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인턴기자] 김종혁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윤석열 대통령의 7일 대국민담화에서 진솔한 사과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은 오늘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번 대통령 담화에서 꼭 빼야 하는 메시지와 꼭 담겨야 하는 메시지가 무엇이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자화자찬 메시지는 하면 안 된다”고 당부하면서 “국민에 대한 진솔한 사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은 “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지 않으냐는 얘기를 국민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며 "정치적 책무를 도외시한 채 그냥 법률적인 공소시효의 문제로 치환시키면 국민이 굉장히 실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인적 쇄신, 의혹 해소 요구와 관련해 외교 일정 등이 마무리되는 11월 말경 기자회견을 열겠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4일 저녁 대국민담화 일정이 갑자기 잡혔다. 김 최고위원은 한동훈 대표의 최고위원회 발언이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김 최고위원은 “어제 한동훈 대표 최고회의 발언이 있고 나서 오후 늦게 대통령 참모와 대통령실에서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걸 결정할 무렵에 한 대표에게 말한 걸로 알고 있다. 서로 이야기가 된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동훈 대표는 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대통령실 참모진 전면 개편과 쇄신용 개각, 김건희 씨 대외 활동 중단, 그리고 대국민 사과 등을 요구하며 “국정 운영 주체인 대통령실에서 여당의 목소리, 조언, 이런 것들을 좀 잘 받아들여 달라”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여당 대표가 대통령한테 대국민 사과를 이렇게 공개적으로 요청하는 것은 처음 보는 것 같다”는 진행자의 말에 “지금 국정 상황 자체도 과거에 봤던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굉장히 비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한동훈 대표가 요구하는 특별감찰관 임명에 대해 “의원들 중에서 ‘그 정도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얘기하는 분은 거의 없다. 단지 그것이 갈등으로 비칠까 봐 대외적으로 얘기하지 못하는 단계였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별감찰관을 임명한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는 생각은 하지도 않고, 이것이 꼭 윤석열 정부만을 위해서 하는 것도 아니다. 다음 정부가 누가 들어서든 권력에 대한 적절한 견제가 필요하기에 마땅히 받아들여야 한다”며 “야당이 이것을 왜 자꾸 이런 말, 저런 말 꼬리표를 붙여서 회피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들은 김건희 씨 의혹 해소를 위해 특검이 우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마이뉴스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4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7.6%는 ‘김건희 씨 의혹 해소를 위해, 민주당이 주장하는 특검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 대표가 주장하는 ‘특감을 도입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18.5%에 그쳤다.
해당 조사는 KSOI가 지난 1일부터 2일까지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ARS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 6.0%이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p다. 자세한 여론조사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윤석열 공천개입' 공개돼도 '특별감찰관' 되뇌는 한동훈
- '김건희 특검법' 찬성 여론 66%…한동훈은 동문서답
- 안 봐도 이미 알 것 같은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 윤 대통령, '공천개입' 반영 안 됐는데 지지율 10%대 추락
- ‘명태균 뒤통수친 것’이라는 대통령의 급조된 고백
- 윤석열 중앙지검장이 기소한 박근혜 공천개입 사건 재소환
- 한동훈 취임 100일, 언론 평가는 '말만 앞섰다'
- 한동훈, 기자 질문에서야 "김 여사 문제에 우려와 걱정"
- “김건희 특검 내달 14일 표결…여당 이탈표 더 늘어날 것”
- 조선일보 시론, 윤 대통령 가리켜 "5년 단임제의 폐해"
- 지도자 꿈꾸는 한동훈이 지금 해야 할 일
- 권성동 “한동훈, 검사 수사하듯 특별감찰관 추천”
- 보수언론, 탄핵 경고등·체념 중…윤석열 "돌 맞아도 간다"
- "윤 대통령 불통 재확인"…한동훈에 '김건희 특검' 주문하는 언론
- 윤석열에 거부당한 한동훈, 더 물러설 곳 없다
- 김건희 특검, 이제 한동훈이 답할 차례
- 친한계 “한동훈, '한남동 라인' 정리 요구한 것 사실”
- 명태균 열풍, 결국 ‘김건희 리스크’로…보수 궤멸될 수 있다
- 박성민 “레임덕 넘어 데드덕 상황, 사과하는 대국민담화 돼야”
- 윤 대통령 '김건희 특검' 수용 여부, 여당·보수언론 초미의 관심
- 윤 대통령 대국민담화 '전 정부 탓' '자화자찬' 마이웨이
- 윤 대통령 "없는 것까지 만들어 악마화" 김건희 철통방어
- 야당 "김건희 지키려 특검 출신 대통령이 특검 부정"
- 부산일보 기자 "무엇을 사과했는지 어리둥절" 직격
- "여사는 대통령 핸드폰 보지만, 대통령은 부인 핸드폰 못 봐"
- KBS, 최초 좌식 대통령 기자회견에 "기자들 눈높이 맞췄다"
- 동아일보 "윤 대통령, 김건희 변호인에 가까웠다"
- 윤 대통령은 역시 윤석열이다
- 국립국어원 "'김건희 국정농단' 답변 어렵다"
- 낯 뜨거운 줄 모르는 한동훈
- 한국일보 "국민의힘, '김건희 특검법' 수정안 회피 명분 없다"
- 부산일보 기협 "기자 질문이 무례? 홍철호 수석 교체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