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한 야당 지도부가 10.29 이태원 참사 2주기 추모식에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약속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정부 책임에 대한 사과 없이 “국민의 일상을 지키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한 애도”라고 말했다.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는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10.29 이태원 참사 2주기’ 추모식을 열었다. 국회가 사회적 재난에 대한 추모제를 주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는 참석하지 않았다.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은 “국가의 책임이 부재했던 시간이었다”며 “그 기막힌 슬픔과 고통을 온몸으로 겪어낸 유가족과 피해자들에게 국회를 대표해서 사과드린다”고 말문을 열었다.
우 의장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1주기 추모식을 했는데, 2주기 추모식은 국회가 주최하는 행사로 국가의 중요한 기관이 공식적으로 나서서 하는 추모행사”라면서 “이태원 참사는 희생자와 유가족, 생존 피해자, 목격자, 구조자, 청년 세대,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상처로 남았다. 오늘의 이 국회 추모제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가장 큰 책무라는 국민적 합의를 거듭 확인하고, 생명과 안전, 진실과 정의에 관한 국민의 권리를 회복하는 과정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이제 비로소 공적 진상 규명이 시작되었다”면서 “피해자 권리보호, 진상규명, 재발방지 이 당연한 요구는 이전과는 다른 미래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국회가 앞장서 그 어떤 은폐와 왜곡, 지연과 방해 없이 이태원특별조사위원회가 자신의 책임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충격적인 참사가 일어난 지 732일째 되는 날”이라면서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참담한 마음은 지워지지 않는다. 참사는 왜 일어났는가, 국가는 왜 예방하지 못했나, 참사 이후 대응은 왜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가, 왜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가, 국민이 2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고통을 삼키며 되묻는 질문들“이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태원 참사는 윤석열 정부의 무대책과 무능력, 무책임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건“이라며 ”국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발생한 인재라는 증거는 차고 넘친다. 참사 이후 정부의 수습 과정은 너무나 무능했고, 책임져야 할 권력은 회피하기 급급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참사의 원인을 명명백백하게 밝혀내고 책임져야 할 자들이 합당한 책임을 지도록 만드는 것이 국회의 소명이자 살아남은 우리의 책임“이라며 ”참사의 슬픔 앞에 정치적 유불리가 있을 수 없다. 참사의 진상이 명백히 규명되고 책임자에게 합당한 책임을 물어 유가족의 억울함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다시는 같은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정치를 하는 사람이기 이전에 자식을 둔 아버지로서 우리의 아들, 딸들을 지켜주지 못한 것이 너무나 미안하고 큰 책임을 느낀다“며 ”159개의 숨이 별이 된 지 2년, 다시는 이와 같은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다짐하고 또 다짐할 뿐“이라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여야 합의로 이태원 참사 특별법이 통과돼 특조위가 출범했고, 피해구제심의위와 추모위도 조만간 출범한다”며 “위원회가 독립적으로 주어진 역할을 차질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보호하는 것이야말로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라고 했다.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는 “이태원 참사를 대하면서 가장 참 안타까웠던 일들은 일부 국민들이 왜곡된 진영 논리 때문에 희생당한 피해자와 그 유가족들을 비난해 왔다는 것”이라며 “핼러윈에 이태원에 가는 게 뭐가 잘못됐나. 저도 갔다”고 말했다.
천 원내대표는 “왜곡된 진영 논리, 본인이 지지하는 정권과 진영을 지키겠다라는 일념으로 책임자들의 처벌을 촉구하기는커녕 피해자들을 비난했던 그런 일들은 다시는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면서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 법적 책임도 엄중히 물어야 하지만 유죄 판결이 나지 않으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는 뻔뻔한 권력자들에 의해서 운영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천 원내대표는 “30년 전에 성수대교가 붕괴되었을 때 국무총리는 즉각 책임졌고 서울시장까지도 책임졌다”면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이상민 행안부 장관을 경질하고, 제때 책임을 묻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가족과 국민 앞에 겸허히 사과하라”고 말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안타깝게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슬픔을 안고 살아가는 유가족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국민의 일상을 지키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한 애도”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관계 부처는 크라우드 매니지먼트(인파 관리)를 비롯해서 다중 안전 체계를 점검하고 보완하는 데 만전을 기해달라”고 덧붙였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이날 국무회의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이태원 참사 1주기 당시, 서울시청 앞 분향소에서 열린 시민추모대회에 불참했다. 윤 대통령은 서울 성북구 영암교회에서 열린 추모 예배에 참석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윤석열의 음모론적 통치는 어디서 왔는가
- "윤 대통령, '좌파 언론'이 이태원 참사 인파 몰리게 했다 말해"
- 세월호 10주기, 의료지원 끊기고 생명안전법 폐기 수순
- 이태원참사 유족들 "진실에 투표하세요"
- 이태원 참사 유족들이 선거방송심의 규탄에 나선 이유
- 동아일보와 서울신문 가르는 이태원 특별법 거부권 행사
- 이태원 특별법 거부하고 '배보상' 꺼낸 윤석열 정부
- 이태원 참사, 더 밝힐 진상 "있을 리 없다"는 조선일보
- '잊혀진 참사' 수사기록에 대한 못다 한 이야기
- 교회 간 윤 대통령 향해 "'국민 늘 옳다' 빈말이었나"
- 윤 대통령의 여전한 이념 전략 키워드 '이태원 참사와 박정희'
- 유가족 "이태원 참사 최고 책임자에게 면죄부 준 것"
- 동아일보 대기자 "무정부 상태에서 각자도생에 목숨 걸 판"
- 윤 정권 1년, 우선 교체 공직자로 한동훈·김태효·이상민 꼽혀
- 기독교 목회자들 "윤석열 정부 1년, 온 나라에 재앙 몰려와"
- 이태원참사 유족들 "재난통신망 기록 삭제한 이상민 파면해야"
- 동아일보 대기자 "윤석열 정부는 4무 스타일"
- "모욕·조롱으로 참사 두번 겪고 있다"
- 서울시, 갖가지 이유로 '이태원 참사 추모제' 광화문광장 사용 불허
- 종교계, 이태원 희생자·유가족 2차가해 중단 호소
- 이태원 참사 유가족 대표 "요즘은 정치인이 2차 가해"
- 윤석열 정부, '이태원 압사 참사' 명명…이튿날 "압사 빼라"
- "이태원 참사 보도, 사고원인 과학적 분석 부족” 76%
- “이태원에 늘어난 CCTV, 안전이 통제는 아니잖아요”
- "이태원 참사 보도 12%, 트라우마 유발 유형"
- '이태원참사 피해자' KBS직원, 박장범 상대 차별 진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