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김건희 씨에 대한 검찰의 조사를 두고 ‘검찰총장 패싱’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KBS와 TV조선이 김건희 씨와 최재형 목사의 카톡 대화를 입수해 [단독] 보도했다. 최 목사가 집요하게 김 씨에게 연락을 취했다는 게 골자다. 또 조선일보는 최 목사와 관계를 맺게 된 과정을 설명한 김 씨의 검찰 진술을 [단독]으로 전했다.

22일 KBS는 기사 <[단독] “(알 수 없음)님이 나갔습니다”로 끝났다…김건희-최재영 카톡 전문 입수>에서 “최 목사가 어떻게 김 씨에게 접근을 했고, 무슨 청탁을 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김 씨와 최 목사의 22개월 동안의 메신저 전문을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KBS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최 목사의 조언은 계속된다. 영부인으로서의 이미지 관리 방안에 대해 조언하기도 하고 대통령실 용산 이전을 강하게 반대하기도 한다”면서 “지난해 7월엔 양평고속도로 의혹을 두고 다소 거친 대화가 오갔고, 이후 통일TV 송출재개를 요청하는 최 목사의 메시지에 김 여사가 대답하지 않자, 지난해 11월 26일 최 목사는 대화 방을 나갔다”고 했다. KBS는 "이른바 '고가 가방' 의혹 몰래 촬영 영상이 인터넷에 공개되기 하루 전"이라고 덧붙였다.
KBS는 “최 목사가 처음 선물을 언급한 건 대화가 시작된 지 한 달도 안 된 2022년 2월 21일. 거절한 경우도 있었지만 결국 최 목사는 2022년 6월과 9월, 김 여사에게 화장품과 고가 가방 등 선물을 건넸다”면서 “최 목사는 지난해 4월에도 더 좋은 가방을 주겠다고 했고, 자신을 관저에 초청하지 않은 것에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지만, 김 여사는 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KBS는 최 목사가 “민원과 선물 관련 메시지 등 400여 건을 누락해 검찰에 제출했다”고 했다.

같은 날 TV조선은 기사 <[단독] 최재영 목사, 김건희 여사에 "핸드백 맘에 안 들면 다시…너무 외면">에서 김 씨와 최 목사의 문자 내용 일부를 공개하며 최 목사가 김 여사에게 “집요하게 행동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TV조선은 지난해 4월 21일, 최 목사가 김 씨에게 보낸 메시지에 “7개월 전 건넨 '명품가방'이 ‘별로 마음에 안들었냐’며, ‘들고 있는 게 뉴스에 나올까 눈여겨봐도 안 보인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했다. 이어 최 목사가 “좀 더 괜찮은 걸로 장만해주고 싶다"며 "원하는 모델이 있으면 알려달라"고 한 뒤, "미국 국빈 방문에 좋은 걸로 들고 가면 좋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TV조선은 “김 여사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자, 22분 뒤 다시 메시지를 보냈는데, 대선 때와 달리 ‘너무 외면하고 모른척 한다’면서 '관저에 초청해달라'는 요청도 덧붙였다”면서 “김 여사의 부적절한 처신에도 분명 문제가 있지만, '공개석상에서 가방을 메달라'고 집요하게 요구한 건 회유에 가깝다”는 여권 관계자의 발언을 실었다.

조선일보는 23일 기사 <[단독] 金여사 “최재영, 동향이라며 접근… ‘쥴리 의혹’ 억울함 이해해줄 것 같았다”>에서 “(김 씨가) 검찰 조사에서 최 목사와 처음 연락했을 당시 상황을 상세히 진술했다고 한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김 씨는 검찰에 “최 목사가 ‘어릴 때 부친이 운영하시던 약국에 자주 들렀다’고 하는 등 아버지와 관련된 추억을 이야기하니 반가웠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김 씨는 “어릴 적 부족함 없이 자랐고, 집안 분위기도 보수적이어서 술집 접대부로 일할 수 없는 환경이었다”면서 “최 목사는 가족사를 잘 아는 만큼 ‘쥴리 의혹’에 대한 내 억울함을 이해해줄 것 같았다”는 진술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씨는 또 최 목사에게 받은 명품백에 대해 “내용물이 무엇인지 확인한 뒤 대통령실 행정관에게 ‘최 목사에게 돌려주라’고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조선일보는 “검찰은 최 목사가 통일TV 송출 재개를 부탁한 것은 디올백이 전달된 지 1년가량 지난 시점이어서 시기적으로 디올백과는 관련성이 없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덧붙였다.
지난 20일 진행된 김 씨에 대한 검찰 조사를 두고 ‘검찰총장 패싱’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씨는 검찰 청사가 아닌 제3의 장소에서 조사를 받았다. 또 김 씨 측은 조사 장소를 직접 골랐으며, 수사팀에게 ‘조사 사실의 외부 유출 시 조사를 받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수사팀은 조사 전 휴대전화를 맡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21일 "대통령 부인 조사에서 원칙이 지켜지지 않아 국민들께 사과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은 23일 ‘윤석열·김건희 쌍특검’법을 대표발의했다. 박 의원은 김 씨에 대한 검찰 비공개 소환 조사를 거론하며 “각종 범죄 의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사기관은 오히려 국민적 불신을 지속적으로 증폭시키고 있다”며 특검의 필요성을 밝혔다.
특검법이 수사 대상으로 명시한 김 씨에 관련 사안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명품백 수수 관련 조사 과정에서 사전 보고 누락 등 검찰 관계자들의 직권남용 및 직무유기 ▲임성근 구명 로비 의혹 등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대통령실 행정관, 명품백 반환지시 깜빡' 누가 믿을까
- '진흙탕' 전대서 피어난 '김건희 수사·사과·감시' 단일대오
- 경향신문 "검사 탄핵안엔 벌떼처럼 일어나더니 조용"
- '검찰총장 패싱' 김건희 소환조사, 왜 지금일까?
- '특혜 조사' 검찰 공정성 무너지는데 김건희 옹호한 신문은
- 노골적 방탄으로 일관하는 윤석열 정권
- 경향신문 "채 해병 사건 의혹의 중심, '김건희'로 이동"
- 채해병 특검법 또 거부에 성난 야당 "윤석열·김건희 특검법 발의"
- '김건희 문자 읽씹' 논란서 또 나온 '격노'
- 보수언론도 전대개입 의심하는 '김건희 문자 읽씹' 공개
- 권익위에 '영부인께 300만원 엿 선물 가능' 문의 쇄도
- 참여연대, 권익위 '김건희 명품백' 종결 이의신청…"존재이유 없다"
- 공직사회도 권익위에 뿔났다 "하위직은 티끌도 털면서 권력에는 굴복"
- 경향신문 "배우자는 명품백 받아도 된다는 권익위, 존재 이유 없다"
- 검찰 존재이유 묻게 하는 김건희 '수사'
- 사과도 설명도 없이 없어졌다 나타났다 하는 김건희 여사
- 김건희 수사 지휘부 물갈이…검찰총장 기세 꺾기인가
- 김건희가 언제 대국민 사과? 언론이 알아야할 사과 4원칙
- 내친김에 김건희 주가조작 의혹도 털어내라는 조선일보
- '이승만·기미가요' KBS 박민, 28일 과방위 출석
- 거침없는 김건희, 대통령 행세…"현장 목소리 항상 경청"
- 박민 "확인 사실만 보도"에 야당 "KBS, 영일만 석유 발표 꽃길 보도"
- 서울경찰청, '서울의소리' 압수수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