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국민 10명 중 8명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파면을 수용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서울경제신문 의뢰로 전국 성인 10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6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받아들이겠다’는 응답률은 81%로 17%를 나타낸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률을 크게 앞섰다. ‘모름·응답 거절’은 2%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 이전인 지난 2일부터 선고 당일인 4일까지 진행됐다.

보수층에서 헌재 결정을 ‘받아들이겠다’는 응답률은 66%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률 33%의 두 배를 기록했다. 중도층과 진보층의 수용 응답률은 각각 85%, 97%로 나타났다. 정치 성향을 밝히지 않은 응답자의 수용 응답률은 70%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헌재 결정을 받아들인다'는 응답률은 52%로, '수용하지 않겠다' 45%보다 7%p 앞섰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수용 응답률은 각 99%, 100%로 나타났다.
헌재 파면 결정에 대해 국민 60% 이상이 ‘잘했다’고 평가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CBS노컷뉴스 의뢰로 4~5일 전국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6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해 ‘잘했다’고 평가한 응답률은 65.7%로 나타났다. 반면 ‘잘못했다’는 응답률은 32.6%로 이 중 68.8%가 헌재의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답했다.
한길리서치가 매일경제신문·MBN 의뢰로 4~5일 전국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도 유사했다. ‘탄핵심판 결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은 결과, 64.4%가 ‘잘된 결정’이라고 답했으며 32.1%는 ‘잘못된 결정’이라고 답했다. 잘 모른다는 응답은 3.5%였다.
한국갤럽 조사는 무작위 추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응답률 9.5%)으로 진행됐으며 KSOI 조사는 무선 자동응답(ARS) 100%로 진행(응답률 6.8%)됐다. 한길리서치 조사는 무선 전화면접(15.6%)과 유선 전화면접(3.9%), 무선 ARS(80.5%)를 혼합한 유무선 RDD 방식(응답률 5%)으로 진행됐다. 세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재판관 8인 윤석열 파면 만장일치…탄핵 사유 모두 인정
- 윤석열 시대의 극복 이제부터다
- 경향신문 "끝까지 내 편만 챙기는 윤석열 재구속해야"
- 우원식, 정치권에 "극단적 대결의 언어 추방하자"
- 언론단체들 “탄핵·파면 넘어 통합·개혁으로”
- '파면' 윤석열, 반성·사과 없는 네 줄 입장문 발표
- 권성동, '대선 준비' 태세전환…"이재명에게 미래 맡길 수 없어"
- '계몽령' 접은 권영세 "국민께 사과드린다"
- 한덕수 “차기 대선 관리에 최선” 대국민담화
- 언론노조 “방송3법·신문법 개정 통해 언론자유 쟁취 나설 것”
- "완전한 파면 선고로 윤석열과 내란 세력 중단해야"
- 한겨레 "왜 피해 입은 국민·야당에 승복 운운하나"
- 윤석열 파면 찬성, '70대 이상' 제외 모든 연령층서 우세
- 사법기관 신뢰도, '윤석열 석방' 검찰 최하위…헌재 1위
- 중도층 '윤석열 탄핵 찬성' 2주 연속 70%대
- 중도층 외면 받는 국민의힘·김문수 지지율 하락세
- '정권 교체' 여론 상승 추이…왜?
- 국민 10명 중 6명 '윤석열 탄핵' 예상…보수층에서도 31%
- 계엄문건 대통령기록물 이관? 용혜인 "내란 증거 은폐 막아야"
- 국힘 지지율 5%p 하락…민주당에 오차범위 밖 열세
- '국민 신임 배반' 윤석열, 퇴거 중 주먹 불끈…"국민 우습나"
- 이재명 지지율 38%, 갤럽 최고치…'대망론' 한덕수 7%
-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 퇴임…"국가기관, 헌재 결정 존중해야"
- “계엄에서 파면까지 123일, 다음 정권에 무거운 과제 남겼죠”
- 검찰·경찰·감사원 개혁, 유권자가 뽑은 대선 의제 1순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