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정부여당의 사퇴 압박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감사원이 방통위에 대한 감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감사원은 연초부터 기획된 정기감사라고 설명했다.
21일 조선일보는 기사 <[단독] 與 한상혁 사퇴 요구 속... 감사원, 방통위 감사 착수>에서 "감사원은 최근 방통위에 '오는 22일쯤 정기 감사에 착수하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며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한 위원장이 현 여권의 사퇴 요구에도 '임기가 남았다'는 이유로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감사여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문제는 시기"라며 "이런 시점에 감사원이 방통위에 대한 감사에 들어가면서 일각에선 '한 위원장의 거취를 압박하는 감사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감사원의 정기 감사는 해당 기관장의 업무 지시 전반은 물론 법인카드, 관용차 사용 내역 등 세세한 내용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는 한 정부관계자 발언을 전했다.
감사원 정기감사는 통상 2~5년 주기로 이뤄진다. 감사원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연초부터 계획된 감사 일정으로 정치권의 사퇴 압박과 이번 정기 감사를 연결짓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방통위 정기 감사는 지난 2019년 이후 3년 만이다. 감사원 홈페이지 '2022년도 연간 감사계획'에 따르면 방통위가 정기감사 대상으로 공지된 것은 사실이지만 감사 시점은 명시되지 않았다.
한 위원장에 대한 정부여당의 사퇴 압박은 지난 9일 조선일보의 <文정부 기관장 69%, 임기 1년 넘게 남았다> 보도가 물꼬를 텄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0일 조선일보를 통해 한 위원장 등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들을 향해 "몰염치"하다고 말했다. 이후 윤석열 정부는 이들 기관장의 국무회의 참석을 배제해 논란을 빚고 있다. 방통위 설치법에 따라 내년 7월까지 임기가 보장되는 한 위원장은 21일 "성실히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밝혀 사퇴 압박을 일축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대통령·공공기관장 임기 일치' 법안 외면한 국민의힘
- 사퇴압박 일축한 한상혁 "맡은 바 임무 수행하겠다"
- 윤희숙, 방통위원장 사퇴 종용하는 언론에 "힐난조"
- 윤 대통령 "한상혁·전현희, 국무회의 올 필요 없는 사람들"
- 한상혁 방통위원장 고발사건, 2년 만에 꺼내는 검찰
- 국민의힘, 오보까지 동원해 방통위원장 사퇴 압박
- 조선일보, 농막으로 방통위원장 흔들기…"꿈의 별장"
- 한상혁·전현희에 "국무회의 참석 대상이 아니다" 통보
- 언론노조, 방통위원장 흔들기 일갈 "몰염치는 누구 몫인가"
- 조선일보 버전 블랙리스트, 한상혁·전현희·홍장표 등등
- 윤석열 정부·여당 '타깃'된 방통위원장…왜?
- 감사원, 방통위 감사 착수…한덕수, 방통위원장 사퇴 압박
- 서울신문, 문재인 정부 때는 "공공기관장 임기 보장"
- "이렇게 노골적으로 공영방송 장악 시도할 줄은..."
- "방통위·TBS 캠페인 감사, 정치적 목적 없다"는 감사원, 정말일까
- "공영방송 장악 4박자, 압박·고발·수사·여론조장 또다시"
- 국가공무원노조 "감사원, 권력의 시녀 되려는가"
- '방통위·권익위원장 임기 보장해야' 59.5%
- 행안위는 양보해도 '과방위'는 안 된다는 국민의힘
- 권성동, KBS 인터뷰서 "언론노조가 KBS·MBC 좌지우지"
- 대통령실, 한상혁·전현희 '대통령 업무보고 배제' 검토
- 감사원, 한 달여 자료감사 끝에 방통위 '실지 감사' 착수
- '언론노조가 방송 장악' 권성동, 과방위원으로
- '표적 감사' 논란에 한상혁 "업무범위 넘어선 것 아닌가"
- 경찰, 한상혁 '농지법 위반' 의혹 조사 착수
- 작정한 감사원, 방통위 실지감사 '2주 연장'
- 대통령 '독대' 보고 마무리 단계, 방통위는 아직도 '미정'
- 다들 '표적·코드 감사'라고 입 모으는데 서울신문은
- 감사원이 작정한 방통위 감사, 그 끝은 어디로
- 감사원, TV조선·채널A 재승인 심사위원 소환 조사
- TV조선 재승인 조작설, 점수 수정을 문제삼는 건가
- 이동관·김홍일, 국무위원 아닌데 국무회의 참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