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5·18 광주민주화운동단체가 스카이데일리에 광고를 집행한 정부기관을 공개하고 광고 중단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스카이데일리는 5·18 민주화운동을 부정하는 왜곡 보도를 반복하는 극우 매체다.

5·18기념재단은 20일 ‘5·18 왜곡·폄훼 매체 대상 광고 집행에 대한 입장과 대책 요청’ 문서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스카이데일리에 집행된 정부광고 내역을 공개했다.

스카이데일리 홈페이지 갈무리
스카이데일리 홈페이지 갈무리

정부광고 내역에 따르면 128개 정부기관이 스카이데일리에 광고를 집행했다. 기관당 적게 30만원부터 최대 500만원의 광고비를 지급했다. 인천광역시청이 10회로 가장 많은 광고를 집행했으며 ▲봉화군청·충청남도청·화성시청 8회 ▲영주시청 7회가 그 뒤를 이었다. 5·18기념재단은 스카이데일리 정부광고주에 대해 광고 중단을 요구하고 추후 대책을 오는 31일까지 회신해달라고 밝혔다.

전남 지자체들은 사과에 나섰다. 김이강 광주 서구청장은 지난 15일 SNS에 “5·18 가짜뉴스를 버젓이 생산·확대하며 극우적 프레임으로 광주 시민을 모욕한 <스카이데일리>에 광고를 집행한 것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잘못한 일”이라며 “책임을 통감한다”고 했다. 광주 서구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광고비 110만 원을 지급했다.

전남 담양군은 20일 입장문을 내어 “이유를 막론하고 5.18 정신을 모독한 매체에 광고를 싣게 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5.18폄훼 매체를 즉시 출입 언론사 명단에서 해지하고 일체의 자료 공유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보성군은 “시도민과 군민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했다. 나주시는 “광고비 지원을 전면 중단하겠다”며 “소중한 예산이 낭비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 감독하겠다”고 약속했다.

JTBC '뉴스룸' 3월 14일 보도화면 갈무리
JTBC '뉴스룸' 3월 14일 보도화면 갈무리

스카이데일리는 2023년 6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연재한 ‘5·18 진실 찾기’ 기획기사에서 ▲5·18은 폭동이다 ▲5·18은 북한의 군사·정치적 책동에 의한 것이다 ▲5·18 당시 계엄군에 의한 시민 살상은 없었다 ▲5·18 폭동에 참여한 광주시민과 5·18을 민주화 운동으로 기리는 보통의 시민들은 북한의 책동에 기망당한 것이다라고 거짓 선전했다.

지난 2월 15일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극우 성향 기독교단체 세이브코리아의 국가비상기도회에 5·18 왜곡 내용이 담긴 스카이데일리 특별판 신문이 뿌려지기도 했다. 광주광역시와 5·18기념재단은 특별판이 허위사실을 담고 있다며 스카이데일리를 5·18특별법 위반 혐의로 두 차례 고발했다. 현재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이다. 

스카이데일리는 올해 1월 ‘중앙선관위 중국 간첩 99명 체포’ 부정선거 음모론을 유포해 한국신문윤리위원회로부터 ‘자사 게재 경고’라는 고강도 제재를 받았다. 그러나 스카이데일리는 제재 조치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스카이데일리 조정진 대표는 지난 16일 올라온 유튜브 인터뷰에서 “한국신문윤리위원회? 거기 뭐 하는 동네에요”라며 “저 거기(한국신문윤리위원회에) 굴복 안 합니다. 나중에 법정에서 봅시다”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