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21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 협상에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가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을 겨냥해 사퇴압박을 가하고 있는 여당과 '방송 장악'을 막겠다는 야당이 맞붙은 형국이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수석부대표와 협상 경과를 설명했다.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상임위원장 배분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날 여야 원내수석부대표 협상은 결렬됐다. 여야는 원내대표 담판을 통해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매듭짓기로 했다.

여야 원구성 협상의 쟁점은 과방위원장과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 위원장이었다. 민주당은 한상혁 방통위원장에 대한 여권의 사퇴 압박을 저지하기 위한 과방위원장, 행정안전부 경찰국 신설을 저지하기 위한 행안위원장 자리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협상 과정에서도, 오늘 협상에서도 행안위와 과방위만큼은 반드시 민주당이 맡아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며 "이 때문에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양보하는 결단을 하기도 했다. 행안위와 과방위를 민주당이 맡는 조건으로 그 어떤 상임위도 국민의힘이 선택하는 대로 존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윤석열 정부는 한상혁 방통위원장에게 물러날 것을 노골적으로 압박하고 있고, 심지어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말도록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노골적인 방송장악 의도를 보이는 상황에서 언론자유와 독립성을 지키려면 과방위만큼은 민주당이 고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법을 뛰어넘는 시행령 개정으로 경찰 장악 의도를 노골화하고 있기 때문에 경찰 독립성을 지키려면 행안위원장을 반드시 맡아야 되겠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과방위원장만은 차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진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의힘은 행안위를 넘기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과방위는 넘길 수 없다는 것"이라며 "협상 과정을 전부 설명할 수는 없지만 방송장악 의도를 노골화한 것이라고 본다. 방송을 정권의 입맛에 맞게 길들이려는 의도가 과방위원장을 맡겠다고 고집하는 근본적인 이유라고 판단한다"고 했다.
민주당은 방송·통신 법안의 심사를 담당하는 과방위 제2법안심사소위원장 자리도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진 수석부대표는 "소위원회 문제는 원칙적으로 상임위 별 간사 합의를 통해 결정되어야 할 내용"이라면서 "다만 전반기 과방위 간사 간 합의로는 방송·통신 법안소위는 후반기에 민주당이 맡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전반기 국회에서 제2법안심사소위원장을 박성중 국민의힘 간사가 맡았다.

진 원내수석부대표의 기자 간담회 종료 직후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도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회 관행상 법사위원장, 운영위원장은 당연히 국민의힘에서 맡아야 한다"며 "국가 기능과 조직의 근본에 해당하는 행안위와 과방위 부분에 대해서도 당연히 국민의힘에서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송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의힘이 과방위원장 자리를 사수하는 이유가 윤석열 정부의 '방송 장악' 의도 때문이라는 민주당 주장에 대해 "지난 정권 5년간 언론은 굉장히 기울어진 운동장, 엎어진 운동장이라고 얘기되어 왔다"며 "공정하고 중립적인 언론 환경을 위해 여당이 과방위를 맡아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이 과방위원장을 차지해 한상혁 방통위원장 사퇴를 압박할 것이라는 예측에 대해 송 원내수석부대표는 "한 위원장 스스로 결단을 내려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한 위원장은 새 정부와 국정철학이 많이 다른 분"이라며 "윤석열 정부 성공과 국정운영에 있어 도움이 안 되고 방해되는 상황임을 본인도 잘 알 것"이라고 했다.
다만 송 원내수석부대표는 과방위와 행안위를 여야가 각각 하나씩 나눠 갖는 방안에는 동의한다며 "그것은 민주당에 선택권을 드리겠다"고 공을 넘겼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방통위·권익위원장 임기 보장해야' 59.5%
- "공영방송 장악 4박자, 압박·고발·수사·여론조장 또다시"
- "방통위·TBS 캠페인 감사, 정치적 목적 없다"는 감사원, 정말일까
- "이렇게 노골적으로 공영방송 장악 시도할 줄은..."
- 서울신문, 문재인 정부 때는 "공공기관장 임기 보장"
- 감사원, 방통위 감사 착수…한덕수, 방통위원장 사퇴 압박
- 윤석열 정부·여당 '타깃'된 방통위원장…왜?
- 방통위원장·권익위원장 사퇴압박, 언론의 이중잣대 ‘내로남불’
- 감사원, 방통위 감사 착수일 이틀 전 일정 통보
- 조선일보가 단독 보도한 '감사원, 방통위 감사 착수'
- '대통령·공공기관장 임기 일치' 법안 외면한 국민의힘
- 사퇴압박 일축한 한상혁 "맡은 바 임무 수행하겠다"
- 윤희숙, 방통위원장 사퇴 종용하는 언론에 "힐난조"
- 윤 대통령 "한상혁·전현희, 국무회의 올 필요 없는 사람들"
- 한상혁 방통위원장 고발사건, 2년 만에 꺼내는 검찰
- 국민의힘, 오보까지 동원해 방통위원장 사퇴 압박
- 조선일보, 농막으로 방통위원장 흔들기…"꿈의 별장"
- 한상혁·전현희에 "국무회의 참석 대상이 아니다" 통보
- 언론노조, 방통위원장 흔들기 일갈 "몰염치는 누구 몫인가"
- 조선일보 버전 블랙리스트, 한상혁·전현희·홍장표 등등
- 권성동, KBS 인터뷰서 "언론노조가 KBS·MBC 좌지우지"
- "권성동, '언론노조가 KBS·MBC 장악했다'는 근거 제시하라"
- "국민의힘은 방송장악 전과 집단"
- 권성동, 연일 'KBS·MBC 때리기'…기자 질문에 "그만하라"
- 언론노조, 18일 권성동 고소…"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 대통령실, 한상혁·전현희 '대통령 업무보고 배제' 검토
- 방심위와 선거방송심의위 구분 못하는 국힘
- 감사원, 한 달여 자료감사 끝에 방통위 '실지 감사' 착수
- 여야, 과방위·행안위원장 1년씩 번갈아 맡는다
- 언론노조 "과방위,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약속하라"
- '윤핵관' 장제원, 내년 6월부터 과방위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