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12기 YTN 시청자위원회 첫 회의에서 팩트체크 보도가 부족하고 시사·대담 프로그램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YTN 민영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지난달 26일 열린 YTN 시청자위원회에서 최용문 위원(법무법인 예율 변호사)은 “팩트체크 보도의 비중을 높였으면 한다”며 “지금은 뉴스가 넘쳐나지만 올바른 사실에 근거한 뉴스를 가려내는 일이 중요한데 각자 생업이 있는 시청자들은 직접 팩트체크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YTN 사옥 Ⓒ연합뉴스
YTN 사옥 Ⓒ연합뉴스

최 위원은 “과거 YTN <뉴스가 있는 저녁> 같은 프로그램에서 앵커 리포트를 통해 팩트체크를 많이 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런 코너가 사라진 것 같아 아쉬운 마음이 있다”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겠지만 YTN은 뉴스전문채널이라는 타이틀을 내세우고 있는 만큼 의지만 있으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유투권 YTN보도국장은 “팩트체크가 사실과 깊이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고 특히 최근 콘텐츠 홍수 시대에 더욱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방향으로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사·대담 프로그램이 과도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수현 위원(소비자시민모임 정책실장)은 “YTN은 시사·대담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방송사보다 굉장히 높다”며 “그러다보니 좀 더 분석하면 좋을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대담에 의존하고 있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은 “타 방송을 보면 직접 기자가 출연해 그 상황에 대한 취재 후기, 본인들이 기사를 통해 전달하지 못했던 부분까지 자세하게 전달하는데 YTN에서는 찾아볼 수 없어 이러한 부분의 비중을 높였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또 이 위원은 “<굿모닝 브리핑>을 통해 조간신문 내용을 정리하는 코너가 있지만, 언론비평이나 분석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며 “현재 정치 지형에서 언론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언론비평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윤영미 부위원장(녹색소비자연대 공동대표)은 “정치 논평 프로그램이 너무 많다”며 “패널의 경우 정치인들을 출연시키는데 이 사람들이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논평하기보다 자신의 진영논리에 따라 상대 정당을 비난하는 토론으로 일관한다. 이런 내용이 시청자들의 정치 혐오를 불러일으킨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유투권 보도국장은 “패널의 편향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섭외를 다양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며 “최근 경제, 국제 부분에 대해서는 계기가 있을 때마다 기자나 전문가 출연을 상대적으로 늘려오는 상태다. 고민을 계속하고 있으니 시간을 두고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시청자위원회에서 YTN 민영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신미희 위원(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지금 YTN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가장 대주주인 공공기관 한전 KDN에서 지분을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국감에서도 확인되고 보도에서도 계속 나오고 있는데, YTN 미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여서 우려된다”며 “현재 현황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사장이 의견을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신 위원은 “이러한 공적 소유구조가 변할 경우 YTN이 신뢰도 1위의 보도전문 채널로서 위상과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방송법이 정한 시청자위원회 역할에는 시청자 권익 보호와 침해 구제에 관한 업무가 네 번째 조항으로 있는데 일방적인 정부의 YTN 공기업 지분 매각 방침의 경우 시청자 권익 침해 측면에서 시청자위가 분명한 의견을 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우장균 YTN 대표이사는 ”실·국장들이 이 문제에 대해 말을 아끼라고 말하지만 그래도 짧은 제 의지를 말한다면 저는 2008년 10월 6일 해직된 여섯 명의 기자 중 한 명이었다“며 ”앞으로도 거버넌스, YTN 지배구조와 관련해 두 번 해직된 언론인이 될 수 있다는 영광을 두려움 없이 받아들이는 각오로 담대하게 응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