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인턴기자] 군사법원이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을 수사하다 항명·상관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군 검찰 기소 이후 1년 3개월 만에 1심 판단이 나온 것이다.
중앙지역군사법원은 9일 박 대령의 항명 및 상관명예훼손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군사법원은 “이종섭 전 장관이 박정훈에 내린 지시는 ‘명령’에 해당하지만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이첩보류를 명령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군 검찰은 2024년 11월 결심공판에서 징역 3년을 구형했다. 박 대령 측 변호인단은 결심공판 최후변론에서 “불법적 외압이 실재했고,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은 이첩보류 명령을 내리지 못했으며 명령이 있었더라도 그 명령은 외압에 의한 것이라 정당한 명령이라 볼 수 없다”며 “무죄가 선고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령은 2023년 7월 19일 발생한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을 수사하는 최고 책임자로 임성근 해병대 제1사단장 등 지휘 관계자 8명을 과실치사 혐의로 경북경찰청에 이첩했다. 또 박 대령은 임 전 사단장을 혐의자에서 제외하라는 대통령의 수사 개입이 있었다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VIP 구명로비' 의혹 "3성한테 '4성 만들기' 부탁했단 건가"
- '국정농단' 의혹으로 가는 해병대원 순직 사건
- 경향신문 "채 해병 사건 의혹의 중심, '김건희'로 이동"
- 채해병 특검법 또 거부에 성난 야당 "윤석열·김건희 특검법 발의"
- “격노와 어명, 그날 대한민국은 법치국가가 아니었습니다”
- 부산일보는 주진우 '군 장비 파손' 망언이 "송곳 지적"인가
- 한동훈의 수사 라떼 "채상병 수사, 언론에 너무 많이 나와"
- KBS '채해병 특검법 청문회' 생중계 혹시 보셨습니까
- 한겨레 "윤 대통령 직접 통화 또 드러나, 국민 그만 속이려 들라"
- 언론 '오보'가 일으킨 채 해병 수중수색 지시
- 조선일보, '윤석열-이종섭 통화' 결국 한마디했는데
- 민주당, '채해병특검법' 수사범위 '공수처 외압' 추가
- '윤석열-이종섭 통화' 외면한 조선일보
- "윤석열·이종섭 통화기록, 7월 되면 삭제돼"
- "VIP격노가 죄냐" 채해병 특검 여론 불 당기는 국민의힘
- 이종섭 특검에 공수처도 못 믿느냐는 대통령실의 적반하장
- 박정훈 대령 측 "국가대표 선수도 범죄연루 때는 선발 안해"
- 박정훈 대령 "채상병 죽음 억울함 없도록 약속 지키겠다"
- '극우 유튜브’에 머리 파묻은 타조당
- "박정훈 대령 무죄 판결, 정의는 아직 살아있습니다"
- ‘2시간짜리 계엄'인데 '박정훈 재판' 군판사 성향 파악 지시
- 해병대예비역연대 "무사 전역 임성근, 일벌백계해야"
- "채 상병 사건 불소추 특권 사라진 윤석열 구속 수사해야"
- 박정훈 대령 측, 윤석열 증인신청 "격노 이유 따져야"
- '수사외압 폭로'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1년 11개월 만에 복직
- 국방부, '방송 출연' 박정훈 대령 징계절차 계속…"취소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