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박민 KBS 사장이 취임 이후 회사 워크숍에서 '머지 않아 수신료를 2배 인상할 수 있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 사장은 TV수신료 분리징수로 납부율이 50%로 내려가도 수신료가 2배로 인상되면 문제없다고 말했다.
그로부터 5개월이 지난 현재, KBS는 수신료 징수 위수탁 계약을 해지하겠다는 한국전력의 통지서를 받았다. 한전이 대행 업무를 포기하면 KBS는 수신료를 직접 걷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수신료 징수에 상당한 추가 비용을 KBS가 부담하게 된다는 얘기다. 또한 수신료 인상은 국회 동의가 필요한 사항이다. 이번 총선에서 여권의 방송장악을 반대·비판한 야당이 압승을 거뒀다.

미디어스는 지난해 11월 28일 열린 'KBS 위기극복 워크숍' 영상을 입수했다. 워크숍에 본사 임원진과 부장급 이상 간부들만 참여했다. 박 사장은 발제가 종료된 후 마무리 발언을 위해 연단에 올랐다.
박 사장은 "수신료 분리징수로 수신료 징수율이 떨어지면서 수입이 줄어든다. 그렇지만 KBS가 다시 신뢰를 회복한다면 40년 가까이 묶여 온 수신료, 올릴 수 있다"며 "지금 (월)2500원, 독일이나 일본에 비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요새 배달 한 번 시키면 3000원이 드는데"라고 말했다.
박 사장은 "저희가 열심히 노력한다면 머지않은 순간에 국민들이 '야, 2500원이 뭐냐. 두 배는 줘야지'(라고 할 것)"이라며 "그러면 50% 수신료 (징수율이)떨어져도 결국 저희들이 받을 수 있는 비용은, 재원은 똑같다"고 했다. 박 사장은 "그런 것들이 전혀 불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국민 신뢰를 회복한다면 수신료 정상화하고, 또 저희가 갖고 있는 여러 자산을 활용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규제도 많이 완화될 수 있다"고 했다.
한전은 지난 18일 KBS에 수신료 징수 위수탁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수신료 징수 위수탁 계약이 해지될 경우, KBS는 내년 1월부터 수신료를 직접 징수하게 된다.
그러나 수신료 분리징수는 납부 의무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전기요금과 별도로 납부 고지만 하는 방식으로 시행된다. 수신료 납부율은 떨어지고, 별도 고지·징수 비용은 추가되기 때문에 KBS 내부 구성원들은 반대해왔다.
하지만 박 사장 체제의 KBS는 5월 본격적인 수신료 분리징수를 시행한다는 로드맵을 수립하며 따르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당장 수신료 납부 대상을 관리할 대책이 없는데 분리징수부터 시행하느냐는 내부 비판이 일었다. KBS 수신료 관리 현장에서는 납부대상 데이터도 없이 종이로 분리납부 신청서를 받고 고지서를 발부하겠다는 회사 입장에 반발의 목소리가 나왔다.(관련기사▶'KBS 경영진인가, 한전 경영진인가' 지적 나오는 이유)
게다가 KBS가 '5월 업무이관을 못 받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한전이 수신료 징수 위수탁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선언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는 "낙하산 박민이 KBS를 망가뜨리려 온 것이 분명해졌다"라고 규탄하고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한전, KBS에 '수신료 징수 위수탁 계약 해지' 통보
- 'KBS 경영진인가, 한전 경영진인가' 지적 나오는 이유
- "'KBS 장악·파괴' 문건, 국정원 MBC 문건보다 한발 더 나가"
- 'KBS 장악' 문건이 말하는 KBS 공중분해는
- 민주당 “박민, 'KBS 장악 대외비 문건' 하수인”
- KBS, '아파트 수신료 분리징수 업무 수행' 방침 보류
- KBS 내부서 "수신료 돌이킬 수 없는 나락… 박민 끌어내릴 것"
- [단독] KBS, 내달 1일부터 '수신료 분리징수' 업무 시동
- KBS 이사회서 "1TV 광고, 국민 반감 없을 것"
- "KBS 감사 동의없이 감사실 쇄신? 심각한 독립성 훼손"
- "대통령 녹화 대담과 수신료 분리징수 유예, 우연인가"
- KBS 경영진도 몰랐던 수신료 분리징수 유예 연장
- KBS, 장제원 고개 젓게 한 '인건비 1천억 삭감안' 확정
- 박민 사장 취임 50일 설문결과 "KBS 상황 악화"
- 이준석 신당 첫 번째 공약 "공영방송 사장 낙하산 원천봉쇄"
- “국회가 ‘국민의 방송' 어떻게 만들지 논의해달라”
- 수신료 분리징수 질러놓고 이제와 땜질 처방
- 방통위 가이드라인 덕에 수신료 미납금 매월 10억 쌓이는 중
- [단독] 공영방송 KBS, 기자·PD 광고 영업 캠페인 중
- KBS "7월부터 분리된 수신료 고지서 발송 예정"
- KBS이사회, '다음달 시행' 수신료 분리징수 보고도 못받아…왜?
- '6천 가구' 아파트 관리사무소 수신료 징수 업무 거부
- KBS가 그리는 '장밋빛' 7월 1일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
- '수신료 통합징수' 방송법 발의…"가뭄에 단비"
- KBS, 수신료 통합징수 방송법에도 '분리징수 마이웨이'인가
- "박민이 할 일은 밀실 조직개편이 아니라 KBS 떠날 준비"
- 수신료 통합징수, '3% 배분' EBS도 찬성…KBS는 방관
- "수신료 통합징수 요구하기에는 부족하다"는 KBS 사장
- KBS '카드사 수신료 자동납부 무단 등록' 꼼수
- ‘배보다 배꼽’ 수신료 징수 위탁수수료, EBS 수신료 4.5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