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한국경제신문이 최근 YTN 주식을 추가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대주주인 한전KDN이 보유한 지분 매각을 논의 중인 상황으로 YTN 민영화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국경제신문은 지난 16일 YTN 주식 7만주가량을 매수해 기존 4.84%의 지분을 5%로 늘렸다. 기업의 지분을 5% 이상 소유한 주주는 매매 사실을 공시해야 한다. 

지난 15일 YTN 사내에서 한전KDN이 YTN 지분을 ‘비핵심 자산’으로 분류하고 매각검토 의견을 산업통상자원부를 거쳐, 기획재정부 공공정책국에 접수했다는 지분 매각설이 제기됐으며 같은날 한전KDN 측은 매각을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이 공시한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갈무리
한국경제신문이 공시한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갈무리

지난 2020년 한국경제신문은 YTN 인수 의사를 피력한 바 있다. 당시 기획재정부는 공기업의 YTN 지분 매각을 검토한 바 있다. 이에 한국경제신문은 공식적으로 YTN 인수 의사를 밝히며, 인수준비팀을 구성했다. 그러나 YTN 노사와 시민·언론 단체 등의 반발로 공기업의 YTN 지분 매각 논의는 무산됐다.

한국경제신문의 최대주주는 지분 20.55%를 보유한 현대자동차다. 이밖에 삼성, LG, SK 등 대기업들이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범현대·삼성·SK·LG 그룹이 보유한 한국경제신문 지분율은 79.22%다.

이번 한국경제신문의 YTN 지분 매입과 관련해 신호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장은 19일 미디어스와 통화에서 “한국경제의 YTN 인수는 현실 가능성이 전혀 없는 얘기”라고 선을 그은 뒤 “YTN 인수 의사를 시장에다 표명한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신 지부장은 “한국경제가 채널을 소유하고 있지만, 종편 진출에 실패했던 사례가 있지 않나, 뉴스 채널을 통해 방송에 교두보를 확보하려는 의도는 이미 알고 있었다”면서 “재벌이 소유하고 있는 한국경제신문과 YTN은 보도의 방향성이나 지향성, 추구하는 공정성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신 지부장은 “2년 전, ‘한국경제신문은 한국경제TV에나 신경 써라’라는 내용의 인터뷰를 했다. 그때와 달라진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