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이 막바지로 향한 가운데 청년시민단체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했다. 이들은 “최근 내란 세력과 그 공범들은 청년을 정치적 도구로 삼아 자신들의 범죄를 정당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며 헌법재판소에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청년 시민 의견서를 제출했다.

19일 전국 35개 청년단체로 구성된 ‘윤석열 물어가는 범청년행동’(이하 범청년행동, 23개 단체)과 ‘윤석열OUT청년학생공동행동’(12개 단체)은 의견서를 제출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청년 시민의 이름으로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기자회견 현장 (사진=윤석열 물어가는 범청년행동)
“청년 시민의 이름으로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기자회견 현장 (사진=윤석열 물어가는 범청년행동)

첫 발언자로 나선 이재정 범청년행동 공동대표는 “비상계엄이 선포되던 날, 저 역시 친구들과 국회 앞으로 달려갔다. 이 자리에 선 많은 청년들도 그날 그곳에서 함께 했다”며 “청년들은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대한민국의 미래가 걸린 중대한 결정을 매우 엄중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은 불리해질 때면 ‘청년’을 호명하며 ‘청년이 나라를 지킨다’는 메시지 아래 청년들의 극우화된 움직임을 선동하고 있다”며 “이태원 참사, 채상병 사건 등 또래 시민들이 생을 마감할 때도 책임은커녕 사건을 은폐하기 급급했던 윤석열 정부가 기어코 국민들을 극단의 갈등과 대치로 밀어넣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앞으로 빠르게 헌정질서를 바로잡지 못한다면 우리는 또 다른 서부지법 폭동을 마주하게 되진 않을까 두렵다. 그것만은 막아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그 시작”이라며 “내일 헌법재판소 10차 윤석열 탄핵 심판이 열린다. 우리는 남은 탄핵 심판도 똑똑히 지켜보고 헌법재판소에서 파면이 이뤄지는 모습을 보고 말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설 청년유니온 위원장은 “청년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변화를 갈망해 왔다. 우리는 불안정한 일자리, 치솟는 주거비, 그리고 끝없는 경쟁 속에서 숨 쉴 틈 없이 살아왔다”며 “그러나 우리가 꿈꾸는 것은 단순히 생존이 아니다. 우리는 모두가 존엄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원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내란 세력의 청산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윤석열 파면 이후, 우리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촛불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탄핵이 가결되자 환호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촛불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탄핵이 가결되자 환호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도현 진보당 청소년특별위원장은 “청소년들은 한국사가 수능필수과목이 되어버린 시점에 역사공부를 하다 보니 지금의 상황이 지난 역사의 죄인들을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젠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누는 정권에게 더 이상 기회를 줘서는 안 되며 내란세력은 남김없이 모두 처벌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청소년들을 점수로 차별하고, 여성이라 혐오하는 분위기를 부추기며 학생이라는 이유만으로 인권을 빼앗는 윤석열 정권과 새 학기를 시작하고 싶지 않다”며 “남태령 대첩때처럼 잘 몰라도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손을 내밀고 연대하는 것이 가치있는 행동이라고 알려주는 세상, 한남동 관저 앞 밤샘 집회에서처럼 어떤 정체성을 밝혀도 응원 받을수 있는 세상에서 새 학기, 새봄을 맞이하고 싶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을 법봉으로 파면하는 퍼포먼스와 함께 기자회견을 마친 청년단체는 헌법재판소에 파면을 촉구하는 의견서를 '청년시민 일동' 명의로 제출했다. 의견서에 ▲청년 시민이 바라본 윤석열 파면의 이유 ▲일부 극우 세력의 내란 선동 행위 중단 촉구 ▲내란 사태 종식과 사회대개혁을 위한 헌재의 탄핵 결정 촉구 등 내용이 담겼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