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구성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박장범 사장 임명 강행을 두고 “대놓고 정권을 비호할 아첨꾼을 선택한 것”이라고 규탄했다. 야당은 “KBS를 ‘김건희 Broadcasting System(방송국)’으로 전락시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령은 23일 오전 국회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없이 박장범 사장 임명안을 재가했다. 박장범 차기 사장은 다음 달 10일 임기를 시작한다. 박 사장은 지난 2월 윤 대통령과의 특별 대담에서 ‘김건희 명품백 수수’를 두고 ‘조그마한 파우치’라고 표현해 사안을 축소·왜곡했다는 비판을 샀다. 

박장범 KBS 사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박민 사장이 KBS 이사회의 사장 후보자 임명제청 전날(10월 22일) 대통령실로부터 ‘교체 통보’를 받았다는 증언들이 연이어 나오면서 ‘대통령실의 KBS 사장 선임 개입’ 의혹이 불거졌다. 국회 과방위는 오는 25일 관련 의혹과 관련한 KBS이사회 현장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KBS 내부에서 '박장범 반대' 목소리가 들끓었다. 33년차 18기부터 막내인 50기까지 총 30개 기수, 495명의 기자들이 '박장범 반대' 기명 성명을 발표했으며 KBS 같이노조, 기자협회, 전국기자협회, PD협회도 '박장범 사장 임명'을 반대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는 같은 날 성명을 내어 “권력은 이제 낙하산만으로는 부족해 대놓고 정권을 비호할 아첨꾼을 선택한 것”이라며 “이번 파우치 박의 사장 선임은 공영방송이 정권의 나팔수로 앞장서 권력의 성과를 홍보하고, 권력을 향한 비판에 적극적으로 물타기하라는 신호다. 얼마나 공영방송을 망치고 쑥대밭으로 만들어야 만족할 것인가”라고 규탄했다. 

언론노조 KBS본부 조합원들이 KBS 사옥 안에서 '박장범 사퇴' 선전전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언론노조 KBS본부)
언론노조 KBS본부 조합원들이 KBS 사옥 안에서 '박장범 사퇴' 선전전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언론노조 KBS본부)

언론노조 KBS본부는 “특히 청문회에서 KBS 사장 선임에 용산 대통령실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드러났다”며 “임기가 2개월도 안 남은 사장이 추진한 조직개편을 승인할만큼 박민 사장의 연임을 의심하지 않았던 이사회가, 손바닥 뒤집듯 1차 투표에서 ‘파우치 박’을 사장 후보로 선출했다. 정권으로부터 박장범 낙점을 지시받지 않고서야 어찌 이토록 이견이 없을 수가 있는가”라고 말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의혹이 사실이라면, 정권이 개입해 공영방송 장악을 시도한 것으로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법치주의 훼손 행위”라고 강조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이번 파우치 박장범 사장 임명은 공영방송, 나아가 대한민국 헌정 역사에 남을 방송장악 시도의 한 장면으로 끝까지 남을 것이고, 방송장악이라는 주홍글씨는 영원히 윤석열 대통령에게 따라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이번 사장 선임과정에서 드러난 윤석열 정권의 공영방송 사장 임명 과정 개입 의혹을 끝까지 파헤칠 것이다. 국회는 지금 당장 국정조사를 실시해 윤 정권의 공영방송 장악 시도에 대한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장범 앵커가 KBS 사장 후보로 임명제청 된 후 구성원의 반대성명 (출처=언론노조 KBS본부)
박장범 앵커가 KBS 사장 후보로 임명제청 된 후 구성원의 반대성명 (출처=언론노조 KBS본부)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내어 “윤 대통령의 박장범 씨의 KBS 사장 임명 강행은 김건희 여사가 받은 명품백을 ‘파우치, 조그마한 백’이라고 불러준 대가”라고 비판했다.

노 원내대변인은 “국회는 박장범의 왜곡된 언론관, 부적절한 주식거래, 세금 탈루, 아들의 위장전입, 스쿨존 속도위반, 과태료 미납으로 인한 차량 가압류 등을 밝혀냈다”면서 “하지만 윤 대통령은 과방위의 현장조사가 끝나기도 전에 임명안 처리를 해버렸다. 김 여사가 보채기라도 했냐”고 말했다.

노 의원은 “‘대통령의 술친구’로 불리는 박민 사장이 KBS를 정권의 방송으로 전락시켰다면 ‘파우치 박’ 박장범 사장 체제의 출범은 KBS가 김건희 방송임을 선포하는 것”이라며 “‘Kimkeonhee Broadcasting System’을 다시 국민의 방송 KBS로 되돌려 놓겠다”고 강조했다.

홍성규 진보당 수석대변인도 같은 날 서면브리핑을 내어 “'대통령의 술친구'조차 밀어낸 '파우치 박' 박장범 임명은 오직 명품백을 '파우치, 조그마한 백'이라 지칭하며 '윤석열-김건희 지키기'에 충성을 다한 대가”라며 “'박민 체제'에서 무너질 대로 무너진 '공영방송 KBS'는 박장범의 임명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남은 것은 '윤석열-김건희 개인방송'뿐”이라고 잘라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박장범 후보가 국회 청문회 도중 시전한 '답변 안 하기 전략'은 그대로 우리 국민들에 의하여 '시청 안 하기 전략'으로 되돌아갈 것”이라며 “공영방송 정상화의 길은 오직 '윤석열 퇴진'뿐”이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