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박대형 기자] 청소년인권운동 단체들이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위원장의 조선일보 인터뷰와 관련해 "반인권적 관념을 여과없이 밝혔다"며 "국회는 인권위법 개정안을 즉각 처리해 안창호를 비롯한 반인권적 인권위원을 교체하라"고 요구했다.
안 위원장은 11일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인권은 어느 한쪽의 소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념이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안 위원장은 '학생 휴대전화 일괄 수거'에 대해 "교사들과 학부모들이 '휴대전화를 수거하는 게 맞겠다'고 논의해서 결정했다면 지키도록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적으로 정한 규칙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강한' 민주주의"라고 했다. 안 위원장은 "휴대전화는 학습권·교권 침해의 원인이 될 때가 많다"며 "요즘 우리 사회가 인권침해라며 교사의 권한, 부모의 결정이 잘못됐다고 쉽게 말하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안 위원장은 성소수자 인권 보호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에 대해선 "내 종교적 배경(기독교)이 나의 생각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고 했다. 안 위원장은 최근 인권위 상임위원·비상임위원 선출안이 부결된 것에 대해 "정치적인 시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선출안이 부결됐다고 본다. 이런 일이 재발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12일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녹색당·진보3당청소년단위협의체 청신호 등 17개 청소년인권단체 및 정당은 "학교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보다 안 위원장이 직책에 눌러앉아 있는 게 더 큰 피해"라고 날을 세웠다.
이들은 '휴대전화 금지'와 관련해 "민주주의는 구성원들에 의해 작동되어야 한다. 여기서 규칙을 지키는 사람은 교사도 학부모도 아닌 학교 안 청소년"이라며 "당사자의 참여와 의사는 쏙 빠진 '민주적 규칙'"이라고 했다.
아울러 "청소년 성교육에서 보호자 결정을 우선해야 한다는 주장 역시 차별적·보호주의적 이념이 철저하게 반영된 것"이라며 "청소년에 대한 권한은 이미 친권자에게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다"고 했다.
이들은 "안 위원장이 자신의 종교적 배경이 생각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고 시인했다"며 "안창호가 인권위원장이라는 직책과 권한을 종교적 신념의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모두가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지난달 야당 몫 인권위원으로 이상현 숭실대 국제법무학과 교수와 우인식 법률사무소 헤아림 대표 변호사를 추천했으나 반인권적 발언이 문제돼 지난달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선출안이 부결됐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우 변호사 추천에 대해 "자꾸 안창호 위원장의 그림자가 보인다"며 "인권위원 추천 과정에 개입해선 안 되는 안 위원장과 교감이 있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시민단체 "인권위, '혐오 조장' 토론회 당장 철회하라"
- 윤종오 "인권위원장, 국회 동의…인권위원 13명으로 확대"
- 종교단체 민원에 성교육 도서 제한...인권위 "아동 알 권리 침해"
- 국힘 '부적격' 국가인권위원 선출안 이번엔 부결
- 신장식 "국힘, 인권위 파괴공작 시도...선출안 반드시 부결"
- 시민단체, 안창호 직권남용·업무방해 혐의 공수처 고발
- 인권위 직원 게시판에 '안창호 반인권' 제보 쏟아져
- “서울, 차별·혐오의 도시로 둘 수 없어…포괄적 성교육 도입하라”
- 인권위, '차별금지법 후순위' 새 정부 16대 인권과제 제안
- 성소수자인권단체 "서울시 성교육 지침 혐오 편승" 규탄
- '윤석열 방어권 보장' 인권위, 땅에 떨어진 신뢰 회복 방안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