‘모든 일하는 사람의 노동인권 보장’의 하부과제였다.
인권위는 16대 인권과제에 대해 “높아진 시민의 인권 수준에 부응하여 신기술의 발전, 기후위기 등 변화하는 인권의제에 적극 대응하고 다양한 사회구성원의 존중받는 삶을 실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제를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인권위가 ‘새정부 인권과제’ 선정?…"내부 반성이 우선"
- '윤석열 방어권 보장' 인권위, 땅에 떨어진 신뢰 회복 방안은
- 국정기획위 "대통령·여당 과반 인권위원, 인권의 정치화 야기"
- 인권위 노조 “인적 쇄신 없는 인권위 정상화는 공염불”
- 윤 일병 유족, 세계인권기구에 김용원 파면 권고 요청
- [토론회] 인권위는 어떻게 내란세력을 옹호했나
- 인권위, 세계국가인권기구 특별심사 답변서에 '윤석열 방어권' 포함
- 인권위 떠나는 남규선, 안창호 면전에 "사퇴해야"
- 인권위, 세계국가인권기구 '계엄 대응' 질문에 “윤석열 방어권 보장 권고”
- 서울퀴어축제조직위 “이대 대관 불허는 혐오”…인권위 긴급구제 신청
- 유엔 “한국 내 중국인 혐오 우려…인종차별 처벌 조항도 없어”
- "인권위 서울퀴어축제 불참은 인권 역사 짓밟는 것"
- 서울퀴어축제 조직위 "인권위는 차별·혐오 용인…직원들은 꿋꿋이 제 갈 길"
- 인권위, 보수단체 눈치보기 끝에 퀴어퍼레이드 불참 결정
- 인권위, 특별심사 B등급은 기정 사실…"2001년 체계 구조개혁 필요"
- 혐오·차별 확성기로 지목된 언론…"차별금지법 필요한 이유"
-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눈여겨볼 점
- “서울, 차별·혐오의 도시로 둘 수 없어…포괄적 성교육 도입하라”
- 강선우, 젠더정책 의제 '유보' 입장… "뭘 하려고 장관 하나"
- 진보당 손솔 '국회 차별금지법 공론화위 설치' 제안
- 여야, 국힘 추천 '지영준·박형명' 인권위원 선출안 본회의 상정 보류
- 직장인 70% 이상, 비동의 강간죄·차별금지법 찬성
- 신장식 "국힘, 인권위 파괴공작 시도...선출안 반드시 부결"
- "원민경, 차별금지법 소신 표명…정부·국회가 응답할 차례"
- 윤종오 "인권위원장, 국회 동의…인권위원 13명으로 확대"
- 청소년단체 "휴대전화 말고 안창호를 금지해야"
- 국가인구기본통계, '동성 배우자' 첫 반영…"역사적 결정"
- "이 대통령의 혐오 대책은 차별금지법 제정이어야"
- 진보당, 22대 국회 첫 '차별금지법' 공동발의 추진
- '차별금지법 추진' 진보당 소속 구청장 이주노동자 혐오 발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