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야당이 일제히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 대해 “김건희를 지키려 특검 출신 대통령이 특검 제도마저 부정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여당은 “윤 대통령이 여러 가지 논란과 의혹에 대해 진솔한 태도로 설명했다”고 호평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 말미에 외신 기자로부터 추가 질문을 받으며 미소짓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 말미에 외신 기자로부터 추가 질문을 받으며 미소짓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담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윤 대통령은 "모든 것이 저의 불찰이고 제 부덕의 소치"라고 사과했으나, 구체적으로 무엇에 대해 사과하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명품백 수수' 사건 무혐의 처분, '공천개입 의혹' 등 김건희 씨 논란과 관련해 "저를 타깃으로 해서 제 처를 많이 악마화시킨 게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특검법'과 관련해 "대통령과 여당이 반대하는 특검을 임명한다는 것 자체가 기본적으로 헌법에 반하는 발상"이라며 "다시 수사하라는 요구는 사법작용이 아닌 정치선동"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끝내 국민을 저버리고 김건희 여사를 선택했다”며 “시종일관 김건희 지키기에만 골몰한 대통령의 모습은 오늘 기자회견이 누구를 위한 자리인지 똑똑히 보여줬다”고 말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윤 대통령은 모든 의혹을 뭉갰고, 김건희 여사 문제 해결은 전면 거부했다”며 “김건희 여사를 지키려 특검 제도마저 부정했다. 특검 출신 대통령의 국민 배신이다. 기껏 내놓은 대책이 고작 ‘부부 싸움’이라니 윤 대통령은 국민이 우습나, 차라리 죄값이 무서워 특검은 못 받겠다고 고백하라”고 말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공천 개입을 입증하는 자신의 육성까지 공개됐는데 끝까지 모순된 변명만 늘어놨다”며 “지난 2년 반 동안의 무능력, 무책임, 무대책만 재확인했다. 이제 윤 대통령이 마주할 것은 매서운 민심의 뜨거운 분노뿐임을 경고한다”고 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과 한동훈 대표를 향해 “이런 대통령을 계속 비호한다면, 국민의 분노는 국민의힘에게도 몰아 닥칠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몰락의 길을 걷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과 '명태균 의혹'에 대한 대통령실의 해명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과 '명태균 의혹'에 대한 대통령실의 해명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에서 “국민 속 터지는 동문서답”이라며 “가치와 상식을 뒤엎는 기자회견은 탄핵의 필요성만 더 키웠다. 윤 대통령은 혼자만의 세상에 갇혀있는 듯한 현실 인식 수준을 그대로 내보이면서 망언록만 추가했다”고 혹평했다. 

황 원내대표는 “‘특검은 삼권분립에 위배되고 헌법위반’ ‘김건희 특검은 정치선동이고 인권유린’이라고 했는데, 대통령이 말하는 헌법은 어느 나라 헌법이냐”며 “이번 기자회견으로 윤석열 검찰독재 정권은 사실상 끝났다. 국민이 준 마지막 기회도 날린 것”이라고 했다. 

황 원내대표는 “사과할 구체적 내용을 알려주면 사과하겠다는 배짱에 비웃음만 커지고, 벌거벗은 임금님이 떠오른다”며 “이제 민심의 태풍을 그대로 마주하게 될 것이다. 정권 조기종식만이 해답”이라고 했다.

김성열 개혁신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너무나 무성의하고 무책임하며 무대책인 3무 대국민담화”라고 평가하면서 “풀이해보면, ‘아내가 사과하라고 해서 한다’ ‘죄송하긴 한데, 악마화 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내의 조언을 국정농단이라고 하면 되겠냐’ ‘그래도 초심으로 돌아갈 테니 잘 봐달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대국민 사과를 하랬더니 대국민 훈시를 하고 앉았다”면서 “대통령과 영부인의 고매한 뜻을 무식한 국민들이 이해하지 못해 죄송할 따름이다. 애당초 기대조차 말았어야 하는데도, 혹시나 기대한 우리의 잘못을 깊게 통감한다”고 꼬집었다. 

정혜경 진보당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은 사과를 했지만, 사과하지 않았다”며 “무엇을 잘못했는지가 아니라 자신이 얼마나 힘들게 일했는지 구구절절하게 호소했을 뿐”이라고 비판했다.

정 원내대변인은 “윤 대통령은 공천개입도 자신 멋대로 해석하고, 국정농단도 아니라는 말로 치부했다”며 “특검에 대해서는 헌법정신 위배라고 언급할 가치도 없다는 듯 잘랐다. 국민 70%의 의견이 헌법에 위배되나, 그런 사고방식으로 어떻게 한 나라를 책임지고 있는 것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정 원내대변인은 "그래서 국민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하야, 퇴진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10월 31일 MBC '뉴스데스크' 보도화면 갈무리
10월 31일 MBC '뉴스데스크' 보도화면 갈무리

정의당도 성명을 내어 “대국민담화를 듣고 있는 시간이 아까웠다”며 “모든 국민이 윤석열-김건희-명태균 삼각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해명과 사과를 하는 자리로 기대하고 봤는데, 대통령이 가져온 건 자화자찬 국정 브리핑, 시정연설 재탕이었다”고 평가했다. 

정의당은 “‘19% 지지율’에 대해 윤 대통령은 ‘운동선수가 전광판 보고 운동하면 안 된다’는 얘기를 늘어놓았다. 성적 못 내고, 경기에선 반칙만 일삼으면서 잘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코치 말은 귓등으로 듣고, 팬들을 무시하는 선수의 끝은 퇴출뿐”이라며 “더 추해지기 전에 스스로 물러나길 바란다”고 했다.

반면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정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여러 국정 현안에 대해 진솔하고 소탈하게 말씀하셨다”면서 “여러가지 논란과 의혹에 대해 진솔한 태도로 설명을 주셨다고 평가한다. 대국민 담화를 계기로 우리 국회도 정쟁을 중단하고, 시급한 민생을 보살피고 외교안보 현안을 챙기는 본연의 일에 집중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